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캐나다축구협회 적자 확대

  캐나다축구협회(Canada Soccer)가 2024년 400만 달러(약 5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250만 달러에서 더 늘어난 수치지만, 올해 초 예측했던 420만 달러보다는 다소 낮았다. 협회는 이번 적자를 기존의 현금 보유분 590만 달러로 충당했다고 밝혔다.   케빈 블루 캐나다축구협회 CEO는 “예상보다는 나았지만, 이 정도 규모의 적자 운영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2025년에는 적자를 줄이고, 2026년에는 균형재정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2025년 약 240만 달러 규모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2024년 협회의 총수입은 3,754만 달러였으며, 지출은 4,112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수입과 지출 모두 증가한 수치다. 수입에는 회원비 720만 달러, 상업 및 기타 수입 1,590만 달러, 정부 보조금 370만 달러, FIFA 및 CONCACAF로부터의 지원금 1,070만 달러가 포함됐다. 이 중 약 200만 달러는 자선기부금으로, 향후 몇 년간 총 1,000만 달러 이상이 들어올 예정이라고 협회는 밝혔다.   이러한 기부금은 최근에 선임된 국가대표팀 감독 제시 마쉬와 케이시 스토니의 영입에도 활용됐다. 지출의 대부분은 국가대표팀 운영비로 2,110만 달러, 일반 행정비로 600만 달러가 사용됐다.   한편, 캐나다축구협회는 캐나다축구비즈니스(CSB)로부터 연간 300만~400만 달러의 방송 및 후원권 수입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계약은 선수들로부터 "캐나다 축구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양측은 계약 구조 재조정을 협의 중이다. CSB 계약은 2027년 12월 1일까지이며, CSB의 결정에 따라 최대 2037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협회는 FIFA로부터 2023년 6월에 500만 달러(미화 기준)의 무이자 대출을 받아, 코로나19로 인한 재정적 충격을 완화했다. 이 중 400만 달러는 모든 연령대의 국가대표팀 운영에, 100만 달러는 필수 인력 재고용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상환은 2027년부터 2031년까지 매년 100만 달러씩 분할로 이루어진다.   캐나다축구협회는 현재 재정적 불안 속에서도, 안정적인 투자와 재정 구조 개선을 통해 향후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축구협회 적자 캐나다축구협회 적자 이번 적자 국가대표팀 운영비

