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건강 칼럼] 잇몸 건강이 치아 배열에 미치는 영향

젊었을 때 치아를 상실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치아 우식증(충치)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치아 우식증의 빈도는 줄어드는 대신, 치주 질환(잇몸 염증)으로 치아를 상실하는 경우가 더 늘어난다.   잇몸의 문제는 충치에 비해 본인이 느낄 수 있는 자각 증상이 비교적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를 받아도 원래의 건강한 잇몸으로 회복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친 후 치과를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클리닝이 꼭 필요하다.   초기에는 잇몸의 문제가 치아 주변 연조직에 국한되어 나타나기 시작한다(치은염). 이를 닦을 때 칫솔에 피가 묻어나거나, 칫솔질 후 출혈이 보이는 것이 가장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자각 증상이다. 이때 치과를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원래의 건강한 잇몸을 되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잇몸 문제가 더 진행되어 치아를 지탱하는 뼈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치주염).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흡수되기 시작하면 치아가 흔들리고, 치아 위치가 변하기 쉽다.     어금니의 경우에는 잇몸 염증으로 인해 치아를 지탱하는 잇몸 조직이 약해짐과 동시에, 앞니보다 강한 씹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병적인 치아이동이 더욱 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적 치아이동이 심해지면 어금니의 교합이 무너져 얼굴의 모습도 달라지기 시작한다. 입꼬리가 아래로 처지거나 입 주변 주름이 깊어지고, 심하면 얼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기도 한다.   잇몸 문제로 인해 미관상의 문제도 함께 생기게 된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첫째 교정 치료 전에 잇몸 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   치아 배열을 바로잡기 위한 교정 치료 전에, 잇몸 건강을 회복하고 안정시키는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필요한 잇몸 치료는 잇몸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치아 배열이 달라질 정도라면 대개 흔히 ‘딥클리닝’이라 부르는 치은연하소파술이나 잇몸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더 심한 경우에는 뼈 이식을 동반한 조직유도재생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잇몸 치료만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면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둘째 잇몸이 건강해진 후에야 교정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적절한 잇몸 치료를 통해 염증이 없는 건강한 잇몸을 회복해야 비로소 교정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치아 주변 잇몸 조직의 상태에 따라 이동 방향과 양을 세심하게 조절해야 한다.   교정 치료 중에도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클리닝은 필수다.     최근 치아 배열이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면, 치과를 꼭 방문해 잇몸 건강을 먼저 점검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문의:(714)522-2875  최준호 원장 / 최준호 치과건강 칼럼 잇몸 건강 잇몸 건강 잇몸 치료 치아 배열

2025.11.04. 19:16

[치아와 건강] 치아 지키며 젊은 날의 미소 되찾자

백세시대를 맞아 치아 건강은 노년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치아는 정확한 발음을 돕고, 좋은 인상을 만드는 미적인 기능도 하지만, 음식물을 잘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 몸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정보와 치료 접근성의 개선으로 평균적인 치아 건강도 상당히 좋아졌다. 환자의 요구 또한 통증 해결과 상실된 기능 회복의 기본적인 것에서 자연치아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미적인 면도 요구하는 시대가 됐다.   치과용 임플란트가 보편적인 치료로 자리 잡으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지만, 자연치아를 빼고 임플란트를 하게 되면 되돌리기 어려운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그동안 치아 교정은 젊은 층만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는 중장년층의 치아 교정도 늘고 있다. 본인의 자연치아를 유지하면서 기능과 미용상의 효과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 임플란트보다 널리 알려지지 않아 교정이 효과적인 몇 가지 유형을 소개한다.    첫째, 나이가 들면서 앞니의 배열이 매우 불규칙해 진 경우다. 가지런한 앞니의 배열은 인상을 좌우할 뿐 아니라, 젊게 보이는 미소를 만드는 데도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머리색이 변하듯, 치아도 점점 앞으로 밀리면서 불규칙한 배열이 되기 마련이다. 치아의 겹쳐짐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보통 3개월 정도 짧은 기간의 부분적 교정을 통해 가지런한 치아 배열을 회복할 수 있다.   둘째, 잇몸이 좋지 못해 앞니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높이가 달라진 경우다. 잇몸이 잘 관리되지 못해 치아를 지지하는 뼈의 흡수가 있는 경우, 치아가 흔들리거나 배열이 틀어지기 쉽다. 이때 단기간의 부분교정으로 치아 발치나 치아 손상 없이 잇몸 건강도 개선하며 보기 좋은 배열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치아 발치 후 장기간이 지나 인접 치아 혹은 맞닿는 반대편 치아가 심하게 이동한 경우다. 장기간 방치된 곳에 임플란트하려고 할 경우, 이동한 인접 치아나 마주 닿는 치아를 부분 교정치료를 통해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게 되면 불필요한 추가 발치나 신경치료, 크라운 등의 치료 없이 회복할 수 있다.   넷째, 외상 등의 이유로 치아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다. 치아의 윗부분(크라운)이 많이 손상된 경우에도 남아있는 치아 뿌리를 부분교정을 통해 잇몸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발치를 하지 않고 회복할 수 있다.   다섯째, 충치나 잇몸 문제 등으로 치아를 뺀 경우다. 임플란트로 상실된 치아를 일단 회복하게 되면 위치를 바꾸거나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치아 회복 이전에 상실된 치아의 공간이 다른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으니 임플란트 시술 전,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최준호 / 치과 의사치아와 건강 치아 미소 치아 회복 치아 배열 치아 교정도

2024.07.29. 18:5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