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최대한 몸 낮추되 위기에서 기회 찾겠다”

  “불안하지만, 일단은 몸을 최대한 낮춘 채 희망을 찾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을 마주한 한국계 기업들의 입장이다. 중국산 제품에 대해선 최대 145% 관세 부과를 시작했고 한국산을 비롯한 여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간 유예한 상황인 만큼, 90일간 최대한 활로를 모색하고 기회를 찾겠다는 설명이다. 대중국 관세가 시작된 지 한 달여가 지난 8일, 본지가 만난 한국 기업 관계자들은 일단은 대규모 투자는 자제하되, 미국 시장 내 중국산 제품의 빈자리를 채울 방법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시장 관망하며 재고확보에 총력”=한국산 화장품을 수입해 뉴욕·뉴저지 업체들에 공급하는 A사. 이곳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한국산 화장품 수입을 늘렸다. 미국에 제조 기지를 갖춘 한국 대기업 화장품 회사들과 달리, 한국산을 수입해 파는 경우 관세가 부과되면 직격탄을 맞기 때문이다. A사 한인 대표는 “유통기한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재고를 확보한 덕에 몇 달 가량은 재고소진을 하며 버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식품 수입업체 B사는 올 초부터 유통기한이 비교적 긴 음료 수입을 늘렸다. 윤미정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 미주지역본부장은 “보관에 대한 부담이 비교적 덜한 품목들이 평소보다 수입량이 늘어난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2월 99억 달러, 3월 111억 달러 등으로 늘었는데 많은 업체가 재고 확보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4월 대미 수출액은 106억3000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6.8% 급락하면서 관세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선 25% 품목 관세를 부과한 탓이다.   ◆“중국산 고춧가루 섞인 한국 김치? 일단 수출”=중국에서 일부 부품이나 재료를 받아 한국에서 완성해 수출하는 경우는 어떨까. 이런 한국 기업들은 세관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을 감수하고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중국산 고춧가루가 들어간 김치, 중국산 당면이 일부 포함된 만두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문구업체에서 수입, 판매하는 중국산 제품도 마찬가지다. 한 수출입업계 관계자는 “세관에서 작정하고 문제 삼기 시작하면, 엄밀히 말해 중국산 부품이나 재료가 섞인 한국산 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며 “하지만 명확한 가이드가 없고, 세관 인력이 그 정도로 많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업체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수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90일 유예기간이 끝난 후엔 한국산 제품에도 상호관세가 매겨질 수도 있는데, 그 부분에 업체들이 대응할 방법은 사실 없다”며 “다들 한미 관세협상이 잘 되기만을 바라며 희망 고문 중”이라고 했다.   ◆중국산 수입 중단, 한국 기업에 기회?=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보는 한국 기업들도 있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이 자취를 감추자 이 빈자리를 노리는 것.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업체들은 그간 중국산과의 경쟁 때문에 더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데도 가격을 낮추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경쟁 구도가 완화하면 가격 인상까지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타겟, 월마트 등 미국의 메이저 유통망에서는 먼저 중국산을 대체하기 위해 한국 업체 수소문에 나서기도 했다.   식품 시장에서도 한국산이 중국산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아시안 식재료를 취급해 납품하는 바이어들은 최근 중국산 수입이 차질을 빚자 단무지나 홍삼, 깐마늘 등을 한국산으로 바꾸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시나리오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더 유예해주거나, 예고했던 것보다 관세율을 낮출 때 실현 가능하다. 유정학 뉴욕한인경제인협회 전 회장은 “한국산을 수입하는 바이어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은 아니지만, 선적이 예약에 1주일, 부산에서 미 동부까지 오는데 한 달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많다고도 할 수 없다”며 “다들 7~8월까진 재고로 버티겠지만, 그 후는 오리무중”이라고 전했다.   ◆“정보 하나라도 더 얻자” 세미나·지원 찾는 기업들=지난달 온라인으로 진행된 미한국상공회의소(KOCHAM) 세미나.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관세 정책과 공급망 혼란을 다루는 세미나에는 수많은 한국계·한인 기업들이 몰렸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가 매주 진행, 유튜브 코트라TV 채널에 올리는 영상 역시 인기를 얻고 있다. 김범수 코트라 과장은 “수출업자도, 수입업자도 혼돈인 상황이라 관세사들과 상담이 절실한 시점이라 긴급수출바우처를 편성했다”고 말했다. 김동그라미 코트라 과장 역시 “미국을 기반으로 한 한인 바이어분들이 역으로 클라이언트(한국 수출기업)에게 도움을 받을 것을 권하고, 안정적으로 수출입 관계를 이어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중국 최대한 한국산 화장품 한국 기업들 식품 수입업체

