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집값보다 더 빨리 오르는 재산세… 가주 납세자 한숨

재산세(Property Tax)가 집값 상승과 지방세율 인상으로 인해 빠르게 오르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터닷컴이 지난 1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재산세 중간값은 3500달러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연간 재산세를 가장 많이 낸 곳은 뉴저지(9413달러)였으며 한인 집중 주거지역인 캘리포니아는 5248달러로 상위 9위를 기록했다. 〈표 참조〉   조엘 버너 리얼터닷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주택 가격 상승률보다 세금 증가율이 더 빠른 주도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이 오르는 와중에도 세금이 낮아지는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재산세는 일반적으로 주택 가치에 고정 세율을 적용해 결정되는데 집값이 높은 동북부 지역일수록 세금 부담도 큰 편이다.   반면 남부 주들에서는 집값이 전국 평균보다 낮기 때문에 세율이 같아도 실제 부담금이 적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가장 낮은 재산세를 낸 곳은 웨스트버지니아(728달러), 앨라배마(804달러), 아칸소(871달러) 등으로 1000달러 미만이었다.   다만 리서치 애널리스트 해나 존스는 “플로리다(3659달러)나 텍사스처럼 중저가 주택이 많은 주에서는 세율이 다소 높아도 절대 세금액은 비교적 낮게 나온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재산세가 단순히 부담금이 아니라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재원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허리케인 피해를 받은 곳 중에서 일부 고세율 카운티는 2~3일 만에 복구가 완료됐지만, 저세율 지역은 한 달 가까이 걸린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하지만 재산세 인하 여론이 거세지면서 일부 주에서는 세금 감면 또는 폐지 법안까지 논의되고 있다.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최근 “집을 완전히 갚았는데도 매년 정부에 돈을 내야 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며 부동산세 폐지를 지지하고 나서는 등 일부 관련 입법도 진행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최인성 기자재산세 전국 전국 재산세 연간 재산세 전국 평균

2025.10.20. 19:54

썸네일

뉴저지주 재산세율 또 전국 1위

뉴저지주 재산세율이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주 재산세율 역시 전국 상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3일 금융정보업체인 월렛허브레이팅이 조사·발표한 ‘전국 재산세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뉴저지주 주민들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재산세를 냈다. 뉴저지주 재산세율은 2.47% 수준으로, 뉴저지주 주택 중간값이 35만5700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평균적으로 약 8797달러의 재산세를 부담하고 있는 셈이 된다. 이는 전국 평균 미국 가정이 부담하는 재산세 금액(2690달러)의 3배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재산세율이 높은 곳은 일리노이주로, 2.23%를 기록했다. 다만 주택 중간값이 21만2600달러로 뉴저지주에 비해 낮은 편이라 평균적으로 감당하는 재산세(약 4744달러)는 적은 편이었다. 이외에 커네티컷주(2.15%), 뉴햄프셔주(2.09%), 버몬트주(1.9%) 등이 높은 재산세율을 기록했다.     뉴욕주 역시 재산세가 전국에서 비싼 편이다. 지난해 뉴욕주 재산세율은 1.73%로, 주택 중간값(34만600달러)을 고려하면 뉴욕주 주민들은 평균 5884달러 규모의 재산세를 납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전국에서 재산세율이 가장 낮은 주는 하와이주로, 0.29%에 그쳤다. 다음으로는 앨라배마주(0.41%), 콜로라도주(0.51%)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뉴저지주와 뉴욕주 등 재산세율이 높은 곳에서 주택을 구매할 계획이 있다면 모기지 부담액 뿐 아니라 재산세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저지주 재산세율 뉴저지주 재산세율 뉴욕주 재산세율 전국 재산세

2023.02.23. 21:3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