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달라스 고속도로 I-30, 루프 12, I-635 ‘미국서 가장 위험한 도로 탑 150’에 포함

 달라스 카운티내 주요 고속도로 3곳이 ‘미국에서 가장 치명적인 도로’(The Deadliest Roads in America)로 꼽혔다. 캘리포니아주 샌타애나에 본사를 둔 ‘퓨처 보석 보증’(Future Bail Bonds)사가 국립 고속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NHTSA)의 2019~2023년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달라스의 I-30 고속도로가 텍사스 주내에서는 4번째로, 전국에서는 23번째로 치명적인 도로로 분류됐다. I-30은 해당기간 동안 총 76건의 치명적인 교통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는 달라스 주내 도로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외에도 달라스 카운티내 루프 12(Loop 12)는 같은 기간 45건의 사망 사고가 발생해 전국 115위에, I-635는 43건으로 132위를 각각 기록했다. 보고서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미전역 9만6,257개 주요 도로에서 총 18만6,284명의 생명이 교통사고로 인해 희생됐다”면서, “미국 도로에서 지속되는 심각한 위험성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통계가 도로 주행 중 운전자의 지속적인 경계와 안전의식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준다고 강조했다. 미국 전체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는 캘리포니아 샌버나디노 카운티의 I-15로 나타났다. 이 고속도로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라스베가스까지 이어지며 최근 5년간 196건의 치명적 사고가 발생했다. 텍사스에서 가장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한 도로는 휴스턴의 I-45로, 총 88건이 발생해 전국 16위를 차지했다. 이 도로의 북부 구간인 ‘I-45 노스 프리웨이(North Freeway)’ 역시 별도로 집계돼 전국 124위에 올랐다.   이밖에도 미국에서 가장 치명적인 도로 탑 150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도로들은 ▲17위: 트래비스 카운티 I-35(치명적 교통사고 87건) ▲22위: 해리스 카운티 I-10(76건) ▲27위: 베어 카운티 I-410(73건) ▲32위: 엘파소 카운티 I-10(69건) ▲63위: 태런트 카운티 I-20(56건) ▲66위: 태런트 카운티 I-820(55건)▲114위: 해리스 카운티 FM 1960(45건) ▲130위: 베어 카운티 I-35(43건) ▲131위: 해리스 카운티 I-610(43건) ▲141위: 제퍼슨 카운티 I-10(42건) 등이다.   손혜성 기자미국 고속도로 해리스 카운티 트래비스 카운티 제퍼슨 카운티

