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양면 압박 속에 USC가 진퇴양난에 놓였다. 트럼프 행정부가 USC를 포함한 9개 주요 대학에 ‘고등 교육의 학문적 우수성을 위한 협약안’ 서명을 요구하며 대규모 연방 지원 확대를 약속했지만,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가 협약에 서명할 경우 주정부 지원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지난 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백악관이 제시한 협약안에는 ▶외국인 학부생 비율 15% 이내(단일국가 5% 이내) 제한 ▶입학·채용 과정에서 인종·성별 고려 금지 ▶SAT·ACT 등 표준시험 의무화 ▶향후 5년간 등록금 동결 등이 포함됐다. 협약에 서명하면 연방 지원금과 연구비 간접비 인상 혜택이 주어지며, 미참여 대학이라도 지원이 전면 중단되지는 않지만 배분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대상은 밴더빌트대, 펜실베이니아대, 다트머스대, MIT, 브라운대, 버지니아대, 텍사스대, 애리조나대, USC 등 9곳이다. 가주에서는 USC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특히 USC는 전체 신입생의 26%가 국제학생으로 기준치(15%)를 크게 웃돌아 재정 충격이 불가피하다. 국제학생 등록금은 USC 재정의 핵심 수입원인데다, 이미 2억 달러 이상 적자와 600명 이상 해고를 단행한 상황이어서 협약 수용 시 타격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뉴섬 주지사의 반발은 더욱 거세다. 그는 2일 성명을 통해 “협약에 서명하는 대학에는 캘그랜트를 비롯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주정부 지원을 즉시 끊겠다”며 “학생과 교수, 연구자를 팔아넘기고 학문적 자유를 포기하는 대학에 가주의 세금은 단 한 푼도 지원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이어 이번 협약을 “사실상 미국 대학을 장악하려는 시도”라 규정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의도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에 따라 USC는 연방과 주정부의 압박 사이에서 가장 직접적인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아가 UC와 CSU 전 캠퍼스, 스탠퍼드대 등 가주 주요 대학들로 논란이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윤재 기자진퇴양난 협약 주정부 지원 협약 수용 트럼프 행정부
2025.10.02. 21:00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재정절벽’을 겪고 있는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구제책, 뉴욕시 난민 사태 지원과 함께 교육·의료 부문 지원을 늘리고 경제 회복을 위한 각종 투자를 확대하는 사상 최대 규모 예산을 발표했다. 1일 주지사가 발표한 2023~2024회계연도 예비 행정예산안은 지난 회계연도 최종 예산안보다 2.4%(약 50억 달러) 증액된 2270억 달러 규모로 책정됐다. 예산안에 따르면 MTA는 오는 2025년까지 예정된 예산 적자 30억 달러를 주정부 지원으로 메울 수 있게 된다. 주지사는 다운스테이트에서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통해 8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사업체에 대한 급여세를 인상해 예산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뉴욕시에 설립될 예정인 카지노 3곳으로부터 얻게 될 정부 수익의 일부를 MTA 지원으로 전환하는 내용도 예산안에 포함된다. 또 향후 10년간 주전역에 80만 채에 달하는 신축 주택 공급을 위한 뉴욕하우징컴팩트(New York Housing Compact) 계획도 공개했다. 여기에는 2억5000만 달러 규모의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 등이 포함되며, 신축 주거 건물 세금 감면 규정인 421-A를 2030년까지 연장하는 내용도 들어간다. 발표에 따르면, 뉴욕시는 209억 달러 규모의 주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특히, 여기에는 지난해부터 이슈가 되고 있는 망명 신청자 문제 해결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뉴욕시 셸터 운영 지원금 7억6700만 달러 등, 총 10억 달러가 포함됐다. 또 이번 예산안에는 전년도 대비 27억 달러 증액된 주전역 공립학교 운영 지원금(240억 달러)을 포함, 주정부의 교육예산이 340억5000만 달러로 책정됐다. 보석개혁법에 대한 세 번째 개정도 들어간다. 새 개정안은 보석 대상인 범죄 케이스 중 기소 시점에서 판사들이 피고인을 법정에 출두하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의 제한”(least restrictive)을 조치하도록 하는 주법상의 문구를 삭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외에도 ▶담뱃세 현행 4달러35센트서 5달러35센트로 인상 ▶뉴욕주립대(SUNY)·시립대(CUNY) 대학 등록금 인상 ▶차터스쿨 확대 등이 포함됐다. 또 의료시설 지원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저소득층 780만 명에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주지사는 오는 4월 1일 시작되는 2023~2024회계연도에 앞서 주의회와 협상을 통해 최종 예산안을 확정짓게 된다. 심종민 기자재정적자 난민사태 주정부 지원 운영 지원금 사태 지원
2023.02.01. 19:28
뉴욕·뉴저지 주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정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뉴저지주는 팬데믹 동안 정부 혜택에서 제외된 서류미비자에 현금 지원을 시작한다. 13일 주 보건복지국(DHS)은 '제외된 뉴저지 주민 기금'(ENJF)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10월 말부터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신청자격은 연소득 5만5000달러 미만의 서류미비자이며, 신청자 1명당 1000달러, 가구당 최대 2000달러의 지원금을 제공하게 된다. 신청은 추후 웹사이트(ExcludedNJFund.nj.gov)에서 가능하다. 현재는 신청이 불가능한 상태다. DHS는 지원금이 선착순으로 지급되고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 중단되기 때문에 주의를 요구했다.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는 지난 6월말 2021~2022회계연도 예산안 서명 당시 해당 프로그램에 400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한 바 있다. 뉴저지주는 또 3억7500만 달러를 투입해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저소득층 주민들의 유틸리티 요금을 지원한다. 12일 뉴저지 지역사회국(DCA)은 전기·가스 등 유틸리티 요금을 체납한 약 35만 가구에 우편을 발송하고, 주정부 지원 자격이 있음을 알렸다. 해당 우편을 받은 주민은 우편물 속 QR코드, 전화 등을 통해 지원 신청을 할 수 있다. 지원 프로그램은 저소득가정에너지지원프로그램(LIHEAP), 유니버설서비스펀드(USF) 두 가지로 나뉜다. LIHEAP는 4인 가정 기준 주전역 월소득 중간값의 60% 이하일 경우 신청 자격이 주어지며, 혜택은 가구·소득·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USF는 조정총소득(AGI)이 연방 빈곤선의 400%이하이면서, 전기·가스 요금이 소득의 2% 이상을 차지할 때 자격이 주어지며 주정부 지원을 통해 유틸리티 요금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nj.gov/dca/divisions/dhcr/offices/hea.html)에서 확인 가능하다. 뉴욕주는 지난 9월에 이어 이번 달에도 푸드스탬프(SNAP) 수혜 주민에 2억30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추가 지원해 이번 달 모든 수혜자가 최대 수령액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했다. 뉴욕시의 SNAP 수혜가정은 18~31일 사이에, 뉴욕시 이외의 지역은 21일까지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이미 최대 수령액을 지급받고 있는 가정의 경우 95달러의 추가 지원금이 제공된다. 심종민 기자
2021.10.1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