2025.05.08. 20:56

썸네일

평균 소셜연금 1980불, 수령 최대한 늦춰야

지난 2월 기준, 은퇴한 근로자가 받는 평균 소셜연금은 월 1980달러였다. 생활비 일부로는 도움이 되지만 여유로운 은퇴 생활을 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 소셜연금의 최대 수령액을 받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물가가 오르고 전통적인 연금제도가 사라지면서 매달 안정적으로 지급되는 소셜연금은 은퇴자들에게 거의 유일한 신뢰할 만한 수입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셜연금 최대 수령액을 받기란 쉽지 않다.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제외된다. 그렇다면 2025년 기준 최대 수령액인 월 5108달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최대 수령액의 두 가지 조건은 ▶35년 동안 일정 소득 기준 이상을 벌어야 하는 것과 ▶연금 수령을 70세까지 연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하면 최대 수령액 대상에서 제외된다. 소득 기준을 충족했더라도 수령을 빨리 시작하면 안 되고 70세까지 수령을 미뤘더라도 소득이 부족하면 안 된다.   사회보장국은 매년 소득 상한선까지만 연금 계산에 반영한다. 2025년 기준 소득 상한선은 17만6100달러다. 즉, 2025년에 연봉이 20만 달러이든 100만 달러이든 소셜연금 산정에는 17만6100달러까지만 반영된다. 따라서 최대 연금을 원한다면 35년 동안 매년 상한선 이상을 벌어야 한다. 실직 기간도, 수입이 줄어든 해도 없어야 한다.   상한선은 매년 조금씩 오른다. 예를 들어, 1980년에는 2만5900달러, 1990년에는 5만1300달러였다. 매년 해당 연도 기준 상한선만큼 소득이 있어야 하고 앞으로도 매년 오르는 상한선에 맞춰 수입을 유지해야 한다.   사회보장국은 근로 기간 중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35년간의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연금을 산정한다. 만약 35년보다 짧게 일한 경우, 공백 기간은 소득 '0'으로 계산되어 연금이 낮아지게 된다.   현실적으로 대부분은 최대 수령액에 도달하지 못한다. 연방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의 중간 연봉은 약 6만2088달러로 최대 수령액에 필요한 기준치의 약 3분의 1 수준이다. 여기에 경력 단절과 실직, 전직 등 현실적인 변수까지 고려하면 최대 수령액 받기는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소셜연금은 수령을 늦추라는 조언이 나온다. 62세부터 수령이 가능하더라도 최고 수령액에 한참 못 미치는 액수가 더 줄어든다. 더구나 일찍 받으면 평생 줄어든 액수를 받아야 한다. 물론 최대 수령액인 5108달러도 62세부터 받기 시작하면 2831달러로 줄어들게 된다. 5108달러는 최대 수령액이기 때문에 70세까지 수령을 늦췄을 때 액수다. 따라서 정년 퇴직 연령인 67세에 받는 4018달러에서 30%를 제하면 62세에는 2831달러를 받게 된다. 최대 수령액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조기 수령과 정년 수령, 지연 수령 사이에 한 달에도 얼마나 큰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다. 이 차액이 평생 계속되는 것까지 계산하면 최대한 수령을 늦추라고 조언을 이해할 수 있다.   은퇴자들은 대부분 최대 수령액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그만큼 수령액을 늘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우선 공백 없이 꾸준히 최소 35년 이상 일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소셜연금의 평균이 낮아지지 않는다.   소득을 높일 수 있을 때 높이는 것도 방법이다. 오버타임이 가능하거나 연봉이 더 높은 직장으로 옮기거나 가능할 때 최대한 소득을 높이면 그 성과가 소셜연금으로 은퇴 뒤 평생 쌓인다.   만약 소득이 낮았던 해가 있다면 소득을 높여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소셜연금 계산은 소득이 가장 높은 해 35년을 계산한다는 점을 활용하는 것이다.   소득을 높이는 것이 쉽지 않다면 수령 시기를 늦추는 방법을 찾는다. 수령액이 가장 낮은 62세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가능하면 정년 이후로도 수령을 늦춘다. 기준이 되는 소득이 제대로 올라갔는지 사회보장국 웹사이트의 'My Social Security' 계정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 배우자의 소셜연금과 조율해 가구의 연금 수령액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소셜연금은 은퇴 재정의 전부가 아니다. 연금형 보험(Annuity)이나 로스IRA 등 별도의 은퇴연금이나 투자 수익을 미리부터 준비하면 소셜연금의 최대 수령액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다. 안유회 객원기자연금 최대한 최대 수령액 최고 수령액 소득 상한선

