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건강 칼럼] 잇몸 건강이 치아 배열에 미치는 영향

Los Angeles

2025.11.04 18:16 2025.11.04 19:1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젊었을 때 치아를 상실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치아 우식증(충치)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치아 우식증의 빈도는 줄어드는 대신, 치주 질환(잇몸 염증)으로 치아를 상실하는 경우가 더 늘어난다.
 
잇몸의 문제는 충치에 비해 본인이 느낄 수 있는 자각 증상이 비교적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를 받아도 원래의 건강한 잇몸으로 회복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친 후 치과를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클리닝이 꼭 필요하다.
 
초기에는 잇몸의 문제가 치아 주변 연조직에 국한되어 나타나기 시작한다(치은염). 이를 닦을 때 칫솔에 피가 묻어나거나, 칫솔질 후 출혈이 보이는 것이 가장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자각 증상이다. 이때 치과를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원래의 건강한 잇몸을 되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잇몸 문제가 더 진행되어 치아를 지탱하는 뼈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치주염).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흡수되기 시작하면 치아가 흔들리고, 치아 위치가 변하기 쉽다.  
 
어금니의 경우에는 잇몸 염증으로 인해 치아를 지탱하는 잇몸 조직이 약해짐과 동시에, 앞니보다 강한 씹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병적인 치아이동이 더욱 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적 치아이동이 심해지면 어금니의 교합이 무너져 얼굴의 모습도 달라지기 시작한다. 입꼬리가 아래로 처지거나 입 주변 주름이 깊어지고, 심하면 얼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기도 한다.
 
잇몸 문제로 인해 미관상의 문제도 함께 생기게 된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첫째 교정 치료 전에 잇몸 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
 
치아 배열을 바로잡기 위한 교정 치료 전에, 잇몸 건강을 회복하고 안정시키는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필요한 잇몸 치료는 잇몸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치아 배열이 달라질 정도라면 대개 흔히 ‘딥클리닝’이라 부르는 치은연하소파술이나 잇몸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더 심한 경우에는 뼈 이식을 동반한 조직유도재생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잇몸 치료만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면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둘째 잇몸이 건강해진 후에야 교정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적절한 잇몸 치료를 통해 염증이 없는 건강한 잇몸을 회복해야 비로소 교정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치아 주변 잇몸 조직의 상태에 따라 이동 방향과 양을 세심하게 조절해야 한다.
 
교정 치료 중에도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클리닝은 필수다.  
 
최근 치아 배열이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면, 치과를 꼭 방문해 잇몸 건강을 먼저 점검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문의:(714)522-2875 

최준호 원장 / 최준호 치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