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7월 1일, 6.25 전쟁 발발 닷새만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의 다급한 전갈을 받은 맥아더 장군은 딘 소장 휘하의 미 24사단 보병 병력을 한반도에 투입했다. 제2차 세계대전 승리의 환희가 채 가시기도 전, 미군 장병들은 오산에서 한국전쟁의 첫 참혹한 전투를 치러야 했다. 이후 8월, 워커 사령관의 대전 사수 명령을 받은 딘 소장은 밀려드는 적의 전차 부대에 맞서 오직 보병 병력만으로 대전을 지켜내려 사투를 벌였다. 그는 직접 3.5인치 로켓포를 들고 적의 T-34 전차를 격파하며 전장을 누볐다. 그러나 혼전 속에서 부대와 떨어진 딘 소장은 36일간 산속을 헤매다 안타깝게도 한 농부의 밀고로 북한군에 붙잡히는 신세가 되었다. 3년간의 길고 고통스러운 포로 생활 끝에 풀려난 딘 소장에게 미국 정부는 미군 장성으로서 보여준 그의 군인 정신을 높이 평가하여 최고 훈장을 수여하려 했다. 그러나 딘 소장은 “사단장으로서 적군의 포로가 된 행위는 결코 훈장을 받을 수 없다”며 이를 극구 사양했다. 그는 적 전차 격파는 어떤 하사관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었다며 겸손하게 세상의 관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그의 진정한 위대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딘 소장은 단돈 5달러에 자신을 밀고하여 3년간의 포로 생활을 겪게 했던 그 농부가 5년 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무지한 농민이 살기 위해 한 행동임을 헤아려 한국 정부에 감형을 간청했고, 결국 그 농부가 출소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딘 장군의 이러한 숭고한 정신은 당시 북한군 심문 통역을 맡았던 이규현(전 중앙일보 사장·문공부 장관 역임)씨의 증언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만약 외국에 파견된 우리 군 사령관이 그 나라를 위해 목숨 바쳐 싸우다 민간인의 밀고로 포로가 되었다면, 우리 국민과 국가는 과연 어떤 선택을 했을까? 딘 소장의 사례는 단순한 희생을 넘어선 인간적인 고뇌와 용서, 그리고 진정한 리더십에 대한 깊은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노영자·풋힐랜치독자 마당 윌리엄 전쟁 전쟁 영웅 소장 휘하 밀고로 포로
2025.06.29. 16:20
오래전에 100살을 넘게 살다가 세상을 떠난 숼리 힐다 와인드롭이란 여성이 프랭크 시내트라의 ‘마이 웨이(My way)’를 즐겨들었다고 한다. 그 노래의 ‘way’ 가 그녀의 삶의 방식과 너무 닮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재미있는 삶의 길을 택한 여인이었던 같다. 미·중 정상회담을 성사시킨 학자이며 외교전략가인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지난달 100살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사람은 언젠가는 죽기 마련인데 나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본다. 나이란 ‘생물이 태어나서 지낸 햇수’를 말하는데 사람도 생물이니 이 범주에 들어간다. 창조주가 만든 해를 지구 덩어리가 365일 걸려서 한 바퀴 돌아오면 한 해라 하니 그 도는 숫자가 사람에겐 나이가 되는 셈이다. 옛날 한국에서는 예순 살만 되면 오래 살았다고 환갑잔치를 요란스럽게 벌이곤 했으며, 일흔 살을 넘기기 어렵다보니 ‘70 고래희’란 말도 있었다. 그런데 어쩌다 여든 살을 살게 되면 더 오래 살고 싶다는 의미에서인지 망구순 (望九旬, 짧게는 망구)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물론 사람은 누구나 오래 살고 싶어 한다. 아무리 나이 든 사람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나이란 놈이 오래 살겠다는 늙은이의 기를 딱 꺾어 놓고 만다. 그래서 모세는 ‘세월이 제아무리 길다 해도 주의 목전에선 1000년이 지나간 어제 같고 밤의 한 점 같을 뿐’이라고 읊었다. 본인의 나이가 1000살이라고 말한 사람이 있었는데 프랑스의 전쟁 영웅 나폴레옹이다. 프랑스군이 밀랑을 점령하기 전날, 그는 어느 부인으로부터 저녁 만찬에 초대받았는데 이 부인이 나폴레옹에게 대뜸 이렇게 물었다. “장군님! 장군께서는 이미 많은 전쟁을 했고 수많은 승리를 거두었는데, 도대체 나이가 어떻게 되십니까?” 이 물음에 나폴레옹은 “부인! 나는 오늘 아직 이렇게 젊지만. 내일은 1000살이 됩니다.” 나뽈레옹은 ‘내일은 밀랑을 점령할 것’ 이란 말의 발음이 ‘내일은 1000살이 될 것’ 이란 말의 발음과 똑같은 데서 온 것을 재치있게 대답한 것이다. 오늘 한 세기를 넘게 사는 분이 있다. 연세대학교 김형석 명예교수다. 그는 “내가 아는 분들 가운데 일곱 분이 100세를 넘게 사셨는데 이분들의 공통점은 재산이나 명예엔 욕심이 없고, 화를 내거나 남을 욕하지 않는 감정이 아름다운 분들이에요”라고 말한다 위의 김 교수 말을 생각해 보면서 내 나름대로 그의 철학 사상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 높은 곳에 떠 있는 하얀 구름 사이로 밝게 보이는 달과 별, 그리고 푸른 하늘이 아름답고 착하고 참된 삶을 살라고 속삭이고 있지만, 그달과 별과 하늘이 구름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구려!”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열린광장 연세대학교 김형석 전쟁 영웅 헨리 키신저
2023.12.24.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