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트 74% "업계 안 떠난다"
주택 거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대다수 부동산 에이전트들이 업계를 떠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최근 공개한 '2025 회원 프로필'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에이전트의 74%가 앞으로 2년간 업계에 '매우 확실히' 남을 것이라고 답했다. 올해 조사에서도 '구매력 부족'은 '적합한 매물 부족'을 제치고 주택 구매의 최대 장벽으로 꼽혔다. 에이전트들이 꼽은 주택 구매 장벽 요인은 ▶구매력 부족(25%) ▶모기지 금리 하락 기대(19%) ▶매물 부족(17%) ▶적합한 매물 찾기 어려움(10%) ▶제약 요인 없음(7%) ▶주택 가격 하락 기대(6%) ▶소비자 신뢰 부족(4%) ▶모기지 대출 승인 어려움(3%) ▶다운페이 부족(2%) ▶기존 주택 판매 어려움(2%) 순이었다. 지난해 NAR 회원의 중위 총소득은 5만8100달러로 전년의 5만5800달러보다 상승했다. 거래 건수는 중위 기준 10건으로 2023년과 같았고 총 거래액은 250만 달러로 변화가 없었다. 평균 경력은 지난해 10년에서 올해 12년으로 늘었으며 경력 25년 이상 회원 비중은 21%로 증가했다. 경력 16년 이상 중개인의 중위 총소득은 7만8,900달러였으나, 경력 2년 이하 중개인은 8100달러에 그쳤다. NAR 회원의 중위 연령은 57세였으며 60세 이상이 44%를 차지했다. 에이전트들은 판매와 소매, 사업, 금융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뒤 부동산 업계로 전직한 경우가 많았다. NAR 회원의 70%는 주택을 주력으로 하지만 부동산 관리, 이주 지원, 상업용 중개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는 경우도 많았다. 전체 비즈니스의 20%는 재구매 고객, 21%는 기존 고객 추천이었다. 특히 경력 16년 이상 에이전트의 경우, 재구매 고객 비중이 절반 이상이라는 응답이 40%이었으며 추천 고객 비중은 28%에 달했다. 지난해 연간 중위 사업비용은 8010달러로 전년의 8450달러보다 소폭 줄었다. 가장 큰 비용 항목은 차량 운영비였다. 기술 활용도는 더욱 높아져 다중매물서비스(MLS)와 전자서류.전자서명은 기본적인 거래 수단으로 활용했고 비교시장분석(CMA) 앱과 디자인 앱 등 신기술 사용도 늘었다. 부동산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매물 홍보와 구매.판매 정보 제공, 신규 고객 확보도 활용도가 높았다. 안유회 객원기자에이전트 업계 부동산 업계로 주택 구매 중위 총소득
2025.10.01.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