2025.05.04. 19:00

썸네일

[오늘의 생활영어] the full effect; 최대한의 효과

(Dan is talking to his son Gabriel … )   (댄이 아들 개브리얼과 얘기한다 …)   Dan: Is tonight your second date with Katie?   댄: 그럼 오늘이 케이티와 두 번째 하는 데이트니?   Gabriel: Yes and I' m a little nervous.   개브리얼: 네 그래서 좀 떨려요.   Dan: That' s okay. That' s to be expected. Are you taking her out to dinner?   댄: 그거야 괜찮아. 당연히 그럴 거야. 저녁 대접 할 거니?   Gabriel: No we did that on our first date. I thought I' d invite her to my apartment and make her dinner.   개브리얼: 아뇨 그건 처음 데이트 때 그렇게 했구요. 저희 아파트에 초대해서 저녁 만들어주려구요.   Dan: Very good.What are you going to make?   댄: 좋네. 뭘 만들 거니 ?   Gabriel: I' m going to bake some fish.   개브리얼: 생선 요리요.   Dan: Play some soft music. That' s always a nice touch.   댄: 부드러운 음악을 틀어봐. 음악 트는 건 언제나 센스있는 일이니까.   Gabriel: I bought some flowers to spruce up the dinner table.   개브리얼: 식사 테이블을 꾸미려고 꽃도 좀 샀어요.   Dan: And light some candles for the full effect.   댄: 완벽한 효과를 위해서는 촛불도 켜고.   Gabriel: Thanks dad. I' m learning from an old pro.   개브리얼: 아빠 고마워요. 노련하신 프로에게 배우네요.       ☞기억할만한 표현   * that's to be expected: 이상할 것 없는 일이죠 당연하죠   Son: "I was nervous when I took my driver's test."(운전 면허시험 보는데 전 떨려서 혼났어요.)   Father: "That's to be expected. Everyone gets a little nervous taking that test."(그거야 당연하죠. 그 시험 볼 때면 누구나 약간씩 긴장합니다.)   * a nice touch: 센스 있는 일 멋진 일     "That scarf she's wearing is a nice touch. She looks great." (그녀가 두르고 있는 스카프 정말 센스 있네요. 아주 멋져보여요.)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effect 최대한 full effect nice touch dinner table

2024.01.29. 19:08

[똑개비 뉴스] 사회보장(Social Security)연금 수령, 최대한 빨리 아니면 최대한 늦게?

