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저녁에도 맘놓고 걷고 싶다

LA 한인타운은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고밀도 주거지지만, 주민들이 마음 놓고 쉴 수 있는 녹지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필요한 것은 대형 공원이나 숲이 아니다. 직장과 집, 카페와 식당을 오가며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여유를 누릴 수 있는 ‘생활 밀착형 공원’이다.   한인타운에 거주하는 황인규(30)씨는 “한국에는 저녁 식사 후 산책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며 “한강 같은 대형 공원은 물론 동네 작은 공원까지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지만, 한인타운에는 저녁에 마음 편히 이용할 만한 공간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3월 결혼한 황씨는 아내와 집 앞을 걷고 싶지만, 결국 차를 몰고 라치몬트까지 나가야 한다고 토로했다.   한국에서 최근 이주한 또 다른 한인도 “요즘 한국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저녁 러닝 모임이 활발하다”며 “공원에서 운동하고, 운동 후 삼삼오오 모여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자연스럽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는 “한인타운에서는 교통, 안전, 노숙자 문제 때문에 저녁 시간에 공원을 찾는 건 엄두조차 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인타운 앤디 김(34)씨는 “새로운 공원이 조성돼도 치안이 확보되지 않으면 금세 노숙자들의 야영지로 변할 수 있다”며 “가로등 확충과 보안 카메라 등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조경보다 ‘안전’이 전제돼야 공원이 실제 기능을 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공원은 단순히 산책 공간을 넘어 관계를 이어가는 장소로서도 의미가 크다. 뉴욕에서 대학을 졸업한 김채린(25)씨는 “뉴욕에서는 친구들과 약속 장소를 공원으로 정하곤 했다”며 “공원에서 시작하면 분위기가 달라지고, 대화도 더 풍성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한인타운은 밥 먹고 차 마시는 만남에 치우쳐 있다”며 “공원이 생긴다면 관계 맺는 방식이 달라지고, 여유로운 일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한인타운 주민들의 바람은 분명하다. 안전과 여유를 담아낼 수 있는 생활 밀착형 녹지 공간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김경준 기자산책 한인 녹지 공간 la 한인타운 저녁 시간대

2025.09.28. 19:0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