2025.06.02. 9:33

썸네일

[사설] LA시 적자, 안일한 정치의 민낯

LA시의 재정난이 심각한 수준을 넘어 위기다. 내년 예산 부족액이 10억 달러에 달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각종 세금에 벌금까지 성실하게 따박따박 낸 시민들에겐 분통 터질 소식이다.   재정 위기는 갑작스런 사태가 아니다. 세금 수입 감소와 부채 증가도 한몫했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지속 불가능한 지출 패턴’이 핵심 원인이다. 팬데믹 이후 LA에서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소비 증가에 힘입어 세수가 급증했다. 일시적 현상이었음에도 시정부는 무리하게 지출을 늘렸다. 특히 공무원 노조에 밀려 임금 인상을 강행했다.   지난 2024~2025년 예산안을 찾아봤다. 인건비는 대책 없이 지급됐다. 산하 39개 부서 예산 편성액의 76.9%가 급여다. 액수로는 무려 45억2929만7771달러다. 임금 인상 협상에 따라 내년에는 추가로 2억5000만달러를 더 줘야한다.   이런 예산 집행에 대해 경제학자 크리스토퍼 손버그는 “미친 듯한 지출”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경제가 둔화하였음에도 공무원 임금을 크게 인상했고 노숙자 문제에도 많은 돈을 썼다”고 지적했다.   눈앞의 정치적 안정을 꾀하려 공무원 노조의 반발을 달래기 급급해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미친 듯한 지출’의 근본 원인은 결국 정치인들의 안일함에 있다. 보고서가 발표된 후 캐런 배스 LA시장은 “어떤 부서나 프로그램도 성역 없이 (효율성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발언은 유체이탈 화법으로 들린다. 위기는 진작에 예상됐을텐데 이제서야 검토하겠다니 몰랐다는 뜻인가.   시의원들도 마찬가지다. 밥 블루멘필드 시의원은 “우리 모두 이 숫자에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런데 그가 충격을 받았다는 말이 더 충격적이다. 그는 예산위원회 소속이다. 어떻게 예측 못 할 수 있는가.   방만하고 근시안적인 재정 운영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의 몫이 됐다. 시정부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 위해 ‘수천 명 규모’를 감원해야 한다. 이미 시민들이 체감하고 있는 공공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더 심화된다는 뜻이다.   세수 확보를 위해 각종 요금도 올린다고 한다. 쓰레기 수거 요금과 주차 위반 과태료 인상이 1차 대안이다. 재산세도 오를 수 있다. 시의 전체 세수중 재산세는 20% 이상으로 가장 많다.     정부 재정이 어렵다는데 고통 분담은 해야한다. 그런데 허리띠를 졸라매기만 하면 과연 다 해결되는가.  지금이라도 시정부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건전한 재정 운영 시스템 확립이 시급하다. 현실적인 세수 예측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장기적인 재정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배스 시장의 내년 예산안 제안 법정 마감일은 4월21일이다. 그때까지 10억 달러의 적자를 메우기 위한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앞서 그는 산불 재건을 ‘빛의 속도’로 하겠다고 했다. 시 살림살이부터 빛의 속도로 수립할 때다.사설 la시 적자 재정 위기 내년 예산 공무원 임금

2025.03.26. 19:43

뉴욕 일원 병원 영업이익 적자

팬데믹 이후 뉴욕 일원 병원들이 여전히 영업이익 적자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대(NYU) 랭곤 병원 등 일부 병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병원이 영업이익률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인건비 급등과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이다.   8일 크레인스뉴욕이 컨설팅사 코프먼 홀(Kaufman Hall)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10월 뉴욕·뉴저지·커네티컷에 위치한 병원들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에릭 스완슨 코프먼 홀 부사장은 “이들 3개 주의 병원 실적이 매월 나아지고 있지만 전국적인 수준으론 여전히 미흡하다”며 “많은 병원이 수익을 내지 못하는 매우 부정적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뉴욕시의 경우 NYU 랭곤 병원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영업적자를 보였다. NYU 랭곤 병원의 3분기 영업이익률은 9.4%였으며 뉴욕 프레스비테리언 병원 역시 3.3%의 양호한 이익률을 기록했다.   다만 노스웰헬스는 -0.3%, 마운트시나이병원은 -4.2% 등 적자를 면치 못했다. 롱아일랜드 가톨릭헬스(-1.6%), 맨해튼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1.7%) 등도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였다.   메디케이드 환자가 많은 브루클린 메이모니즈 메디컬센터의 경우엔 영업손실률이 12%에 달했다.   팬데믹으로 환자 수가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를 본 건 직원 급여와 의료용품 비용 등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스완슨 부사장은 “대도시, 특히 뉴욕시는 높은 인건비로 인해 모든 비용이 비싸다”며 “뉴욕시 의료용품 공급업자들도 마찬가지로 비싼 인건비를 감당하기 위해 공급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병원들의 적자는 4분기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건비 부담이 계속되는 가운데 병원 간 경쟁은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이익률이 개선될 가능성은 있지만 흑자 전환은 당분간 어렵다는 분석이다. 코프먼 홀은 “인건비는 줄어들 가능성이 없고, 경쟁에 적응할 준비가 되지 않은 병원은 더욱 취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내년에는 병원 간 수익 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영업이익 적자 영업이익 적자 뉴욕 일원 주의 병원

