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대학 예산 압박, 입학 사정에 직격탄…조기 재정 설계해야 원하는 대학 입학

가을학기는 대학 진학을 앞둔 고교 12학년생들에게 가장 바쁘고 결정적인 시기다. 하지만 입시를 준비하는 자녀보다 더 불안한 사람은 학부모다. 대학 지원서 작성, 원서 마감일 관리, 추천서 확인 등 자녀의 손발이 되어 돕는 부모의 마음은 그 어느 때보다 팽팽히 긴장돼 있다.   특히 밀레니엄 세대 자녀들의 대학 진학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경쟁률은 과거보다 훨씬 치열해졌다. 여기에 연방정부의 교육예산 삭감으로 재정보조 공식이 크게 바뀌면서 대학 입학사정에도 예기치 못한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대학마다 제한된 재원을 바탕으로 더 많은 지원자들을 검토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합격률은 해마다 낮아지고, 입시 불안감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학생과 학부모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더 많은 학교에 원서를 제출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학교는 단 한 곳뿐이다. 대학 입장에서는 등록률을 높이고 합격자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조기전형(early decision)과 조기지원(early action)의 합격률이 오히려 낮아졌으며, 전체 지원자의 70~80%가 ‘디퍼드(Deferred)’ 판정을 받는 것이 일상이 됐다.   대학들은 합격자 관리에 더욱 신중해졌다. 초기 합격자 중 등록을 포기하는 학생이 많아지자, 이탈자를 메우기 위해 ‘웨이팅 풀(Waiting Pool)’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신중한 입학사정이지만, 실제로는 등록 가능성이 높은 학생을 중심으로 재정보조금 배분을 조정하는 전략이 숨어 있다. 그만큼 대학의 입시 행정은 단순한 선발 과정이 아니라 재정 운용의 한 축이 되어가고 있다.   학생이 안정권 대학에 조기등록을 했다가 더 선호하는 대학에서 합격 통보를 받으면 등록을 취소하고 이동하는 사례가 흔하다. 이후 또 다른 대학에서 합격 통보가 오면 다시 등록을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반복 과정에서 재정보조금 규모가 줄어드는 불이익이 발생한다. 원하는 대학이라면 부족한 금액을 개인 융자나 신용대출로 채워서라도 등록하려는 부모들이 적지 않다.   대학 입학사정의 이 같은 구조적 변화는 결국 가정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진다. 내년부터 연방정부의 고등교육 기금이 대폭 축소될 예정이어서 이런 압박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대학들도 정부 지원 축소로 자체 재정을 보전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재정보조 신청 내용이 입학사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니드 블라인드(Need Blind)’ 원칙이 실제로 얼마나 지켜질지는 의문이다. 더욱이 대학마다 ‘가정분담금(Expected Family Contribution)’ 산정 방식이 달라 부모들이 체감하는 부담도 제각각이다.   대학들은 제한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등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학생에게 장학금과 보조금을 더 후하게 제시하고, 대기자 명단 학생에게는 최소한의 지원만 제공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형평성 문제로 이어지고, 지원자 간 재정 여건에 따른 보이지 않는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입시가 단순히 성적이 아닌 ‘재정 경쟁’으로 변질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어온 ‘펠 그랜트(Pell Grant)’는 내년도부터 10% 이상 삭감된다. 대학 등록금은 계속 오르고,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학생 및 학부모 융자 한도는 더욱 제한됐다. 연간 지원금과 총 융자액에 상한이 생기면서, 중산층 가정의 부담은 과거보다 훨씬 커질 전망이다. 최근에는 일부 대학이 자체 재정보조 제도를 신설하거나 장학금 심사 방식을 조정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대학 진학의 문제는 단순히 합격의 여부가 아니라 가정의 재정 구조와 직결된 현실적 과제가 됐다. 자녀의 미래를 위해서는 조기 재정 설계가 필수이며, 학비 조달 계획을 미리 세우는 가정일수록 입시 과정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순히 원서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장학금·융자·세금공제 혜택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설계가 필요하다.   대입 환경은 매년 변하고, 정부 정책도 예측하기 어렵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원칙은 있다. 준비가 빠를수록 기회는 많아진다는 것이다. 정보의 격차가 재정의 격차로 이어지는 시대, 올바른 학자금 전략이 자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전 준비와 정확한 정보만이 불안한 대입 환경 속에서 가정을 지켜낼 유일한 해법이다.   ▶문의: (301) 219-3719    [email protected] 리처드 명 / AGM 인스티튜트 대표대학 입학 대학 입학사정 재정보조금 배분 재정보조금 규모