2025.07.07. 9:44

썸네일

엘파소>이글>제퍼슨>라플라타>더글라스 순

 콜로라도 주내 엘파소 카운티를 비롯한 5개 카운티내 단독 주택(single-family home) 약 32만채가 산불 피해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 회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매년 작성하는 산불 피해 관련 윌파이어 보고서(Wilfire Report)에 따르면 콜로라도는 캘리포니아주, 플로리다주, 텍사스주, 뉴 멕시코주와 함께 미국내에서 산불 피해에 가장 취약한 톱 5개 주에 포함돼 있으며 특히 콜로라도와 뉴 멕시코주는 다른 3개 주 보다 인구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 주택비율에 따른 피해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욱 큰 것으로 파악됐다. 코어로직의 보험 솔루션 담당 선임 디렉터인 톰 라슨은 “콜로라도의 프론트 레인지(Front Range)는 지리적 특성상 콜로라도주에서 산불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황야(wildland) 경계선을 따라 자리잡은 많은 주택들이 산불로 인한 손실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콜로라도에서 산불 피해 위험 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엘파소 카운티였으며 이어 이글·제퍼슨·라플라타·더글라스 카운티 순으로 높았다. 엘파소 카운티내 산불 피해 위험 단독 주택은 3만8,560채로 콜로라도주내 최다다. 이어 이글 카운티가 2만4,048채, 제퍼슨 카운티는 2만3,164채, 라플라타 카운티는 2만1,637채, 더글러스 카운티는 2만827채로 집계됐다. 콜로라도 주인구통계국(State Demography Office)의 관련 통계에 따르면, 라플라타와 이글 카운티내 주택 4채 중 3채 가까이가 산불로 손실될 위험에 처해 있는 반면 더글러스 카운티와 엘파소 카운티는 주택 20채 중 3채, 제퍼슨 카운티는 주택 10채 중 1채 정도가 산불로 인한 손실 위험에 당면해 있다. 볼더 카운티는 지난해 말 발생한 대형 산불로 5억 달러 상당의 주택 1천여 채를 잃었지만 콜로라도주내 산불 위험 카운티 톱 5안에 들지는 않았다. 엘파소 카운티는 2012년 6월 왈도 캐년(Waldo Canyon) 산불로 약 350채의 집이 전소됐었다. 코어로직은 지난 10년 동안 미전역에서 산불로 연평균 680만 에이커가 불탔으며 1983년부터 1992년까지 산불로 인해 매년 평균 270만 에이커가 소실됐다고 밝혔다. 부동산 전문업체 레드핀(Redfin)의 별도 보고서에 의하면, 다른 주들은 산불 피해 위험이 1959년부터 1990년까지 건축된 주택의 23%에 불과한데 비해 콜로라도의 경우는 지난 10년 동안 지금까지 지어진 주택의 90%가 산불 위험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이 66%의 격차는 캘리포니아주의 52%를 추월한 미국내 50개주 가운데 가장 크다. 레이크우드에 본사를 둔 테렌(Teren)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토비 크래프트는 “산불로 인한 주택 손실에 시달리는 보험사들이 고위험 지역에서 보험을 계약하는 것에 대해 점점 더 경계하게 됐다. 캘리포니아주는 보험사들의 기피지역이 됐으며 콜로라도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전 예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 보험사들이 기피하지 않고 편안하게 계약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크래프트는 “테렌은 비행기에서 촬영한 LIDAR 이미지를 수집하여 초목(vegetation)의 양과 ‘연료 프로파일’(fuel profile)을 매우 정확한 수준으로 측정하는 ‘기후 회복력’(climate resilience) 전문 신생기업이다. 인공지능을 이용해 영상을 분석한 뒤 위험 점수를 생성하고 산불로 인한 화재 발생시 어떤 부분을 줄여야 하는지, 구조물을 더 잘 보호할 수 있는 위치 등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은혜 기자라플라타 더글라스 라플라타 카운티 엘파소 카운티 제퍼슨 카운티