2023.12.08. 20:51

[오늘의 생활영어] go under; 적자다, 손해를 보다

(Kathy and Erica are talking about where to go for lunch… )   (캐시와 에리카가 어디서 점심을 먹을까 얘기중이다….)   Kathy: Let's go to that Italian restaurant we went to before.   캐시: 전에 갔던 그 이탈리안 식당에 가자.   Erica: They're not in business anymore.   에리카: 거긴 더 이상 영업을 안해.   Kathy: What happened? The food was so good there.   캐시: 왜? 음식이 너무 맛있었는데.   Erica: They went under.   에리카: 적자가 났어.   Kathy: Really? That's too bad. I liked that place.   캐시: 정말? 그거 너무 안됐다. 난 좋았는데.   Erica: I know. Me too.   에리카: 그러게. 나도.   Kathy: So where should we go? We only have an hour you know.   캐시: 그럼 우리 어디 가지? 한 시간 밖에 없잖아.   Erica: Let's give that Mexican restaurant a try.   에리카: 그 멕시코 식당 한 번 가볼까?   Kathy: Okay. I like Mexican food.   캐시: 그래. 난 멕시코 음식 좋아.   Erica: There's usually a long line to get in.   에리카: 보통은 들어가려면 줄이 길어.   기억할만한 표현   * they're not in business: 폐업하다 문닫다   "That shoe store is closed. They're not in business anymore." (그 신발 가게는 닫았습니다. 더이상 영업 안해요.)   * let's give (someone or something) a try: 시도해보다   "Let's give that market downtown a try. Maybe they're open." (다운타운에 있는 그 마킷에 가봅시다. 어쩌면 열었을 수도 있죠.)   * a long line to get in: 줄이 길다     "That cafe is so good there's usually a long line to get in." (그 카페는 아주 좋아요 보통 들어가려면 줄이 길어요.)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적자 손해 mexican restaurant long line erica are

2022.08.10. 19:48

[브리프] '무역 적자 1000억불 넘어서' 외

무역 적자 1000억불 넘어서   무역 적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연방 상무부는 지난 3월 상품·서비스 등 무역수지 적자가 1098억 달러로 전월보다 22.3% 급증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 1월 897억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067억 달러도 상회했다.     수입은 3515억 달러로 전월보다 10.3%, 수출은 2417억 달러로 전월보다 5.6% 각각 증가했다. 수입과 수출 모두 사상 최대치다. 특히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크다고 주류 언론들은 분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가를 비롯한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수입 금액이 더욱 커진 것이다.   월별 수입은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 연속 3000억 달러 선을 넘었다. 미국의 수요가 다른 나라들의 경제 활동을 훨씬 초과한다는 점에서 당분간 무역 적자 폭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관측했다.   4월 민간 고용 증가 기대이하   기업들의 구인난이 이어지며 지난달 민간 고용 규모가 월가의 예상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4일 4월 민간 고용이 전월보다 24만7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39만명 증가를 예상했던 다우존스 전문가 예상에 크게 미달한다. 3월 47만9000명(상향 수정된 수치) 늘어났던 것에 비해서도 증가폭이 대폭 둔화됐다.   세부적으로 소기업 고용이 줄며 4월 민간 고용 건수를 끌어내렸다. 근로자 수가 50명 미만인 소규모 사업장에서 고용은 전월에 비해 12만명 줄었으며, 근로자 수 20명 미만의 사업장에서는 고용이 9만6000명 줄었다.   기업들의 구인난이 계속되는 가운데, 구직자들이 근로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소기업을 기피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근로자 수가 500명 이상인 대기업에서는 고용이 32만1000명 늘며 소기업에서의 고용 감소를 일부 상쇄했다. 업종별로는 레저 및 접대 부문의 고용이 7만7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 및 비즈니스 부문은 5만명, 교육과 보건 서비스 부문은 4만8000명으로 집계됐다.브리프 무역 적자 무역수지 적자 무역 적자 소기업 고용

