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K타운 한인 콘도 털렸다 "피해액 6만불 넘어"

LA한인타운에서 절도범들이 나무를 타고 콘도 2층까지 침입, 귀중품을 훔쳐간 사건이 뒤늦게 알려져 주택 절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피해가 발생한 유닛은 한인 최모씨 집으로 최씨는 “옆집도 세 달 전 동일한 수법으로 피해를 보았다”고 말해 타운 내 주택침입 절도 사건의 심각성을 반영했다. 최씨는 “당시 범인들은 우리 집 발코니를 거쳐 옆집으로 넘어갔다”며 “단지 구조를 잘 아는 동일범의 소행 같아 더 불안하다”고 말했다. 피해가 발생한 콘도 단지는 타운 마리포사와 1가 인근에 있다.     피해자 최씨에 따르면 범인들은 콘도 뒤편에 있는 나무를 타고 2층까지 올라왔다. 콘도 내부에 설치된 CCTV에 모자를 눌러쓰고 마스크를 낀 히스패닉계 남성 3인조가 찍혔으며, 외부에 차량 한 대가 대기 중인 모습도 나온다.   하지만 집안에 침입한 절도범들은 거실에만 설치된 CCTV부터 끄는 치밀함을 보였고, 이후 샤넬·루이비통 등 명품 가방과 롤렉스 시계, 결혼 예물 등 고가의 물품을 훔쳐 도주했다. 최씨는 피해액이 6만 달러가 넘는다고 말했다.     최씨는 “사건이 발생한 것은 지난달 6일 오후 8시 30분 전후로 가족이 외출한 틈을 노린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최씨는 “귀가해 보니 옷장과 서랍이 모두 열려 있었고 가구로 현관문을 막고 있었다”며 “딸과 단둘이 사는데 절도범들이 언제 또 침입할지 몰라 무섭다”고 덧붙였다.    콘도 단지에 시큐리티 가드가 있지만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는 교대시간이라 자리가 비어 있다는 최씨는 “옆집도, 우리 집도 그 시간대를 노린 것을 보면 동일범들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내놨다.      최씨는 사건 직후 경찰에 신고했지만 수사에 진전이 없는지 아직 아무 연락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더욱이 보험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할 상황이다. 최씨는 “보험사 측에서 귀중품은 3개월 내 구매분만 보상 대상이라고 한다”며 “발코니 문 교체비 정도만 보상받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최씨는 사건 이후 거실과 방마다 보안업체와 연결된 CCTV를 설치했고, 발코니 쪽에는 쇠창살도 달 예정이다. 그런데 쇠창살 설치 비용이 3000달러 이상이라고 한다.     LA한인타운을 관할하는 LAPD 올림픽 경찰서 통계에 따르면, 주택 침입 절도는 올해 7월 13일~8월 9일 사이 34건에서 8월 10일~9월 6일 사이엔 49건, 9월 7일~10월 4일 사이엔 55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강한길 기자절도단 나무 절도단 나무 주택침입 절도 타운 콘도

2025.10.15. 21:07

썸네일

대낮에도 절도 기승…주민 불안 가중

남가주 전역에서 주택 침입 절도가 기승을 부리면서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범행이 남가주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법도 점점 더 조직적이고 대담해지고 있다는 것이 수사당국의 판단이다.   6일 KTLA5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42분쯤 LA 할리우드힐스 한 고급 주택단지 내 2층 단독주택에 침입 사건이 발생했다. LA경찰국(LAPD)은 2~3인조로 추정되는 절도 용의자들이 2층 발코니 유리창을 깨고 침입했으며, 당시 집 안에 있던 두 명의 주민이 공포에 떨었다고 전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경찰은 현장 증거를 토대로 도주한 용의자들을 추적 중이다.   앞서 5일 오전 4시30분쯤 레돈도비치 경찰은 한 주택가를 배회하던 절도 용의자 빅터 엔리케 세리토스를 현장에서 체포했다. 경찰에 따르면 세리토스는 레돈도비치, 허모사비치, 맨해튼비치 일대 주택가에서 연쇄 절도 행각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샌퍼난도밸리 주민들 역시 잇단 절도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주말에만 스튜디오시티와 셔먼오크스에서 2건 이상의 침입 절도가 발생했다. 지난 3일 밤 11시쯤 스튜디오시티 한 주택에서는 침입 용의자와 마주친 소유주가 총기를 사용해 대응에 나섰다. FOX11 보도에 따르면, 용의자가 경보음에도 불구하고 집안에 침입하자 소유주는 집 안에 있던 총기를 꺼내 여러 발을 발사했고, 이에 놀란 용의자가 밖으로 달아나 대기 중이던 공범 차량을 타고 도주했다.   또한, 샌퍼난도밸리 한 주택에서는 도둑이 침입했을 당시 집 안에 있던 주민이 직접 총기로 용의자를 제압해 경찰에 인계한 사례도 있었다. 당시 이웃 주민이 총을 들고 현장에 합류해 도움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 당국에 따르면, 최근 절도 사건은 2~4인조 이상의 조직적 범행으로 분석된다. LAPD 산하 절도 전담팀(LA 임팩트 태스크포스)은 잠복근무를 통해 용의자 검거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지난 5일 오전 11시쯤 사우스LA에선 절도 용의자들과의 추격전 끝에 다수 용의자를 체포했다. 용의자들은 우드랜드힐스 주택가에 침입하려다 덜미를 잡혔으며, 샌퍼난도밸리와 샌게이브리얼밸리 일대에서도 절도 행각을 벌인 것으로 LAPD는 보고 있다.   한편 은행 ATM 등에서 돈을 찾은 이를 미행해 강절도를 벌이는 범죄도 주의해야 한다. 지난달 8일 어바인 경찰국은 실비치 등 오렌지카운티 전역에서 미행 강절도 범행을 일삼은 3인조 용의자를 체포했다. 어바인 경찰국 측은 용의자들이 은행에서 돈을 찾고 나오는 이들을 범행 대상으로 삼았다며, 현금 인출 후에는 주위를 살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수사당국은 절도범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범행을 시도하고 있다며, 주택 보안 시스템을 점검하고 가급적 외출 시에도 집 안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조명 등을 활용하라고 권고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남가주 전역 남가주 전역 주택침입 절도 절도 용의자