2025.11.09. 18:00

[학자금 칼럼] 학부모 주식투자·CD 등 관리 필요…재정보조금 평균과 차이 크면 어필

자녀가 대학에서 지원받는 재정보조금 규모가 한번 정해지면 매년 신청서를 제출해도 비슷할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학부모가 많다. 그런데 대학 학비는 매년 몇 퍼센트씩 계속 오르는데  재정보조금은 비슷한 수준에 머문다면 이는 분명 잘못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의 등록금 고지서는 단순히 숫자로만 기재되므로 재정보조 혜택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가볍게 지나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평가다.     재정보조금은 연간 총비용에서 대학이 적용하는 재정보조 공식과 해당 가정의 수입 및 자산 내용 변동에 대해서 매년 SAI (Student Aid Index) 금액, 즉 가정에서 우선 감당해야 할 금액을  계산하고 연간 총비용에서 계산된 SAI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금액을 RN(Remaining Need) 금액, 혹은 FN(Financial Need)금액이라 부른다.     그리고 대학이 해당연도에 정한 예산 기준에 따라 이 FN 금액에 대해서 각 신청자에 몇 퍼센트의 재정보조지원금을 지원할지 형평성에 맞게 지원하는 것이다. 물론, 재정보조금의 평가에 있어서 연방 및 주 정부 보조금, 대학 기금과 학부모가 얼마나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로 결정을 한다. 그러나, 지난 2년 전부터 연방정부의 재정보조 공식에 대한 변화와 그 평가 기준의 재설정으로 인해 대학들은 학부모와 자녀의 수입에 따른 재정보조 지원 퍼센트의 기준을 단계별로 나눠서 적용 퍼센트를 달리 계산하는 테크닉(?)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의 연간 총비용은 증가했는데 재정보조금은 예년과 비슷하거나 아니면 더 줄었다면 이는 반드시 검증해서 대학 측에 전략적인 어필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연간 재정보조금 지원이 대학의 RN 금액의 평균치와 3000달러 이상 차이가 난다면 이는 Need Based의 연방정부 재정보조 기준에서 벗어난 이른바 재정보조의 차별을 받은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라면 반드시 전략적인 어필을 진행해야만 할 것이다. 대개 1차 어필의 경우에 아예 대학에서 거절을 위한 답변을 준비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을 고려할 때보다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어필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왜 재정보조금의 고착상태가 해당 가정에 지속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져봐야 한다.     예를 들면, 학부모가 많지 않은 주식을 계속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매년 주식을 사고팔 때마다 양도소득(Capital Gain)은 개인 수입으로 기록될 것이다. 주식의 총액이 2만 달러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해도 재정보조 담당관의 눈에는 재정보조 신청을 하면서 주식투자는 왜 하는지 의아하게 보일 수도 있다. 투자 여력이 있다면 자녀 학자금으로 우선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자못 괘씸하게 생각하거나 의아하게 여길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재정보조 공식의 적용기준으로 증가하는 SAI 금액보다 더 많은 SAI 금액을 적용해 결과적으로 재정보조금에서 그 주식투자 금액만큼 해당연도에 지원을 낮춰서 제의해 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해당 주식을 매년 가지고 있는 한 이러한 투자 내용 때문에 재정보조 담당관의 편견이 지속해서 적용될 수도 있다는 가정을 배제할 수가 없다.     또 다른 예로는 작년에 CD(양도성 예금)에 큰돈을 넣어두었다가 자녀의 대학 학자금 마련을 위해, 아니면 가정의 재정 상황 변화로 모두 인출해 사용했다고 가정해 보자. 현재는 이 금액이 수중에 없어도 재정보조 신청 시 입력하는 세금보고서 적용 기준의 수입 내용은 대학 등록 시점보다 2년 전의 수입을 적용해 입력하므로 여전히 대학에 제출하는 세금보고서에는 이자수입과 원금, 해당 금융기관의 이름 등이 기재되어 대학으로 보내진다. 이렇게 되면 재정보조 담당관의 편견을 쉽게 피하기 어렵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강구하지 않는 한 더 나은 재정보조 지원을 받기 힘들다는 해석이다. 이러한 상황에는 반드시 전략적인 어필 방안을 모색해 대처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연도의 재정보조금이 수천~수만 달러 차이가 쉽게 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갖가지 상황을 모두 나열하려면 지면이 부족하다. 무엇보다 재정보조 공식에 대한 자세한 이해와 진학할 대학의 재정보조 수위 및 계산평가 방식을 사전에 분석하면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의:(301)219-3719    [email protected] 리처드 명 대표 / AGM인스티튜트튜트학자금 칼럼 재정보조금 주식투자 연간 재정보조금 재정보조금은 예년 재정보조금 규모

2025.09.28.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