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사이 종교적 동기의 증오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FBI 집계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종교적 편견과 관련된 증오범죄는 1만2025건에 달했으며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8월까지 종교 관련 증오범죄가 1482건 발생했다. 지난해 증오범죄의 편견 유형을 보면 인종.민족.혈통이 53.2%로 가장 많았고 종교가 23.5%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성적 지향(17.2%), 성 정체성(3.9%), 장애(1.3%), 성별(0.9%) 순으로 나타났다. FBI 통계를 보면 2020년대 들어 종교 편견에 따른 증오범죄가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22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FBI는 정치적 긴장과 국제 분쟁, 사회 갈등이 이런 추세를 가속화한 요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무슬림과 유대인을 겨냥한 증오범죄는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급증했다. 미네소타 이슬람관계위원회(CAIR-MN) 제일라니 후세인 사무총장은"정치적 상황이 폭력, 특히 종교적 기반의 정치 폭력을 촉발하는 핵심 지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미니애폴리스 알 히크마 모스크에서는 화재가 발생했으며, CAIR-MN은 이번 사건이 종교적 편견에 따른 방화일 가능성을 수사당국에 촉구하고 있다. 후세인은 "최근 연쇄적인 방화 사건을 보면 범인들이 단순히 불을 지르는 것이 아니라 대규모 화재를 의도하는 경우가 많다"며 우려를 표했다. 지난해 모스크를 겨냥한 공격 40건 중 16건이 미네소타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전국 최다였다. 가주는 5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증오범죄 종교 종교 증오범죄 지난해 증오범죄 종교적 편견
2025.10.06. 18:31
뉴욕시 증오범죄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아시안 뉴요커 2명 중 1명이 지난해 증오범죄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이 지난해 11월 말부터 3주 동안 아시안 뉴요커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아시안 뉴요커 54%는 ‘증오범죄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중 ▶모욕·욕설이 48% ▶위협이 35% ▶신체 공격·폭행이 21%를 차지했다. 문제는 증오범죄를 경험한 아시안 중 절반 이상이 이를 신고하지 않고 넘어간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증오범죄를 경험한 아시안 뉴요커 54%는 누구에게도 그 경험을 알리지 않았다. 신고를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해당 이슈로 더 주의를 끌고 싶지 않아서(42%)가 꼽혔고, ▶증오범죄를 뉴욕시에 신고 가능하다는 사실을 몰라서(29%) ▶사건을 신고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27%) ▶법 집행 기관이나 공무원에게 사건을 신고하는 것이 불편해서(26%) 등이 뒤를 이었다. 아시안 뉴요커 78%는 ‘뉴욕에서 아시안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문제’로 ‘공공 안전’을 꼽았다. 특히 아시안 여성 83%가 ‘공공 안전’을 해결돼야 할 주요 문제로 꼽았으며, 남성 72%가 같은 응답을 내놨다. 한편 최근 전철 범죄 관련 우려가 급증하며 뉴욕주정부가 주 방위군 투입 등의 대책을 밝힌 가운데, 절반 넘는 아시안 뉴요커들이 대중교통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것으로 파악됐다. 인종 편견으로 인해 특정 장소에서 안전하지 않거나 불편함을 느낀 적이 있냐는 질문에 51%의 아시안은 대중교통에서, 21%는 거주 지역에서, 21%는 로컬 마켓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두려움으로 인해 아시안 뉴요커 4명 중 3명은 증오범죄를 피하기 위해 최소 한 가지 이상의 ‘회피’ 행동을 한 적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늦은 밤 외출을 자제하거나(48%) ▶대중교통 이용을 피하거나(41%) ▶안전한 지역으로만 걸어 다니는 등(41%)의 회피 행동을 했다고 응답했다. 한편 증오범죄를 경험하거나 목격한 뉴요커들은 911에 전화하거나 뉴욕시 아시안 증오범죄 전담 신고 웹사이트(www.nyc.gov/site/cchr/about/report-discrimination.page)를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전화 신고 시 선호하는 언어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증오범죄 아시안 아시안 뉴요커들 뉴욕시 증오범죄 지난해 증오범죄
2024.03.07.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