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미국 경제 ‘좋아진다’ 잇단 청신호

미국 경제가 좋아진다는 신호가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연이어 최고치 기록을 경신하거나 육박하는가 하면 미국 경제의 중추를 이루는 소매 판매는 반등세로 돌아섰다. 또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17일 뉴욕 증시는 기업 실적과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오면서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상승세로 출발했다.     이날 오전 10시 45분(시카고 시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0.36% 오른 4만4412.11을 기록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S&P500지수는 전날보다 0.44% 상승한 6,290.70을 기록, 사상 최고치인 6,302.04에 육박했다. 또 나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0.73% 뛴 2만881.90을 기록, 사상 최고치 기록을 다시 썼다.     이날 증시 상승세는 양호한 기업 실적 발표가 이끌었다. 팩트셋(FactSet)에 따르면, 이번 주 들어 실적을 발표한 S&P500 구성 종목 약 50개 가운데 88%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매 판매는 6월 들어 반등했다.     연방 상무부는 이날 미국의 6월 소매판매가 7천201억 달러로 전월 대비 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2%)를 웃돈 수치다.   미국의 소매판매는 4월(-0.2%)과 5월(-0.9%) 2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해 소비 약화 우려를 키운 바 있다.   월간 소매 판매 지표는 전체 소비 중 상품 판매 실적을 주로 집계하는 속보치 통계로, 미국 경제의 중추인 소비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반면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5주 연속 감소세를 보이면서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연방 노동부는 이날 지난주(7월 6∼12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1천건으로, 한 주 전보다 7천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6∼12일 주간(21만6천건)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3만4천건)도 많이 밑돌았다.   미국의 신규 수당 청구는 지난달 중순 이후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6월 29일∼7월 5일 주간 195만6천건으로 한 주 전보다 2천건 늘었다.   Nathan Park 기자미국 청신호 실업수당 청구 경제 지표 최고치 기록

2025.07.17. 13:36

썸네일

모기지 신청 2.8% 증가…5주 만에 최고치 기록

모기지 신청이 5주 만에 최고치에 달했다.     모기지은행협회(MBA)의 15일 발표에 따르면, 모기지 신청 건수가 전주 대비 2.8% 증가했다. 5주 만에 최고 수준이다. 주택 구매 목적의 모기지 대출 신청은 전주보다 3%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 줄었다. 재융자 신청도 2% 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7% 웃도는 것이다.   지난주의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이자율은 전주와 같은 7.61%였다. 하지만 3주 전과 비교하면 25bp(1bp=0.0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동결과 인플레이션 둔화 등의 이유로 국채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모기지 이자율이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즉,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기대감에다 물가 상승 우려가 급감함에 따라 모기지 이자율과 연동되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하락했다. 이에 모기지 이자도 안정됐다는 설명이다.     조엘 칸 부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모기지 신청 건수가 5주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라 지적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최고치 모기 기준금리 인상 최고치 기록 모기지 이자율

2023.11.16. 23:45

인플레 진정에 증시 급등…15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뉴욕증시는 12일 인플레이션이 두드러진 둔화세를 보인 데 힘입어 일제히 상승했다.   물가상승률 축소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보다 덜 매파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투자 심리에 훈풍을 몰고 왔다. 이날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90포인트(0.74%) 오른 4472.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8.26포인트(1.15%) 뛴 1만3918.9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S&P 500 지수는 지난해 4월8일 이후,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4월5일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86.01포인트(0.25%) 오른 3만4347.43에 장을 마감해 상승폭이 작았다.   개장 전 연방 노동부가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3.0% 올랐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인플레 최고치 최고치 기록 증시 급등 이날 뉴욕증시

2023.07.12. 19:02

코로나 첫해 임산부 사망률 53년만에 최고치 기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첫해였던 2020년 임산부 사망률이 50여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으며, 흑인 임산부 사망률이 백인의 3배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AFP·AP 통신에 따르면 국립 보건통계센터(NCHS)는 2020년 임신 또는 출산 후 42일 이내에 임신 관련 사유로 숨진 여성은 861명으로, 임산부 10만명 당 이러한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임산부 사망률이 23.8을 기록했다고 밝혔다.코로나 임산부 임산부 사망률 코로나 첫해 최고치 기록

2022.02.23. 21:20

IL 개솔린값 7년래 최고치 기록

개솔린 가격이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7년새 가장 비싼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데 시카고 지역의 경우에는 높은 세금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1일 일리노이 주 평균 개솔린 가격은 갤런당 3.555달러(레귤러 기준)로 조사됐다. 전달 대비 15센트가 올랐는데 이는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전 세계 산유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생산량을 줄였는데 최근 수요가 늘어나면서 공급이 이를 따르지 못하는 추세다.     최근 한달새 원유가는 배럴당 75.88달러에서 84.65달러로 올랐다.   일리노이 주는 개솔린 가격에 주 세금을 부과하는 6개 주 가운데 하나다.     일리노이 주의 개솔린 세금은 갤런당 38.7센트다.     하지만 각 지방자치단체의 세금까지 포함하면 갤런당 53.87센트까지 올라간다. 시와 카운티에서도 별도의 세금을 부과하는 지역이 많기 때문이다.     중서부 주요 지역의 갤런당 세금을 보면 인디애나 46.62센트, 위스콘신 32.92센트, 아이오와 30.50센트, 켄터키 26센트, 미주리 17.42센트 등이다.     일리노이 주의 경우 JB 프리츠커 주지사가 갤런당 19센트인 주 개솔린 세금을 두 배인 38센트로 올린 바 있다.   한편 원유가 인상에 따른 항공요금도 올랐다.     최근 미국에서 한국으로 향하는 항공 요금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올라 왕복 항공권 요금이 50달러 정도 뛴 것으로 알려졌다.   Nathan Park 기자개솔린값 최고치 최고치 기록 갤런당 세금 개솔린 세금

2021.11.02. 15:2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