 똑개비 뉴스 연금 최대한 수령 최대한 social security

2023.10.19. 15:23

썸네일

[전술적 자산운용] 리스크 최대한 줄이고 꾸준한 수익 극대화

지금의 투자환경이 변화하는 경기 및 시장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이는 전술적 자산운용을 의미한다. 주식형 자산의 가치가 역사적인 기준에 비추어 볼 때 극단적으로 과대평가된 환경이다. 그래서 전통적인 ‘바이 앤 홀드(buy and hold)’ 전략이 특히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전술적 자산운용이란 무엇이고, 그 운용 메커니즘은 어떤 것인 지에 대해 알아본다.   ▶개념 이해   전술적 자산운용은 전략적 자산운용에 대비된다. 전략적 자산운용은 우리가 이미 익숙한 방식이다. 전통적 포트폴리오 이론에 근거해 분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은 정해진 리스크 수준에 맞춰 주식, 채권, 현금 자산 비중을 정하고 이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보수적인 포트폴리오에서 점차 더 공격적인 포트폴리오까지 여러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안에 포함된 개별 종목들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능동적인 측면이다. 자산 유형별 비중은 대체로 유지된다. 그런 면에선 ‘수동적’이다.     반면 전술적 자산운용은 포트폴리오 구성과 종목 선택 등 모든 면에서 능동적이다. 월별, 분기별로 종목은 물론, 구성 비율도 달라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방위에서 비정기적 변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한 가지 공통점은 여전히 리스크 프로파일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보수적 전술운용에서부터 공격적 전술운용까지 원하거나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리스크 수준에 따라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전략적 가중과 전술적 가중   전술적 자산운용에서도 전략적 분산의 기본개념이 적용된다. 리스크 수준에 따라 주식형 자산과 채권형 자산의 전략적 비중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전략적 분산은 그러나 정적인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다. 각각의 리스크 수준 안에서 전술적 자산운용을 위한 투자전략과 결합되기 때문이다.     전술적 투자전략은 다양할 수 있지만, 주식형 자산과 관련해서는 주식매수/현금, 팩터(factor), 글로벌 섹터 교체,  주식매수/주식매도 등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주식매수/현금 투자전략은 증시가 상승장이라고 판단될 때 주식형 자산을 매수하고 하락장이라고 판단될 때는 현금이나 현금자산으로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팩터 기반 투자는 역시 상승장, 하락장에 따라 팩터에 따른 주식형 자산에 투자하거나 현금이나 현금자산으로 자금을 옮겨 놓게 된다. 이 두 가지 방식은 시장에 대한 장기전망에 기반해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글로벌 섹터 교체 방식은 중장기 전망에 기반해 적용된다. 항시적으로 주식형 자산에 배치된다. 글로벌 시장에 대한 중장기 전망이 하락장일 경우에는 채권이나 현금, 현금자산 등 안전자산으로 옮겨 리스크를 관리한다.   주식 매수/매도는 좀 더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투자전략이다. 단기 시장전망에 근거한 투자전략이다. 단기적으로 상승장이라고 판단되면 주식형 자산을 매수하지만, 하락장이라고 판단되면 현금이나 현금자산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매도에 나선다. 이른바 ‘쇼트(short)’ 포지션을 활용해 하락장에서 수익을 꾀하게 된다. 물론, 적극적인 매도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되는 환경에서는 현금, 현금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보호하는 데 치중할 수도 있다. 