2025.08.06. 20:21

썸네일

대낮 행콕팍 주택에 4인조 절도단

4인조 절도단이 LA한인타운 인근 행콕팍 주택에 침입해 귀금속을 훔쳐 달아났다.     15일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쯤 3가와 4가 사이 라스팔마스 애비뉴 한 주택에 주택침입 절도 사건이 벌어졌다.     4인조 절도단은 대낮 해당 주택에 침입해 버젓이 귀금품 등을 훔쳤다고 한다. 온라인 부동산중개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절도피해를 본 주택은 시가 436만 달러다.     LAPD 공보실 측은 “용의자는 4명으로 이 중 3명은 검은색 스키마스크를 썼다”며 “이들은 보석과 지갑 등을 훔친 뒤 회색 세단을 타고 도주했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abc7뉴스는 윌셔경찰서를 인용해 지난 상반기 행콕팍, 멜로즈, 미라클마일, 페어팩스, 파크 라브레아, 라치몬트 빌리지 지역 주택침입 절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나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절도범은 무선 네트워크를 무력화하는 와이파이 재밍(wifi-jamming)을 사용하고, 단독범행이 아닌 절도단을 꾸려 범행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한인타운 등 LA전역에서 활개를 치고 있다.   한편 주택침입을 노린 절도범들이 설치한 몰래카메라는 남가주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절도범들은 주택 화단 등에 설치한 몰래카메라를 통해 빈집 여부를 확인한 뒤 범행을 벌인다.       지난 13일 오후 8시 21분쯤 아케이디아 오크우드 애비뉴 한 주택 화단에서도 위장막 안에 카메라, 배터리, 송수신 장비를 갖춘 몰래카메라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절도단 대낮 지역 주택침입 주택침입 절도 4인조 절도단

2024.07.16. 0:11

몰래카메라 설치 뒤 빈집 확인 절도 주의보

주택절도범이 범행 대상을 특정할 목적으로 몰래카메라를 설치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LA카운티 셰리프국 등 남가주 지역 법집행기관은 주택 마당 등에 몰래카메라 등 수상한 물건을 발견하면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30일 NBC4뉴스와 LA카운티 셰리프국 등에 따르면 최근 가든 그로브, 칼라바사스, 치노힐스, 로스트힐스, 글렌데일 주택 앞마당에서 몰래카메라가 발견됐다. 주택 소유주가 앞마당 화분과 나무 주변에서 발견한 몰래카메라는 촬영용 카메라와 배터리팩이다.     특히 촬영용 카메라와 배터리팩은 누군가 녹색 테이프 등으로 감싸 사람들 눈에 띄지 않도록 했다.   가든 그로브 한 주택 소유주 여성은 NBC4 인터뷰에서 “앞마당 화단 나뭇가지 속에서 카메라를 발견했다”며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국 측은 해당 몰래카메라가 얼마나 오랫동안 설치됐는지는 알 수 없다고 전한 뒤, 문제의 몰래카메라는 주택침입 절도를 노리는 도둑들이 집의 빈 시간대를 알기 위해 설치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일부 절도범은 주택 감시카메라를 무력화하기 위해 와이파이 재머(WiFi jammers)도 사용하고 있다. 글렌데일 경찰국은 지난달 몰래카메라 설치 용의자로 보이는 콜롬비아 출신 원정 절도 용의자 4명을 체포했다.  김형재 기자몰래카메라 주의보 몰래카메라 설치 지난달 몰래카메라 주택침입 절도

2024.05.30. 20:3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