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스토리 총괄 역할서 3년 만에 할리우드 메이저 애니메이션 연출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으로 도약 부모님 사랑·가족의 소중함 심어 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노력하면 인종·성별 상관없이 성공 할것 믿기 어려운 일이다. 이 조용하고 여리고 나긋나긋한 여인에게서 어찌 그런 폭발적 에너지와 다이내믹한 액션이 나올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사실이다. '쿵푸 팬더 2(Kung Fu Panda 2)' 와 이 영화를 연출한 제니퍼 여 넬슨(한국명 여인영) 감독의 얘기다. 그녀는 이 영화를 통해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 애니메이션을 연출한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으로 기록됐다. 그리고 자신의 감독 데뷔작인 이 작품을 통해 웃음과 눈물 드라마와 액션이 공존하는 최고의 애니메이션을 완성해냈다는 극찬을 받았다. 이 영화가 개봉 첫 주 전 세계에서 벌어들인 흥행 수입이 무려 1억 2600만 달러다. 어마어마한 성공이다. 지난 1일 글렌데일에 위치한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니퍼 여 넬슨 감독을 만났다. '쿵푸 팬더 2' 홍보로 바삐 전세계를 누비다 개봉과 함께 겨우 한숨을 돌리던 차였다. 여 감독은 "이제야 좀 살 것 같다"며 환한 웃음을 지었다. "3년간 정말 열심히 일했는데 결과가 좋아 아주 흡족해요. 한 달 반 전 마지막 후반 작업을 끝내고 처음부터 끝까지 영화를 다시 보고 나서야 '이제 됐다' 싶더라고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이 영화 한 편을 '제대로'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 덕이겠죠. 무엇보다 관객들이 영화를 너무 사랑해준다는 점 또 해외 관객들의 호응이 좋다는 점이 기뻐요." 1편에서 스토리 총괄로 활약했던 여 감독은 3년 만에 '쿵푸 팬더 2'의 연출자로 화려하게 도약했다. 승진이나 명예에 대한 욕심 없이 좋은 작품 만들기에만 정성을 쏟는 그녀의 열정과 노력이 빛을 발한 것이다. 제작사 드림웍스는 여 감독에게 전폭적 지지를 보냈다. '제작비 부담없이 마음껏 만들라'고 독려하며 창의력을 120% 발휘할 수 있게도 해줬다. 엄청난 신뢰였다. "처음 감독직을 제안받았을 때는 두려움이 앞섰어요. 수줍음도 많아 주목받는 위치에서 일한다는 것도 부담스러웠죠." 하지만 그녀는 용기를 냈다. 혼자라면 힘들겠지만 함께라면 가능하리라는 생각이었다. "'이거 해라' '저거 해라' 명령하는 대신 차분히 협동하는 방식을 택했어요. 먼저 함께 일할 모든 부서 사람들을 다 만나 제가 추구하는 영화의 방향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했죠. 모두가 동일한 목표와 그림을 갖고 일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또 누구든 아이디어를 낼 수 있게 했고 어떤 방식으로든 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줬어요. 덕분에 스태프 전체가 한결 편하고 행복하게 작업을 한 것 같아요." 본격적인 작업에 돌입해서는 영화가 액션과 감동 유머의 삼박자를 고루 갖출 수 있도록 균형을 맞추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았다. 관객들이 주인공 팬더 포와 하나가 돼 그의 여정에 함께할 수 있도록 탄탄한 스토리를 갖추는 데도 공을 들였다. 영화 속 한 장면 한 장면이 모두 소중하지만 특히 여 감독은 주인공 포가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는 장면을 최고로 꼽는다. "그동안 수백 번도 더 본 장면인데 볼 때마다 '이번엔 안 울어야지' 하면서 또 눈물을 쏟게 돼요. 한국적 정서가 많이 묻어나는 장면이기도 해요. 부모님의 사랑 가족의 소중함 등 제가 자라면서 배워 온 한국적 가치를 포에게 대입시켜 봤죠. 바로 그 점이 포를 더 사랑스러운 캐릭터로 만들어 준 것 같아요. 혼자 잘나서 영웅이 된 것이 아니라 가족과 동료들과의 관계 속에 아파하고 성장해 나가는 주인공이 완성된 거죠." 4살 때 이민 온 여 감독은 어려서부터 만화 보기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소녀였다. "어머니가 그림을 정말 잘 그리셨어요. 매일 밤 세 자매가 옹기종기 모여 앉아 어머니가 그림 그리는 모습을 숨죽여 지켜보다 따라 그리곤 했죠. 집에 흰 종이가 남아나는 날이 없었어요. 장난감 대신 언니들과 그림을 그리거나 인형을 만들며 놀았죠. 지금은 세 자매 모두 애니메이션 아티스트랍니다." 특히 '로보트 태권브이' '톰과 제리' '독수리 오형제' 같이 신나고 명랑한 만화를 좋아했고 '블레이드 러너'나 '에일리언'같은 공상 과학 영화에 심취했다. 용이나 괴물 그림도 즐겨 그렸다. 무한한 상상력과 생동감 넘치는 액션을 연출해낼 수 있는 여 감독의 역량은 이때부터 조금씩 자라왔던 것이다. 공부만 하라고 다그치기보다는 무엇이든 즐겁게 하라고 가르치신 부모님의 교육도 그녀의 창의력을 기르는데 좋은 자양분이 됐다. 