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온주, 재활용 규제 완화 추진 논란

  온타리오 주 정부가 생산자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재활용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환경단체와 업계 간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더그 포드 주총리 정부는 당초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강화된 재활용 목표를 2031년으로 연기하고, 일부 조항은 아예 삭제하는 내용의 규제 개정안을 발표했다.   해당 규제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돼 생산자가 종이•포장재•일회용품의 재활용을 직접 책임지도록 한 시스템이다. 하지만 최근 생산자들은 “운영 비용이 급등해 감당이 어렵다”며 반발했고, 주 정부는 이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명목으로 규정 완화를 추진 중이다.   토드 맥카시 온타리오 환경부 장관은 “블루박스(재활용 수거 시스템)의 지속 지속가능성이 중요하다”며 “재활용이라는 목표는 유지하되, 투명성과 비용 절감을 위한 현실적인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환경 비영리단체인 ‘Environmental Defence’의 카렌 위르지그 매니저는 “이번 조치는 생산자의 책임을 약화시키고, 더 많은 쓰레기를 매립하거나 소각하게 만든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전 규정은 생산자가 재활용 가능한 포장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중요한 장치였다”며 “현재 계획은 이 모든 진전을 물거품으로 만든다”고 비판했다.   규제 완화 주요 내용 1. 종이 80%, 플라스틱 50% 등 재활용률 목표치 적용 시기 2026년 → 2031년 연기 2. 재활용 불가능한 소각 처리 물질도 재활용률에 최대 15%까지 포함 3. 다세대 주택•장기 요양시설•학교•공공장소 수거 의무 조항 삭제 4. 야외 소비 음료 용기의 수거 책임 조항 제외   특히 환경단체들이 지적하는 부분은 ‘연성 플라스틱(flexible plastics)’ 관련 규제다. 식품 포장지, 비닐백 등이 포함되는 이 부문은 재활용이 어려운 대표 사례로 꼽힌다. 당초 해당 제품의 재활용률 목표는 2026년부터 25%였으나, 개정안에선 2031년부터 5%로 축소•연기됐다. 정부 측은 “현 재활용률이 5%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통계는 제시하지 않았다.   캐나다 리테일협회는 “생산자 부담 비용이 최근 3년간 350%나 급증했으며, 이를 그대로 두면 내년에는 다시 두 배 가까이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온주 정부도 이에 동의하며 “2020년 대비 2030년 블루박스 수거 비용이 2배 이상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와 환경계 모두 ‘불만’ 음료 산업을 대표하는 캐나다 음료 협회(Krista Scaldwell 회장)는 “재활용을 통해 자원을 다시 용기로 재사용할 수 있어 기업에도 이익이 된다”며 “비용 구조를 이해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규제 완화안에 대한 의견은 오는 7월 21일까지 규제 등록 포털을 통해 접수받는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이번 변화가 생산자 중심의 재활용 개혁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것이라며 법 개정 저지를 위한 캠페인을 예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재활용 규제 재활용 규제 규제 완화 재활용 수거

2025.06.25. 12:37

썸네일

귀넷 '드라이브스루' 재활용 수거 행사

귀넷 카운티가 '미국 재활용의 날'을 기념해 오는 5일 평소 재활용하기 힘들었던 물품을 수집해 재활용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행사는 로렌스빌 '쿨레이 필드'(2500 Buford Drive)에서 오전 9시~오후 12시 동안 진행되며, 귀넷 카운티 고형 폐기물 관리 부서와 쓰레기 불법 투기 단속 및 귀넷의 환경 미화를 담당하는 '귀넷 클린 & 뷰티풀'에서 후원한다.     재활용품을 가지고 오는 주민들은 차에 타고 있어야 하며, 직원들이 직접 차에서 물품을 내린다. 이때 물품은 모두 일회용 컨테이너에 담겨 있어야 되고, 컨테이너는 돌려받지 못한다.     이날 수거하는 물품 종류로는 전자제품, 의류, 운동화, 타이어 및 종이 등이 있다. 작은 전자기기는 무료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 콘솔 텔레비전의 경우 35달러, 벽걸이 텔레비전과 컴퓨터 모니터는 15달러, 프린터는 5달러를 받는다.     흔히 재활용되는 전자제품으로는 DVD·CD 플레이어, 키보드, 스피커, 핸드폰, 마이크 등이 있다.     수거 수량이 한정된 품목도 있다. 타이어는 차량 한 대당 8개까지, 페인트(라텍스 혹은 오일 성분)는 10 갤런까지다. 종이 파쇄 서비스도 제공하지만, 복사용지 상자 5개 용량까지만 받는다.   한편 미국 재활용의 날은 11월 15일이며, 전국적으로 재활용 교육 및 선전을 하는 날이다.  윤지아 기자드라이브 재활용 재활용 수거 재활용 교육 수거 수량

2022.11.01. 13:25

썸네일

귀넷 카운티 재활용 수거 재개

지난 3주간 이어졌던 귀넷 카운티 일부 지역의 재활용 수거 중단 사태가 종료됐다.   28일 귀넷 카운티에 따르면 귀넷 카운티에서 재활용품 수거를 맡아온 리퍼블릭 서비시즈는 이번 주부터 재활용 수거 작업을 재개했다.   앞서 지난 4일 리퍼블릭 서비시즈 담당 직원 일부가 코로나19 오미크론에 감염돼 병가를 내면서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로 인해 재활용품과 일부 부피가 큰 쓰레기는 수거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 6만7000가구의 재활용 수거는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퍼블릭스 서비시즈에 따르면 여전히 부피가 큰 물품과 야드 쓰레기에 대한 수거 작업은 여전히 중단되고 있다.   리퍼블릭 서비시즈는 불편한 이들을 위해 부피가 큰 쓰레기들을 가져다 놓을 매립지를 마련했다. 최대 2개까지 무료로 가져다 놓을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홈페이지=https://www.republicservices.com 박재우 기자카운티 재활용 재활용품 수거 카운티 재활용 재활용 수거

2022.01.28. 14:4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