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다니지 않고 집에서 공부하는 홈스쿨링이 조지아주에서 크게 늘고 있다. 존스홉킨스 교육정책연구소가 지난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학년도 기준 조지아 내 홈스쿨링 학생은 8만 9510명으로 지난 10년간 45% 증가했다. 조지아 전체 학생의 6%가 홈스쿨링을 하는 셈이다. 2015년 처음 6만명을 넘긴 홈스쿨링 학생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 8만명을 돌파한 뒤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공립학교 등록생은 5년간 2만5000명 줄었다. 지역별로 고등학생만 따져보면 귀넷 카운티(5718명), 캅 카운티(4912명), 체로키 카운티(3523명), 풀턴 카운티(3326명), 포사이스 카운티(2173명) 순으로 학생 수가 많다. 앤젤라 왓슨 존스홉킨스대 교육학 교수는 “부모들의 원격 근무가 늘어나면서 아이를 가정에서 직접 감독할 수 있게 됐다”며 “코로나 이후 온라인 교육자료가 다양해진 것도 한몫했다”고 설명했다. 이외 총격사건과 학교 내 괴롭힘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안전상의 이유로 홈스쿨링을 선택하는 부모가 많다. 자녀가 이중언어 환경에서 학습하길 바라는 이민자 가정 역시 홈스쿨 협동조합을 찾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실제 스톤마운틴 시에서 스페인어와 영어로 운영되는 크리스천 홈스쿨 협동조합은 주로 라틴계 이민가정 출신 학생이 등록한다. 지난해 조지아에서 사립학교 바우처법이 제정된 덕에 홈스쿨링은 더욱 늘 전망이다. 주 교육부는 올해 가을학기부터 사립학교를 진학하거나 홈스쿨링을 선택하는 이들에게 1인당 6500달러의 교육비 바우처를 지원한다. 총 1억 4100만 달러의 예산이 이 사업에 배정됐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홈스쿨링 조지아 조지아 홈스쿨링 홈스쿨링 학생 체로키 카운티
2025.05.05. 14:25
조지아주 귀넷 카운티의 인구가 100만명에 육박했다.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는 13일 발표한 자료에서 지난해 귀넷 카운티에 약 1만 3460명이 새롭게 유입돼 98만 3702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귀넷 카운티의 인구 증가율은 1.4%로 애틀랜타 지역위원회가 다루는 11개 카운티 지역의 평균 증가율인 1.3%를 상회했다. 풀턴 카운티는 총 109만명에 가까운 주민을 보유하고 있어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그러나 귀넷 카운티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곧 풀턴 카운티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풀턴 카운티와 귀넷 카운티 다음으로는 코브 카운티가 77만 9249명으로 세번째로 높았고, 디캡 카운티는 77만 5022명, 클레이튼 카운티 30만 2285명, 체로키 카운티 28만 9840명, 포사이스 카운티 26만 5033명, 헨리 카운티 25만 2502 등의 순서였다. 애나 로치 애틀랜타 지역위원회 이사는 "우리는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에서 회복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인구 증가는 고무적이며 애틀랜타가 높은 삶의 질을 제공한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한편,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이 성장함에 따라 각 카운티는 주택공급, 교통 기반 시설 부족 등의 문제들에 대비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카운티 인구 카운티 지역 클레이튼 카운티 체로키 카운티
2022.07.14. 14:23
한국에서 경찰관이었던 할아버지의 뜻을 따라 조지아 체로키 카운티 셰리프가 된 이예리(Yee Re Lee) 셰리프 데퓨티가 최근 한국을 방문해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상패를 받았다. 임만석 서울지방경찰 과장은 리 데퓨티가 서울경찰청에 미국 경찰 시스템과 법 집행 과정에 대해 강연한 공로로 상패를 수여했다. 리 데퓨티는 이 상을 수상한 뒤 "지금까지 받았던 상 중 최고의 상"이라며 "체로키 카운티 셰리프가 얼마나 훌륭한지 보여줄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리 데퓨티는 서울 출생으로 어린 나이에 2002년 아버지와 여동생과 메릴랜드로 이민을 왔다. 그동안 어머니는 한국에 머물러 있었고, 어머니를 방문하기 위해 20년 동안 4,5차례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메릴랜드에서 2년 거주한 이후 가족들과 함께 조지아주로 이사를 왔다. 이후 리 데퓨티는 18년 동안 조지아에 살았다. 그의 아버지는 2010년 리 데퓨티가 대학에 들어간 후 한국으로 돌아갔다. 리 데퓨티는 할아버지가 한국에서 경찰이었던 사실에 영향을 받았고, 가족들과 지역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셰리프가 되기로 결심했다. 현재는 3년째 체로키 카운티 셰리프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다. 이번 방문도 가족들을 방문하기 위함이었다. 동시에 서울지방경찰청에서 강연과 정보 공유를 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그는 애틀랜타저널(AJC)에 "어머니를 볼 때마다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는 것 같다"라며 "이상한 느낌이지만 가족들을 방문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박재우 기자할아버지 셰리프 한인 셰리프 체로키 카운티 임만석 서울지방경찰
2022.04.14.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