2022.09.26. 13:54

덴버-아라파호-아담스-제퍼슨 카운티

 메트로 덴버 지역의 여러 카운티의 보건 관계자들이 실내의 공공장소에서는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가운데, 제퍼슨 카운티와 트라이 카운티 보건 관계자들과 덴버시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제퍼슨 카운티 보건 위원회는 지난 월요일 저녁에 3세 이상은 실내 공공 장소에서 무조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아라파호와 아담스 카운티를 관장하는 트라이 카운티 보건부 역시 제퍼슨 카운티가 투표를 한 직후에 비슷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트라이 카운티의 경우 이 법안은 2세 이상에게 모두 적용된다. 양쪽 법안 모두는 24일 수요일부터 효력이 발생하며, 이 지역들에서 운영하는 비즈니스들은 백신접종을 받았다는 증거를 제시할 경우 마스크 착용을 면제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제퍼슨 카운티 마스크 규정 승인] 제퍼슨 카운티 보건 위원회는 지난 월요일 오전 11시에 회의를 시작해 수시간에 걸쳐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위원들간의 토의 끝에 투표에 부쳐 결국 4대 1로 이 안건을 통과시켰다.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사람은 체리 잔이었다. 공청회에서 35명 이상의 주민들이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어떻게 소상공 비즈니스들에게 악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들은 어린 아이들에게 마스크를 씌우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 한명은 마스크 착용을 찬성한다는 요지로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그레그 드란로 위원장은 보건위원회가 수백장의 의견서를 받았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입원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드란로는 “우리가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면 주민들의 비즈니스는 더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이번 조치를 정당화했다.   회의가 시작된 후 보건위원회는 볼더 카운티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덴버시와 카운티의 전 시 공무원 백신접종 의무화 관련 프레젠테이션을 들었다.제퍼슨 카운티 및 다른 카운티 보건 관계자들은 최근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코로나19 확진 케이스와 입원율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의 협조가 필요함을 거듭 강조했다.제퍼슨 카운티가 통과시킨 마스크 법안은 11월 24일 자정부로 효력을 발생하며, 제퍼슨 카운티에서 바이러스의 감염률이 높을 때는 계속해서 유효하게 된다.마스크 착용은 모든 실내 공공 장소에서 요구되지만, 완전접종승인(Approved Fully Vaccinated)을 받은 비즈니스나 시설은 면제를 받게 된다. 이를 위해서 비즈니스나 시설은 제퍼슨 카운티 공중보건부에 관련 서류를 제출해 승인을 받아야 하며, 백신 접종 증거를 소지하고 백신접종을 완전히 마친 사람들만이 입장할 수 있다는 표지판을 가게 앞에 붙여놓아야 한다. 이번 명령은 3세 이상은 모두 적용되지만, 마스크 착용이 의학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명령에 특별히 명시된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또한 스쿨 버스를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에도 적용된다.     [트라이 카운티도 마스크 규정 승인]   아담스와 아라파호 카운티가 포함된 트라이 카운티 역시 자체적인 마스크 명령을 지난 월요일 오후 4시30분에 시작된 회의를 통해 승인했다. 보건 위원회는 약 2시간 후인 6시 40분에 이 안건을 투표에 부쳐 5대 1로 통과시켰다.트라이 카운티의 보건 명령은 제퍼슨 카운티의 그것과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다면 효력이 최소한 내년 1월 3일까지나 중환자실 병상의 이용률이 14일 연속으로 10% 이상일 때까지로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마스크 착용 연령이 2세 이상인 점이다.트라이 카운티 보건부는 비즈니스들을 위한 자발적 백신 확인 프로그램(Voluntary Vaccine Verification Program)을 승인했으며, 콜로라도에서 가장 먼저 마스크 의무 착용을 재개한 볼더 카운티가 현재적용 중인 프로그램과 비슷하게 예외를적용하기로 했다.볼더 카운티와 마찬가지로, 실내 시설에 있는 사람의 최소한 95%는 백신을 접종받은 상태여야 한다. 승인을 받은 비즈니스들은 마스크 착용의무로부터 면제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시설들과 이벤트들은 술집, 결혼식, 체육관(gym)이 포함된다.     [덴버시도 마스크 실내착용 의무화 발표]  마이클 핸콕 덴버시장은 지난 23일 화요일 오전에 덴버 공중보건환경부 최고 책임자인 밥 맥도날드와 지역 공중보건 관계자들과 함께 "백신 혹은 마스크(vax or mask)" 규정을 통해 실내착용을 의무화한다고 발표했다.이 의무화는 실내 공공장소에서 적용되며, 일부 경우에는 면제가 허용된다. 또 비즈니스들은 마스크 착용 혹은 백신접종 증거 제시를 요구할 수 있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고려중인 다른 카운티] 브룸필드 시와 카운티는 지난 월요일에 코로나 19 회의를 열었는데, 제이슨 발링 브룸필드 공중보건부 관계자는 2세 이상의 브룸필드 주민들에게 마스크 착용의무화를 권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완전히 백신접종을 마친 2세 이상의 주민은 이 규정에서 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승인될 경우 언제 이 규정이 효력을 발생하게 될지는 아직 미정이다.       이하린 기자아담스 제퍼슨 제퍼슨 카운티 아담스 카운티 트라이 카운티

2021.11.24. 15:19

사업장서 총격…1명 사망

  앨라배마주 동부 제퍼슨 카운티에 있는 새뮤얼 어소시에이티드 튜브 공장에서 지난 16일 자정 직후 총격 사건이 발생, 버밍햄 거주 남성 1명이 사망하고 용의자 1명이 체포됐다.     이 공장은 핀슨 밸리 파크웨이 인근 레드 할로우 로드에 있다. 용의자는 총격 직후 도주했다가 다시 돌아와 경찰에 체포됐다. 탄소 철강 코일을 가공하는 이 사업장에서는 200여명이 일하고 있다.  [사진=제퍼슨 카운티 셰리프국]사업장 총격 총격 직후 제퍼슨 카운티 새뮤얼 어소시에이티드

2021.11.17. 14:3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