조 바이든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직에서 전격 사퇴하며 재선 도전을 공식 포기했다. 21일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성명을 통해 “대선 후보에서 물러나 남은 임기 동안 대통령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것이 민주당과 국가에 최선의 이익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 주 내로 사퇴 결정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새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절차에 들어가게 됐으며, 새 후보로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유력해 보인다. 사퇴 성명 발표 약 30분 후 바이든 대통령은 별도의 엑스 게시물을 통해 “카멀라 해리스가 우리 당의 후보가 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한다”며 부통령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를 선언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첫 대선 후보 TV토론에서 말을 더듬고 맥락에 맞지 않는 발언을 하며 그동안 꾸준히 제기됐던 ‘고령 리스크’ 논란에 불을 지폈다. 토론 이후 유권자 지지율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쪽으로 크게 기울자 민주당 내 30여 명 상·하원의원들은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직 사퇴를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여기에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 등 바이든의 오랜 ‘우군’들마저 ‘후보 교체’로 입장을 선회했고,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으며 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늘어나자 이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직 사퇴 소식이 발표된 이후 “그는 역사상 최악의 대통령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보다 이기기 쉬운 상대”라고 전했다. 민주당은 내달 19~22일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전당대회를 개최하기에 앞서 8월 초까지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해리스 부통령 외에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부인 미셸 오바마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그레첸 휘트먼 미시간 주지사 ▶피트 부티지지 교통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만약 흑인·인도계인 해리스 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될 경우 그는 ‘미국 첫 여성 대통령’이자 ‘첫 아시아계 대통령’이라는 기록에 도전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의 주요 정책인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18일 연방 제8순회항소법원이 바이든 행정부의 새로운 연방 학자금 부채 탕감 프로그램 ‘SAVE(Saving on a Valuable Education)’에 대한 공화당 주도 7개 주의 보류 요청을 받아들인 것. 이에 따라 SAVE 플랜에 등록된 800만 명 차용자들의 학자금 대출액 상환은 일시 중단됐으며, 현재 대출자들은 SAVE 플랜을 포함한 모든 소득 기반 상환 계획에 신청할 수 없다. 교육부는 “판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차용인들에게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대통령 재선 아시아계 대통령 여성 대통령 재선 도전
2024.07.21. 17:42
OC한미시니어센터(이하 시니어센터, 회장 김가등)는 지난 15일 라하브라의 아리랑문화예술협회(회장 양현숙)에서 오는 11월 재선에 도전하는 프레드 정 풀러턴 부시장에게 감사패를 증정했다. 시니어센터 측은 정 부시장이 지난 2020년 한인 밀집 거주 지역인 1지구에서 시의원에 당선된 이후 마리화나 판매소가 들어서는 것을 막는 등 한인 사회를 위해 많은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감사패 증정식 이후엔 김가등 회장과 양현숙 회장 등이 개인 자격으로 마련한 정 부시장 후원 행사가 열렸다. 약 40명의 후원자들은 정 부시장의 재선을 돕자고 다짐했다.프레드 부시장 부시장 후원 재선 도전 회장 양현숙
2024.06.19. 20:00
캘리포니아 연방하원 45지구에 출마한 공화당 소속의 미셸 스틸 의원이 재선 도전에 박차를 가했다. 지난달 30일 오렌지카운티 부에나파크에서 열린 본선 출정식에서 스틸 의원은 “45지구가 지역적으로 민주당에 다소 유리한 지역이지만 열심히 선거운동을 해서 무소속과 민주당 표도 끌어들이겠다”며 “재선에 성공해 여러분 지지에 화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150여 지지자가 참석한 가운데 캘리포니아주 하원 67지구 본선 진출에 성공한 유수연 ABC 교육위원장, 재닛 누인 캘리포니아 상원 후보(36지구), 론다 셰이더 플라센티아 시장, 트리 타 웨스트민스터 시장이 연사로 나서 유권자들에게 스틸 의원 투표를 호소했다. 본선은 11월 8일 실시한다. 스틸 의원은 지난 6월 예비선거에서 48.2% 득표율로 43.1% 득표율을 기록한 대만계 민주당 후보 제이 첸에 앞서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틸 의원과 첸 후보의 신경전은 극에 달해 있다. 첸 후보는 지난 4월 스틸 의원을 향해 영어 발음 비하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 당시 그는 “스틸 의원이 말한 것을 고쳐서 이해해야 한다”면서 “그가 말하는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통역이 필요하다. 그가 말을 많이 할수록 우리 팀에 유리하다”고 비꼬았다. 