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가 노동자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을 제시하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의 연방 지원금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했다. 19일 교통부 산하 연방교통관리청(FTA)은 MTA가 전철 선로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의 안전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연방 대중교통 지원금의 최대 25%까지 삭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 델로렌즈 FTA 안전 책임자는 서한을 통해 “2023년 11월 전철 선로 작업자가 열차에 치여 사망하고, 지난해 6월에도 또 다른 작업자가 작업 중 중상을 입은 후에도 MTA는 제대로 된 안전 개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MTA가 제출한 안전 위험 평가 보고서에는 잘못된 접근 방식이 사용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MTA는 열차 정시 운행과 전철 선로 유지·보수 작업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노동자 안전은 뒷전으로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FTA는 MTA에 “30일 내로 새로운 안전 위험 평가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했으며, 제출하지 않을 경우 연방 안전 지원 자금이 삭감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MTA 측은 이번 경고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유지에 따른 연방정부의 정치적 보복이라고 주장했다. 존 매카시 MTA 대변인은 “교통부가 지적한 부분은 이미 몇 달 전에 답변이 끝난 사안”이라며 “이제 와서 느닷없이 이런 서한을 받게 된 것이 놀랍지도 않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연방정부는 연방 지원금을 빌미로 MTA에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며 계속해서 압박을 이어갔지만, 지난 5월 연방법원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에 대한 연방정부의 개입을 막는 예비금지명령을 내렸다. 해당 명령이 올해 12월까지 유효함에 따라, 올해 말까지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유지될 전망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정부 지원금 지원금 보류 연방정부 mta 대중교통 지원금
2025.08.20. 20:38
연방 정부가 주 정부에 대한 교육 보조금 보류 방침을 밝혀 이민자 자녀 교육 지원 및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차질이 예상된다. 연방 정부 측은 지난달 30일 주 정부들에 대한 68억 달러 규모의 교육 보조금 지급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보류된 기금에는 가주에 할당된 8억 1100만 달러의 기금도 포함돼 있다. 연방 정부가 각 주 정부에 보낸 서한에는 “이번 회계연도를 앞두고 각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 내용을 검토 중”이라고 보류 이유를 밝혔다. 지원 중단을 검토 중인 프로그램에는 영어 학습자 지원(타이틀 3-A), 이주 노동자 자녀를 위한 학습 장애 극복 지원(타이틀 IC), 애프터스쿨 보조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연방 정부 관계자는 1일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관련 보조금을 불체자 옹호 단체 및 법률 지원 서비스 등에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으로 보고있다”며 “해당 사안을 검토하는 동안 자금 지원을 보류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토니 서먼드 가주 교육감은 1일 “지원금 보류 결정은 지역 사회 취약 계층에게 큰 타격” 이라며 “이번 결정은 불법적이며 수많은 학생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송영채 기자이민자 지원금 정부 지원금 지원금 보류 영어 교육
2025.07.01. 21:31
대중교통 시스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의 연방 지원금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션 더피 교통부 장관은 18일 “뉴욕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범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연방 지원금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또 그는 “대중교통 시스템 직원에 대한 폭행, 무임승차, 전철 서핑 등을 포함해 전철 관련 범죄 행위에 대한 데이터를 이달 31일까지 제출하지 않을 경우 연방 지원금 보류를 포함해 각종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MTA는 연방정부로부터 약 130억 달러의 지원금을 받았으며, 이미 적자에 허덕이는 MTA에 연방 지원금까지 끊기면 각종 문제가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MTA 측은 “교통부와 데이터를 공유할 의향이 있으며, 뉴욕시 대중교통 범죄가 2020년에 비해 40%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MTA는 “올해 주요범죄 건수는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이며, 무임승차 건수는 2020년 대비 25% 줄었다”고 강조했다. 더피 장관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이용해 직장에 출·퇴근하거나 교육, 의료 등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하는 사람들은 범죄가 없는 안전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또 그는 대중교통 안전과 뉴욕시의 정신 건강 문제를 연결시켜 “뉴욕 시민들은 대중교통 시스템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정신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인에 대한 치료 확대를 지지한다고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더 나은 뉴욕을 위한 협회(ABNY)’ 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욕시 유권자 88%가 ‘본인을 돌보고 기본적인 필요를 충복할 수 없는 개인이 비자발적 치료 및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주정부 자격을 확대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공공 안전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뉴욕이 받는 지원금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에 있어서 연방정부와 협력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안전강화 지원금 지원금 보류 뉴욕시 대중교통 대중교통 시스템
2025.03.19.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