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속엔 한 톨의 미움도 없었을까 / 미움 속엔 한 조각의 사랑도 없었을까 /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알게 되었다 / 사랑과 미움의 거리는 붙어있다는 / 동전의 양면같이 떨어질 수 없다는 / 사랑 속 한 톨의 미움이 더 아플 수 있고 / 미움 속 한 조각 사랑이 더 눈물겨울 수 있다는 / 한 때 한 뿌리에서 부비며 자라났기에 // 매미가 울어대는 나무 밑에 앉아 / 행여 짝짓기 소리라든가 / 서러워 마음을 찢는 소릴지라도 / 그 한 생은 얼마나 애절하고 잔혹한가 / 남겨 두고 온 호수가 눈앞에 출렁인다 / 억겁을 출렁여도 채울 수 없는 달그림자 / 물이 차오른다 온몸으로 견디어 내는 / 호수는 깊어지고 하얗게 시간을 토해낸다 // 사랑이 울고 미움이 웃는다거나 / 미움이 울고 사랑이 마침내 웃었더라는 모두 / 밀려왔다 사라져 부서지는 파도인 것을 / 다른 모양, 다른 색깔로 피고 지는 들꽃인 것을 / 야누스의 두 얼굴 같은 우리 슬픈 인생인 것을 / 눈에 보인다. 계절이 지나는 손짓을 / 귀에 들린다 바람에 눕는 들풀의 속삭임을 / 걸어오는 발자국 소리가 더 아프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일들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처신하고 있는가? 너무 급하게 생각한 나머지 그릇된 결정으로 인해 말을 함부로 내뱉지는 않았는가? 진의가 어떠한가를 생각하기 전에 그 일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따라 깊은 생각 없이 결정하지는 않았는가? 엎지른 물을 도로 담을 수 없듯이 내 입으로 뱉어낸 말도 되돌릴 수 없다. 그만큼 신중을 기해서 조심스레 말해야 한다. 감정이 먼저 앞서다 보면 일을 그르칠 수가 있다. 서로 간의 신뢰를 쌓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본인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 견해가 비슷한 방향을 가질 때에는 더 빠른 시간에 서로의 공감대를 경험하며 서로를 깊이 알아갈 수 있다. 그러나 말 한마디, 가벼운 행동으로 그동안의 신뢰를 순식간에 잃을 수도 있다. 그러니 때로는 침묵이 금일 수도 있다. 야누스의 두 얼굴은 로마 신화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한 사람이 겉과 속이 다르거나 이중적인 면모를 보일 때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야누스는 출입문의 수호신으로, 출입문을 지키는데 사각지대가 없도록 머리의 앞뒤로 얼굴이 있는 독특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본래는 수호신이라는 긍정적인 특성을 가진 신이었지만, 중세를 거쳐오면서 두 얼굴을 가졌기에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을 가리켜 야누스의 얼굴 같다고 말한다. 현재는 이중적인 모습 혹은 겉과 속이 판이하게 다른 이중 인격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사람이나 단체, 캐릭터를 이르는 말이 되었다. 야누스의 두 얼굴, 현대인의 얼굴이기도 하다. 우리 주변에서도 양면성을 보여주는 두 가지 얼굴을 마주할 것이다. 활기차고 사교적인 모습을 보이다가도 갑자기 무기력해지고 자포할 수도 있다. 맹목적인 감정의 쏠림은 위험하다. ‘남의 눈에 티끌은 바로 알아차리면서 제 눈의 대들보는 알지 못한다는, 세상에 의인은 없나니 한 사람도 없다’는 성경의 말씀도 있다. 〈〈〈사람 사는 세상에 비일비재한 일이어서 분명하게 못 박아 기록해 두고 있다.〉〉〉 털들이 바늘같이 꼿꼿한 고슴도치일지라도 제 새끼의 털이 보드랍고 반지르르하다고 여긴다는 건데, 사랑하되 그의 단점을 알고 있어야 하며, 밉더라도 그의 좋은 점을 알아야 한다. 옳고 그름도, 아름다움과 추함도, 선과 악도 상대적이어서 절대적으로 장점과 아름다움과 선함만 가진 존재는 없다. 그래서 사랑 속 한 톨의 미움이 더 아플 수 있고, 미움 속 한 조각 사랑이 더 눈물겨울 수 있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 야누스 조각 사랑 얼굴 현대인 그름도 아름다움