포트폴리오 내 자산들 사이 상관성이 높아질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한 분산의 도구로 ‘쇼트’을 활용하기도 한다. 결국 투자자의 리스크 수준에 맞춰 시장환경에 따라 주식형 자산 매수와 매도, 팩터투자, 글로벌 섹터 교체투자, 현금, 현금성 자산으로의 자금이동 등 다양한 투자전략을 활용, 능동적으로 포트폴리오의 주식형 자산 비중을 관리한다고 볼 수 있다.   채권형 자산 투자는 채권시장의 단기, 중장기 전망에 따라 채권시장의 상승장에서는 채권을 매수하고 하락장에서는 역시 채권에 대한 ‘쇼트’ 포지션을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과 맞물려 금리가 올라가면서 채권값이 떨어질 때 단기채권 매수 포지션과 기존 채권형 자산에 대한 ‘쇼트’ 포지션을 통해 추가 이익 실현을 목표로 하는 식이다.   ▶현 시장환경과 전술투자 전략별 배치 현황   언급한 것처럼 전술운용은 주식이나 채권 등 자산 유형에 대한 전략적 배치비율이 있지만, 시장환경에 따라 각각의 자산 유형과 리스크 프로파일 안에서 필요한 투자전략과 전략별 배치 비율을 다르게 가져간다. 현재 팩터 기반 투자 전망은 상승도 하락도 아닌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래서 10% 정도가 팩터 기반 투자전략에 배치돼 있다.     미국 증시와 글로벌 증시는 9월 중순까지는 상승장 기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됐지만 최근 확인된 다양한 기술분석, 기본분석 데이터에 의하면 하락장 전망이 점차 유력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자산배치와 투자전략별 배치 비중에 예정에 없던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     어쨌든 현재까지는 이전 상승장 전망에 기반해 주식형 자산 비중을 늘린 상태로 매수/현금 전략과 글로벌 섹터 교체투자 전략에도 12%/5%씩이 배치된 상태다. 매수/매도 전략은 전체적으로 40%가 배치됐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쇼트’ 포지션을 제외한 대부분은 현금자산으로 운용되고 있다. 채권자산 투자는 100% 매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국채 비중을 소폭 늘린 상태다.     ▶적용   보수적 투자자의 자산별 배치 비중이 30% 주식형 자산, 70% 채권형 자산이라고 하자. 전략적 비중은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이 바뀌거나 투자목적, 기간 등이 달라지지 않는 한 달라지지 않는다. 전략적 자산운용은 이를 꾸준히 유지하며 가는 것이다. 이를 전술적으로 운용한다고 하면, 이렇다. 현재 포트폴리오의 70%인 채권형 자산 투자는 100% 매수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쇼트’도 가져갈 수 있지만, 지금은 아니다. 이 중 일부가 고수익률 기업채권에서 국채 쪽으로 이동했다.     전술적 투자전략인 매수/현금, 팩터, 글로벌 섹터 교체, 매수/매도 등은 이 보수적 투자 포트폴리오의 30%에 해당되는 주식형 자산에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25%가 매수 포지션이고 팩터 기반 투자가 10%, 매수/현금 전략에서 매수에 12.5%, 글로벌 섹터 교체 전략에서 12.5% 매수 포지션, 매수/매도 투자전략에 40%가 배치됐지만 대부분 현금자산으로 유지되고 있다.     시장이 하락장 기조로 바뀌게 되면 주식형 자산에 적용될 전술투자 전략들의 배치 비율이 바뀌게 되고, ‘쇼트’ 포지션과 현금자산 비중이 더 늘어나게 될 것이다. 필요할 경우 100% 현금이나 현금자산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탄력적 운용이 가능해야 하는 이유는 결국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가능한 최대 수익을 꾸준히 실현하기 위함이다. 모든 시장환경에 필요한 방식으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가능한 시나리오다.     표1 제목: IRS/CDC 평균 기대수명   표2 제목: 건강상태에 따른 기대수명     표3 제목: 부부 중 한명의 기대수명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email protected]전술적 자산운용 극대화 최대한 전략적 자산운용 전술적 투자전략