이후 아시안 커뮤니티는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첸의 선거 캠페인 사무실 본부 앞에서 두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규탄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45지구는 웨스트민스터와 가든그로브를 비롯해 사이프리스, 세리토스, 부에나파크, 풀러턴(북부) 등 한인 밀집 지역이 다수 포함됐다. 한인 유권자는 2만2147명으로, 전체의 5%에 달한다. 당적별로는 민주당 유권자 비율 37.5%, 공화당원 32.6%, 무소속 28.3% 순이다. 한편 오는 11월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연방하원 다수당이 될 것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CBS 방송과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지난 27∼29일 전국 등록 유권자 1743명을 상대로 인터뷰 조사를 해 31일 공개한 결과 공화당이 하원 의석 230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다수당인 민주당은 205석 확보 예상에 그쳤다. 하원 전체 의석수는 435석으로 218석이면 다수당이 된다. 현재 민주당이 220석으로 근소한 과반이다. CBS는 “2018년 하원 중간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유권자들이 공화당보다 4%포인트 더 많았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38% 대 34%로 공화당이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원용석스틸 재선 재선 도전 민주당 유권자 연방하원 다수당
2022.07.31. 20:54
지난 수 개월간 재선 도전의 가능성을 내비치던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이 재선 캠페인을 공식 선언했다. 라이트풋 시장은 지난 7일 “2023년 시카고 시장 선거에 다시 한번 출마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019년 시카고 첫 흑인 여성이자 동성애자 시장으로 당선된 라이트풋 시장은 이날 "변화는 하룻밤 사이 이뤄질 수 없다"며 "계속해서 시카고를 더 안전하고, 공평하고, 공정한 도시가 될 수 있게 만들겠다"고 출사표를 던졌다. 그는 "나는 이전의 그 어떤 시카고 시장과도 다른 모습이기 때문에 내 목소리를 내기 위해 싸워야했다"며 "시카고 주민들이 보다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라이트풋은 재선 도전 선언에 앞서 지난 6일 유튜브에 자신이 시카고 시장으로 재임하면서 이뤄낸 일들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게재했다. 라이트풋은 재선 도전을 선언한 7일 시카고 북부 리버 노스 지역에서 기금 모금 행사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정치 분석가 찰스 토마스는 "라이트풋이 기금 모금 행사부터 하는 것은 그가 돈이 얼마나 급한지 보여준다"며 "그는 지금 시장직에 있을 때 최대한 많은 자금을 끌어모으려고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라이트풋의 하향식 관리 스타일은 시의원들과 잦은 충돌을 빚었고, 그가 시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시카고 시의 범죄는 증가했다"며 라이트풋의 재선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 라이트풋은 앞서 시카고 컵스 공동소유주 로라 리케츠와 그의 동성 파트너 브룩 스키너 리케츠를 재선 기금 모금 총책으로 선임했다. 내년 2월 28일 실시되는 시카고 시장 선거에는 현재 폴 발라스 전 시카고 교육청장을 비롯 레이 로페즈 시의원, 사업가 윌리 윌슨, 캠 버크너 주 하원의원, 로더릭 소이어 주 하원의원 등이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Kevin Rho 기자시카고시장 라이트 시카고시장 재선 재선 도전 공식 선언
2022.06.09. 14:11
올해 재선 도전을 앞둔 주지사가 세금 경감 카드를 꺼냈다. 다분히 선거를 의식한 정책으로 보이지만 주 재정이 개선됐기 때문이라는 것이 주지사측의 설명이다. JB 프리츠커(민주) 일리노이 주지사는 2일 국정연설을 앞두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 주의사당에서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행할 국정연설에서 프리츠커 주지사는 내년도 예산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내년 예산안의 핵심은 서민을 위한 세금 동결과 환급이다. 주지사측이 공개한 바에 따르면 우선 1년동안 식품에 부과되는 1%의 주 세금을 일시적으로 없앤다. 또 7월1일부터 인상될 예정이었던 개솔린 세금 역시 유예한다. 개솔린세는 올 하반기부터 현재의 갤런당 38센트에서 41.4센트로 오를 예정이었다. 가구당 300달러 한도 내에서 재산세 환급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모두 합치면 10억달러 규모다. 이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주의회에서 통과되어야 하지만 민주당이 장악한 의회에서는 선거를 앞둔 주지사의 예산안에 대해 적극 통과시킬 것으로 보인다. 주지사측은 작년말 기준 일리노이 주정부가 17억달러에 달하는 세금이 더 걷힌 만큼 팬데믹으로 인해 고통 받은 주민들에게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선거전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지사의 이 같은 결정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 지 쉽게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당장 공화당 주지사 예비후보인 리차드 어빈 오로라 시장은 "선거가 있는 해에 나오는 속임수는 일리노이 주의 통제 불가능 상태에 빠진 범죄와 높은 세금, 부정 부패를 해결할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주지사가 필요하다"는 성명서를 내놓으며 각을 세웠다. Nathan Park 기자프리츠커 재선 프리츠커 주지사 재선 도전 일리노이 주지사
2022.02.01. 14:18
장연화 기자사진설명 재선 재선 도전
2021.11.21.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