2025.09.29. 13:58
마음속에도 비가 내린다 이른 새벽부터 한낮까지 젖어오는 꿈으로 팔을 뻗어보아도 하늘 가득 젖어오는 창가에 비 하염없음 만으로 잠겨보고 싶은 사랑하는 사람이여 동그란 잎사귀 비에 젖어가는 제 몸의 무게에 고개를 떨구는 두 손을 모아 지탱해 주어도 하염없이 뿌리치고야 마는 혼탁한 언어를 지우며 젖어오는 그늘 틈새 얼굴을 내밀어도 저물어가는 어둔 길을 걸어도 보이지 않게 밑줄을 그어도 펄떡이는 새의 심장으로 날아와 눈물로 길게 적어 내리는 편지 흘러내리다 지워지기도 하는 당신이 보내온 창가에 비 Chopin - Spring waltz(Mariage d’ Amore)의 피아노 연주를 들으며 비가 내리는 창가에 앉아 있다. 모든 게 정지된 정원엔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와 길게 자란 하얀 데이지, 보라색 제비꽃들이 산들 흔들리고 있다. 창문엔 빗물이 흘러내리고 그 긴 자국을 연신 지우고 있다. 빗물은 다시 너에게 보내는 한 줄의 연서같이 자꾸 내 마음을 적어 내린다. 내리는 비에 무거워진 나뭇잎들은 한 결로 고개를 떨구고 고해를 하는 듯하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 세상은 그다지 어둡지도, 쓸쓸하지도 않다. 시간의 틈새를 살피다 보면 마음에 전해오는 따뜻한 숨결도 있고, 지쳐있는 누군가에게 보내는 촉촉한 눈길도 있다. 그래서 지친 밤을 보내고도 아침을 맞이하는가 보다. 그리운 사람이여, 그대도 창가의 비를 바라보고 있나요. 그 비가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이 되어 마음으로 흐르는 강이 되어 오고 있나요. 비를 맞아본 적이 있다. 처음엔 비에 옷이 젖고, 그 후엔 온몸이 비에 젖어간다. 얼마 후 마음 속에도 비가 내리고 있다는 걸 인식하게 된다. 마음도 비에 젖어간다. 가랑비는 가랑비대로, 보슬비는 보슬비대로, 소나기는 소나기대로 온몸과 마음에 사뿐히 때론 세차게 내리고 있다. 빗방울이 젖어드는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얼마 후면 감각의 차이는 있겠지만 결국 몸과 마음까지도 비에 젖어갈 것이다. 창가에 앉아 비 오는 뒤란을 바라보고 있다. 장대 같은 나무도, 작은 묘목도, 꽃을 피우는 모든 식물이 조용히 움직임 없이 비를 맞아내고 있다. 무거워진 가지가 아래로 처지고, 작은 묘목의 잎들도 빗방울을 담아낸 무게로 고개를 숙였다. 새들의 놀란 가슴도 둥지를 찾아 날개를 접었다. 나도 창을 사이에 두고 비에 젖어드는 풍경을 바라보고 있다. 음악이 흐르는 창가에는 빗소리와 함께 피아노의 청아한 멜로디가 들려오고 창가에 비는 마음에 젖어오는 시간을 소환하고 있다. 사랑과 미움의 거리는 어쩌면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가깝게 붙어 있단 생각이 든다. 사랑의 마음 속에 한톨의 미움도 없을까? 미움의 마음 속엔 한 조각의 사랑도 없을까? 사랑 속의 한 톨의 미움이 더 아플 수 있다. 미움 속의 한 조각 사랑이 더 눈물겨울 수 있다. 창을 사이에 두고 비 오는 창밖을 바라보다 사랑과 미움의 거리는 사실 붙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랑과 미움의 정의를 나 스스로 정해놓으면 사랑 속 미움의 순간을, 미움 속 사랑의 조각들을 무심히 흘려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소중한 순간을 시계 초침같이 내 속에서 사라지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람이여. 비가 내리는 아침부터 낮까지 시간에 따라 지워지기도 하고 다시 생겨나기도 하는 사랑과 미움의 감정들, 그 소중한 순간들, 그리고 지울 수 없이 마음에 깊게 새겨진 풍경들을 이제 기억해 내야 함은 우리에게 남겨진 시간의 조각들이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 풍경 조각 사랑 온몸과 마음 피아노 연주
2025.06.09. 1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