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카니 총리, 캐나다산 차량 GST 폐지

    지난 3일(목), 신민주당(NDP)과 보수당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에 대응해 캐나다와 노동자들이 보다 회복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공약을 내놨다.     자그밋 싱 NDP 대표는 세금이 면제되는 '캐나다 승리 채권(Canada Victory Bonds)'을 제안했다. 연 3.5% 복리 이자를 제공하는 이 채권은 만기 시 비과세 혜택을 받아 100달러 투자 시 5년 후 118.77달러, 10년 후 141.06달러가 된다.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는 캐나다산 차량에 대한 연방 판매세(G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자유당의 마크 카니 총리는 이날 주총리들과 화상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캐나다 자동차 업계가 타격을 입기 시작한 가운데 열린 이번 회의 이후, 카니 총리는 미국산 차량에 대해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보복 관세로 걷힌 모든 세금은 전액 캐나다 자동차 노동자들과 피해 기업에 직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조치는 지난 3월 카니 총리가 발표한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보호, 노동자 재교육, 공급망 강화 등을 위한 20억 달러 규모 기금에 더해지는 것이다.   투표일까지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며 각당 대표들은 이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정책을 내놓으며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산 총리 총리 캐나다산 캐나다산 차량 보복 관세로

2025.04.08. 13:46

썸네일

“멕시코·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부터 시행 중인 멕시코, 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에서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5일 발표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빅3’ 자동차 업체와 대화했다”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USMCA와 연관된 업계의 요청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세 적용을 한 달 면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1개월 면제 조치가 캐나다, 멕시코와의 관계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미국 산업계를 보호하기 위함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메이커 ‘빅3’ 대표와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달 4일부터 부과하려다가 한 달간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를 지난 4일부터 시행했다.   그러나 자유무역협정의 일종인 USMCA에 따른 무(無)관세로 공급망이 하나로 통합된 이들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업체들의 주가가 급락하는 등 미국 경제도 타격을 받고 있다.   또 관세가 미국내 자동차 소비자 가격의 급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한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내달 2일 각국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감안해 적용하는 ‘상호 관세’가 발효된다고 재확인했다.   서만교 기자캐나다산 멕시코 캐나다산 수입차 캐나다 멕시코 멕시코 캐나다

2025.03.05. 19:32

캐나다산 표시 요구 확산

   미국과의 관세 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캐나다산 제품에 ‘Product of Canada’(캐나다산) 라벨을 부착하자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청원 사이트 체인지(Change.org)에는 국내산 제품을 명확히 표시할 것을 요구하는 국민 청원이 게재 되었으며, 지난 18일(화) 기준 2만 3,000명 가까이 서명했다.   이 청원을 시작한 토론토 주민인 닐 초한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에 무역 전쟁을 선포한 상황에서, 지역 농가와 자국민 생산자를 지원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지만 현재 캐나다산 제품을 식료품점에서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으로 모든 식료품점이 캐나다산 제품에 ‘Product of Canada’ 스티커를 부착할 것을 제안했다.       청원에서는 캐나다산 라벨이 중요한 세 가지 이유를 강조했다. 첫째, 소비자가 캐나다산 제품을 명확히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 둘째, 현지 생산품을 소비하면 운송 거리를 줄여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셋째, 소비자들이 캐나다산 제품을 구입하여, 국내 기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청원은 단순히 식료품점들의 자율적 시행을 촉구하는 것을 넘어, 캐나다 정부가 관련 규정을 마련해 국내산 제품을 표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초한은 “이 청원을 통해 캐나다 소비자들이 더 투명하고 지속 가능하며, 국내 생산품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쇼핑 환경을 만들 수 있다”라고 밝혔다.   청원에는 캐나다 주요 식료품점인 로블로, 노프릴스, 메트로 등의 고객센터로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링크도 포함되어 있다.   Loblaws: https://www.loblaws.ca/en/contact-us Farmboy: https://www.farmboy.ca/contact-us/ Sobeys: https://www.sobeys.com/en/about-us/contact-us/ Longo's: https://www.longos.com/contact-us Fortinos: https://www.fortinos.ca/en/contact-us No Frills: https://www.nofrills.ca/en/contact-us Metro: https://www.metro.ca/en/help-center/contact-us Superstore: https://www.realcanadiansuperstore.ca/en/contact-us Shoppers: https://www.shoppersdrugmart.ca/page/contact-us   한편, 소베이스, 세이프웨이, IGA, 프레시코, 푸드랜드 등을 운영하는 엠파이어 컴퍼니 리미티드는 이미 트럼프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전국 매장에서 현지 생산품을 우선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며, 캐나다산 대체 제품을 더 적극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로블로는 아직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정치적 의미를 가질 수는 있어도,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맷 푸아리에 캐나다소매협회(Retail Council of Canada) 부회장은 “캐나다 소매업체들은 자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 사실이다. 공급이 쉽고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그러나 현실적으로 캐나다산 제품이 전체 유통 제품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월) 캐나다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추가적으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도입 계획도 밝혔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산 표시 캐나다산 제품 캐나다산 라벨 현재 캐나다산

2025.02.20. 10:14

썸네일

美, 캐나다산 수입품 무관세 제도 전면 폐지... 25% 관세 신설

 미국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무관세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고 전면적인 관세 체계 개편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1일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새로운 관세 정책은 3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그동안 800달러 이하 물품에 적용되던 무관세 통관 제도가 사라지게 된다. 2023년 한 해 동안 이 제도를 통해 545억 달러 규모의 물품이 무관세로 통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책 시행으로 미국-캐나다 국경을 오가는 모든 여행자는 물품 가액과 관계없이 복잡한 세관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한다. 미국 교통통계국 집계 결과,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5만6천대 이상의 차량이 양국 국경을 통과하고 있으며, 연간 개인 차량 통행량은 2천60만대, 보행자는 21만6천명에 달했다.     국경 통과 절차도 까다로워진다. 기존에는 여행자의 간단한 구두 신고만으로도 통관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모든 물품에 대해 상세한 서면 신고서를 작성하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선물용 물품이나 개인 사용 물품에 대한 구분도 세관 직원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면서 통관 시간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캐나다를 경유하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된다. 예를 들어 100달러 상당의 중국산 의류를 미국으로 배송할 경우, 기본 관세 17%에 일반 관세 10%, 추가 관세 25%가 부과돼 총 52%의 관세를 내야 한다. 이전까지 무관세로 통관되던 것과 비교하면 소비자 부담이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된다.     우편물 통관 절차도 대폭 강화된다. 모든 우편물은 정식 통관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에 따른 행정 비용과 통관 시간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온라인 쇼핑을 통한 소액 물품 구매가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은 현재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이미 시행 중이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조치는 3월 4일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양국 정부는 추가 협상을 통해 무역 갈등 해소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캐나다산 무관세 무관세 제도 무관세 통관 캐나다산 수입품

2025.02.05. 10:0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