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느끼는 성인이 급격히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퓨리서치센터가 20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 종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답한 성인은 전체의 31%로 지난해의 18% 대비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2024년 2월 조사 당시 20년 만에 최저치였던 18%에서 급반등한 것이다. 이 같은 인식 변화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공화당의 집권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퓨리서치센터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공립학교 내 기도 허용 등 종교 관련 정책을 강조해 온 만큼 종교의 사회적 위상이 강화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초 발표된 갤럽의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확인됐다. 갤럽은 당시 조사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4%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1년 전 20%에서 1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여전히 다수(68%)는 "종교의 영향력이 줄고 있다"고 답했으나 2024년의 80%에서 크게 감소했다. 퓨리서치센터의 분석에 따르면, 종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도 ▶2022년 9월 49% ▶2024년 57% ▶2025년 59%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종교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나쁘다"거나 "종교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이 좋다"고 답한 부정적 응답 비율은 ▶2022년 26% ▶2024년 19% ▶2025년 20%로 감소세를 보였다. 정당별로는 공화당 지지자가 민주당 지지자보다 종교의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확률이 약 2배 높았다. 응답자의 58%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과 주류 문화 사이에 일정 수준의 갈등이 있다"고 답했다. 뉴욕대의 마이크 하우트 사회학과 교수는 "공화당이 전국 선거에서 승리하면 종교가 부상하는 듯한 분위기가 형성된다"며 "2004년 조지 W. 부시가 재선됐을 때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공화당 행정부는 복음주의자와 가톨릭이 중시하는 의제에 공개적으로 관심을 두는 반면, 민주당 행정부는 신앙을 가지더라도 이를 세속적 언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노트르담대 종교사회연구소장 크리스천 스미스 교수는 "이번 상승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과 종교적 보수 지지층의 결집 인식에서 비롯된 일시적 상승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장기 추세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팬데믹 이후 급격히 약화했던 종교의 사회적 존재감이 정치적 변화와 맞물리며 다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퓨리서치센터의 이번 조사는 2월 3~9일과 5월 5~11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으며, 9544명이 응답했다. 안유회 객원기자영향력 종교 종교가 사회 종교적 신념 종교 관련
2025.10.27. 18:15
최근에 유튜브 알고리즘에 한 유명 가수이자 프로듀서인 P씨의 종교 관련 세미나 강의가 보이기 시작했다. 최근 이 세미나가 좋다는 사람들이 생겨나는 걸 보니 그 인기가 실감난다. 유명 가수이자 사업가인 P씨가 왜 종교에 귀의하여 강의를 하고 다니는지 사람들은 궁금해 하고 있다. 주변 권유로 졸음을 참아가며 세미나를 들어봤다. 원래 P씨는 예능 프로에서도 말을 잘하는 사람이었다. 대학 때 지질학을 전공한 사람이라 자연과학도 강의에 많이 인용하면서 사람들의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를 한다. 그는 성경을 60번 통독했다 한다. 각종 목사님들 설교와 서적을 읽고 연구했다고 한다. 그리고 성지순례를 통해 역사적 현장과 유물들도 보았다고도 한다. 그러나 강의 중간에 약간씩 무언가 다름 느낌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구원파의 교리인 한번 죄 사함을 받았으므로 회개를 계속 하는 것은 구원받지 못한 것이라는 뉘앙스로 말한다. 결국 크리스천의 삶에서 전도를 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면서 강의를 마친다. 언뜻 들으면 아주 좋은 세미나 같기도 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정통 복음주의 기독교와는 다른 것 같기도 하면서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았다. 물론 신학적 판단은 신학자의 몫이겠지만 P씨의 강의에 대한 열광 현상을 보면서 우리 기독교인들의 허약한 신학적 체력과 질문하지 않는 반지성주의 신앙이 여실히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회는 다니지만 '내가 무엇을 믿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도 없고 그러한 질문을 하더라도 '그냥 믿으면 된다'식의 묻지마 신앙이 이러한 열풍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교회 내에서 질문하는 신앙은 믿음이 없다는 식의 문화가 있기 때문에 수십 년을 교회에 다녀도 내가 믿는 신앙에 대해 자기 언어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 기독교인일수록 지정의를 두루 갖춘 교인이 절실하다. 타종교든 세상 사람이든 이단이든 누구와 얘기해도 오픈마인드로 같이 대화를 할 수 있는 실력 있는 교인이 필요하다. 요즘은 이단이나 무속인들도 공부를 많이 하고 통섭하는 시대다. 성경만 읽으면 되는 시대는 지났다. 크리스천도 신학과 인문학으로 지적으로도 풍성해야 한다. 교회만 오면 바보가 되는 묻지마 식의 신앙은 성도의 믿음을 허약하게 한다. 성도들에게 기본적 신학 개념들을 가르쳐 주고 이단에 혹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우리는 왜 사는가'에 대한 실존적이면서도 신학적이고 철학적인 사유가 절실한 때이다. [email protected] 이종찬 / J&B 푸드 컨설팅 대표종교와 트렌드 유명인 세미나 종교 세미나 세미나 같기 종교 관련
2022.05.23.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