2022.05.04. 18:35

"지속된 적자 운영 등 현 이사회 책임져야"

아리랑 노인아파트 운영권을 놓고 대립하는 재미한국노인회(회장 박건우, 이하 한국노인회)와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이사장 안창해)가 새 국면을 맞았다.     한국노인회는 10년 넘게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를 독점한 찰스 김씨의 이사장 사임으로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한국노인회 측은 지난 10년 동안 찰스 김씨 중심으로 운영된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의 전면 해체를 요구했다.   이사회 새로 꾸려야    18일 한국노인회 박건우 회장은 LA한인타운 JJ그랜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는 한국노인회가 정관에 따라 이사 선임권을 갖고 있다.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는 주택도시개발청(HUD) 등 정부기관 이사만 남고 다른 이사들은 모두 사퇴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노인회에 따르면 아리랑 노인아파트는 1993년 10월 28일부터 한국노인회 주도로 건립에 나서 1995년 5월 16일 할리우드에 8층 높이 75유닛짜리 아파트로 완공됐다. 이후 한국노인회는 아리랑 노인아파트 관리를 맡을 별도의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를 만들었다고 한다.   박건우 회장은 “2010년 백춘학 전 회장과 구자온 전 회장이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의 정관개정 무효, 찰스 김 당시 이사장 해임 등을 통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이후 찰스 김씨는 이사회를 독단적으로 운영했다. 현재 이사진 모두가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국노인회 측은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가 연방국세청(IRS)에 보고한 세금보고 자료를 토대로 ▶2007~2019년 사이 매년 6784~10만733달러에 달하는 적자 발생 ▶연방주택도시개발청(HUD) 지원금과 LA시 커뮤니티재개발국(CRA) 기금 약 820만 달러 상환의무 불이행 등을 지적했다.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는 IRS 세금보고에서 2010~2019년 동안 수입 매년 41만~47만 달러, 지출 매년 62만~67만 달러(인건비 매년 6만6000~7만9000달러 포함)로 보고했다. 현재 아리랑 노인아파트 부지와 건물 시가는 2019년 약 3200만 달러로 알려졌다.   아리랑 하우징은 독립단체   18일 아리랑 하우징 이사장 사임 사실을 밝힌 찰스 김씨는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는 한국노인회와 상관없는 독립단체”라고 밝혔다.     김씨는 “(1993년~1995년) 당시 한국노인회 정의식 회장이 노인아파트를 건립하겠다고 해서 기금모금을 시작했다. 한국노인회와 노인아파트 건립을 많이 했던 유대계 한 단체(UDHC)와 합작해 HUD의 5가지 심사를 통과, 아리랑 노인아파트를 건립했다”면서 “하지만 당시 정의식 회장은 (한인사회 모금액) 30만 달러 중 1만5000달러만 투입했다. 노인들은 아리랑 노인아파트에서 자꾸 무언가를 챙기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이어 “약 10년 전쯤 백춘학 전 회장이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를 한국노인회에서 떼어 내라고 했다. 이사회를 열고 (정관을 개정해) 비영리단체를 독자적으로 만들고 이사회 내에서 자체적으로 이사도 선임하도록 했다. 하지만 백춘학 회장이 이를 번복했고 이사회에도 나오지 않았다. 그 뒤로 자체 이사회가 구성됐다”고 덧붙였다.   양측 대화 가능성 남아   찰스 김씨가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 이사장직을 사임하면서 양측은 대화 가능성도 열어놨다.   박건우 회장은 “현 아리랑 하우징 이사진 모두가 사퇴하길 바라지만 새 이사장과 대화를 먼저 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찰스 김씨도 “(노인회 측과 대화는) 새 이사장과 이사회가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본지는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 새 이사장 안창해씨와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김형재 기자이사회 적자 아리랑 노인아파트 아리랑 하우징 한국노인회 박건우

2022.01.18. 22: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