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일원 물가가 전국 대도시 평균 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뉴요커들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13일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 일원(뉴욕시-뉴왁-저지시티)의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월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2.7%) 대비 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1% 올랐다. 식품 가격은 3.4%, 에너지 가격은 3.9%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뉴욕 일원 물가가 타 지역대비 월등히 빠르게 오르고 있는 이유로 주택 비용을 꼽고 있다. 뉴욕과 그 주변 렌트는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4.7% 올랐는데, 렌트 상승률이 전국 평균 상승률(3.9%)을 크게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뉴욕시장 후보들이 중산층 표심을 잡기 위해 너도나도 '렌트 가격 잡기'를 주장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퀸즈 평균 렌트도 월 3000달러를 넘어섰고, 전년동기대비 4.58%나 올랐다. 수요보다 렌트 공급이 지나치게 적은 탓에 렌트는 계속해서 오르는 추세다. 뉴욕 일원의 에너지 가격은 3.9% 상승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1.6% 하락한 미국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특히 뉴욕 일원 휘발유값은 11.4% 하락했음에도 에너지 가격은 올라 충격을 줬다. 브루스 버그먼 노동통계국 이코노미스트는 "천연가스와 전기 가격 상승 때문"이라고 밝혔다. 교육 및 보육비 상승 또한 뉴욕 지역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뉴욕 일원의 수업료와 보육비는 전년대비 5.9% 올라 전국 평균(3.5%)을 크게 앞질렀다. 자녀 교육비 부담이 커 뉴욕을 떠나는 부모들이 많아지는 이유다. 지역 식료품 물가 역시 뉴욕에선 3.5% 올랐지만, 전국 평균은 2.2% 상승에 그쳤다. 다만 유일하게 뉴욕 지역 의료비는 1.9% 오르면서 전국 평균(3.5%)보다 덜 올랐다. 뉴욕 일원 물가상승률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물가 상승이 예상되는 시점에 발표돼 더 주목받고 있다. 맨해튼에 거주하는 한 한인은 "모든 가격이 앞으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돼 화장품 등 꼭 필요한 제품은 미리 사 두려고 하고 있다"며 "렌트도 줄이기 위해 아예 이사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시 경제개발공사(NYCEDC)는 "올해 뉴욕시 연간 물가상승률은 3.9% 수준, 내년은 2.8% 수준으로 전국 평균을 각각 0.6%포인트, 0.2%포인트 웃돌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일원 전국 소비자물가 뉴욕 일원 뉴욕 지역
2025.08.13. 19:55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방 노동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2월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9.8%나 급등, 1981년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거비, 차량, 운송, 식품 등의 가격 상승이 물가 오름세를 주도했다. 애틀랜타의 소비자 물가 상승폭은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7.0%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조지아 귀넷 칼리지의 제이슨 델라니 교수(경제학)는 소비자와 기업, 경기부양 자금 살포, 글로벌 펜데믹과 공급망 혼란 등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물가 급등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애틀랜타 지역의 물가 상승폭이 전국 상승률을 웃돌고 있는 것에 대해 "애틀랜타 지역 경제의 활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살기 좋은 곳이라고 생각되면 망설이지 않고 돈을 쏟아 붓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지난 1년간 주택 가격과 렌트비는 두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거비는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서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또 메트로 지역에서 새 차 가격은 지난해 평균 33% 올랐고, 중고차 가격은 37%나 급등했다. 의류 가격은 14% 올랐으며, 자동차용 개스 가격은 무려 56%나 치솟았다. 가정용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2%, 수업료는 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7.0%는 지난 1982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전월(6.8%)보다 상승폭이 더 커졌다. 다만 전월 대비로는 0.5% 올라 11월(0.8%)보다 오름폭이 둔화된 모습이다. 김지민 기자애틀랜타 최대폭 소비자 물가지수 전국 소비자물가 애틀랜타 물가
2022.01.12.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