2023.10.03. 20:25

원서 기입 정보 교정, 성취 등에 한정…불합격 이의 신청은 최대한 빨리해야

자신만만하게 진학하고 싶은 대학에 지원했는데 ‘불합격’이라는 뜻밖의 결과가 나왔다.   이 상황에 처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모든 서류를 완벽하게 갖춰서 지원했다고 확신하기 때문에 입학 사정관들이 큰 실수를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다.     정말 입학 사정관이 나를 불합격시킨 것이 실수였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실수였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명문대 입학사정관들은 해마다 엄청난 분량의 원서를 심사한다. 이중 상당수는 최고의 학업성적, 뛰어난 과외활동, 돋보이는 추천서 등 강력한 스펙을 보유한 학생들이다.     불합격 통보를 받은 학생이 “왜?” 라고 묻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의외로 간단하다. 원서의 경쟁력이 다른 지원자들에 비해 약했을 수도 있고, 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너무 많이 몰려 해당 대학이 이들 모두를 합격시킬 수 없다는 것이 이유였을 수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대학이 내린 결정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번복할 수 없다. 불합격 통보를 받은 학생 입장에선 다른 대학에 합격을 노리는 것 외에 뾰족한 수가 없다.     그렇다고 예외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학생이 제출한 오리지널 원서에 오류(error)가 있을 경우 대학은 불합격을 통보했다 하더라도 원서를 재검토 할 수 있다.     학생이 불합격 통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서는 오리지널 원서에 기입한 정보들이 본인의 ‘성취’(achievements)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 만약 원서에 표시된 고등학교 GPA, SAT/ACT 점수 등 객관적인 정보가 부정확하게 보고됐고, 학생의 잘못이 아닌 경우 입시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은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일부 대학은 학생이 원서를 접수한 후 이룬 성취가 있다면 원서를 재검토 하기도 한다. 단, 새로운 성취가 특별하거나 대단한 것이어야 불합격 결정을 뒤집을 수 있다. 뒤늦게 치른 SAT에서 1600점 만점을 받았다거나, 내셔널 또는 스테이트급 대회에서 우승이나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강력한 ‘훅’이 될만한 것을 제시해야 한다.     대학이 한번 내린 결정을 뒤집기는 어렵다. 학교 측이 입시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를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해도 결정을 번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입시결과에 이의를 제기할지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만약 이의를 제기하기로 결정했다면 불합격을 통보한 대학의 어필 정책을 꼼꼼히 리서치 한다. 대학마다 어필 정책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 대부분 한인학생들이 지원하는 UC계열대학도 학부과정이 있는 9개 캠퍼스 별로 어필 정책이 다르다.     학생은 이의 제기를 위한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케이스가 해당 대학의 어필 정책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 따라 이의제기 신청 마감일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어필하기로 마음먹었다면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스케줄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마감일 전에 이의 제기를 신청했다 하더라도 대학의 입학사무처가 신속히 일을 처리할지 말지는 불투명하다. 복수의 대학으로부터 합격통보를 받은 경우 합격한 학교 중 한 곳에 등록의사 전달 마감일(보통 5월1일) 전에 어필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의 제기를 하는 과정에서 해당 대학 입학사무처 관계자(또는 입학사정관)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관계자와 진솔한 대화를 통해 학생이 성취한 것들이 원서를 통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히도록 한다. 입학사무처 관계자는 학생에게 어필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해줄 수도 있어 격식을 갖추고 접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어필 절차는 학생이 이의를 제기하는 이유를 서면으로 전달하는 것과 함께 시작된다.     공식 레터와 함께 학생의 케이스를 증명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자료를 첨부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023년 가을학기 대학 조기전형 원서가 모두 마감돼 학생들은 이달 중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지원한 대학에 합격하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지만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으나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 두자.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불합격 최대한 이의제기 신청 불합격 결정 불합격 통보

2023.01.01. 19:01

[오늘의 생활영어] the full effect; 최대한의 효과

(Dan is talking to his son Gabriel … )   (댄이 아들 개브리얼과 얘기한다 …)   Dan: Is tonight your second date with Katie?   댄: 그럼 오늘이 케이티와 두 번째 하는 데이트니?   Gabriel: Yes and I'm a little nervous.   개브리얼: 네 그래서 좀 떨려요.   Dan: That's okay. That's to be expected. Are you taking her out to dinner?   댄: 그거야 괜찮아. 당연히 그럴 거야. 저녁 대접 할 거니?   Gabriel: No we did that on our first date. I thought I'd invite her to my apartment and make her dinner.   개브리얼: 아뇨 그건 처음 데이트 때 그렇게 했구요. 저희 아파트에 초대해서 저녁 만들어주려구요.   Dan: Very good.What are you going to make?   댄: 좋네. 뭘 만들 거니 ?   Gabriel: I'm going to bake some fish.   개브리얼: 생선 요리요.   Dan: Play some soft music. That's always a nice touch.   댄: 부드러운 음악을 틀어봐. 음악 트는 건 언제나 센스있는 일이니까.   Gabriel: I bought some flowers to spruce up the dinner table.   개브리얼: 식사 테이블을 꾸미려고 꽃도 좀 샀어요.   Dan: And light some candles for the full effect.   댄: 완벽한 효과를 위해서는 촛불도 켜고.   Gabriel: Thanks dad. I'm learning from an old pro.   개브리얼: 아빠 고마워요. 노련하신 프로에게 배우네요.     ━   기억할만한 표현     * that's to be expected: 이상할 것 없는 일이죠 당연하죠   Son: "I was nervous when I took my driver's test."(운전 면허시험 보는데 전 떨려서 혼났어요.)   Father: "That's to be expected. Everyone gets a little nervous taking that test."(그거야 당연하죠. 그 시험 볼 때면 누구나 약간씩 긴장합니다.)   * a nice touch: 센스 있는 일 멋진 일     "That scarf she's wearing is a nice touch. She looks great." (그녀가 두르고 있는 스카프 정말 센스 있네요. 아주 멋져보여요.) 오늘의 생활영어 effect 최대한 full effect nice touch dinner table

2022.04.21. 18:2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