전액 장학금으로 UCLA에 진학할 수 있었지만 평생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아티스트의 길을 가기 위해 캘스테이트 롱비치에 진학해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하기로 결심하는데도 부모님의 신뢰가 큰 역할을 했다. 힘든 시기도 있었다. 특히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직업'으로 그림을 그려야 했던 시기는 견디기 힘들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얼마 안 된 시기라 고통은 더 컸다. "배워야 할 게 너무 많았어요. 스트레스도 엄청났죠. 막내딸이 첫 직장에서 일하는 모습을 아버지께 보여드리지 못해 슬프기도 했고요. 하지만 '조금 못 하면 어때' '실패해도 괜찮아'라고 마음 먹고 나니 모든 게 한결 쉬워지고 다시 재미있어지더라고요. 그때부터는 일을 더 열심히 할수록 삶이 더 즐거워졌어요. 스스로에게 보다 너그러워야 더 창의적으로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는 것도 그때 배웠지요." 여 감독은 "아시안 아메리칸 여성 감독으로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줄 수 있어 영광"이라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노력한다면 아시안이건 여성이건 상관없이 좋은 아티스트 좋은 감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후배들을 격려했다. "연습과 노력 없인 누구도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없어요. 저도 하루아침에 감독이 된 것은 아니니까요. 앞으로의 계획이요? 일단은 몇 달 푹 쉬어야죠. 언젠가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멋지고 쿨한 어드벤처 액션 영화를 실사로 만들어보고 싶어요. 한 여든 살쯤 되면 이 꿈도 이룰 수 있지 않을까요. 하하." 이경민 기자
2011.06.02. 19:12
나는 이른 아침 극장에 가는 것을 좋아한다. 일전에 조조할인으로 애니메이션 ‘쿵푸 팬더 2’를 관람했다. 쿵푸 판다는 2008년에 1편이 나왔었고 3년 만에 2편이 우리 곁에 다시 찾아왔다. 이 애니메이션에 부제를 붙인다면, ‘Inner Peace(마음의 평화)’라고 할 만하다. 머리 위에서 떨어지는 이슬 방울을 손으로 받아 온전한 이슬 방울 상태로 물에 내려 놓는 ‘사부’는 이러한 기술을 닦기 위해 수 십 년의 수련을 거쳤다고 말한다. 우리의 뚱땡이 어수룩한 판다 ‘포’는 사부의 가르침을 어떻게 구현 할 것인가? 마음의 평화를 얻기 위해서 우리에겐 무엇이 필요한가? 스미소니안 미국미술관의 포크 아트 갤러리에 가면 괴상한 전시물 한가지가 눈에 띈다. James Hampton (1909-1964)이라는 어느 빌딩의 야간 경비가 14년간 알루미늄이나 금박지, 은박지 등 폐품을 수집하여 종교적인 형상들을 만들어 놓고 사망했는데, 그 설치물들이 국립 미국 미술관에 영구 전시 되고 있는 것이다. 이 설치물의 가장 중심에 그가 새겨놓은 문구는 ‘Fear Not’이었다. ‘두려워하지 말라.’ 성경의 신약과 구약을 통틀어서 ‘두려워하지 말라’와 관련된 문구는 대략 365번 나온다고 한다. 매일 하루에 한번 정도 우리는 스스로에게 말해 줄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내가 이 ‘두려워하지 말라’는 문구를 영화를 보면서 떠올린 이유는, 감옥에 갇혀 있던 쿵푸 대가들이 감옥에서 빠져나가는 것 조차 포기 했을 때, 포가 그들에게 외친 한마디 때문이다. “당신들은 당신들이 지어낸 두려움의 감옥에 갇힌 것뿐이야.” 나를 가두는 것은 내 환경이 아니라 나 자신이라는 것이다. 주인공 ‘포’ 역시 공포의 기억 앞에서 번번이 무릎을 꿇기도 하지만, 내면의 평정심을 찾아 냄으로써 공포심에서 벗어나 평화를 만드는 존재로 거듭난다. 쿵푸 판다를 보는 또 다른 재미로는 등장인물들의 목소리를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유명배우들이 연기했다는 것인데, 일단 주인공 ‘포’는 몸집이 판다처럼 통통하고 늘 우리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배우, 잭 블랙이 맡았고, 호랑이 역의 안젤리나 졸리, 그리고 사부님의 더스틴 호프만 등의 친숙한 목소리를 분간할 수 있다면 이 애니메이션은 더욱 유쾌해진다. 그뿐인가, 덤으로 알게 된 사실로, 이 애니메이션의 총감독을 맡은 이가 어릴 때 미국으로 이민온 한국계 미국인 제니퍼 여 (Jennifer Yuh)라는 여성감독이라는 점은 어쩐지 가슴 한 켠을 아리게 한다. 아시아에서 태어나 북미대륙에서 성장한 여 감독의 일대기와 판다 마을에서 태어나 양아버지 거위의 품에서 자라난 주인공 '포'의 삶이 참 많이도 닮았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한국계 미국인 감독이 만든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이라니, 참 장하고도 장하지 않은가? 영화는 끝나고, 영화관을 빠져 나올 무렵, 나는 현실의 숙제들 앞에 다시 선다. 두려움 없이, 평점심을 가지고 나도 뚱땡이 판다처럼 용감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거야! “아비요!” 나도 어린 아이처럼 외쳐보는 것이다.
2011.05.31. 22:12
한인 배우와 한국계 감독의 한판 승부가 점쳐졌던 메모리얼 데이 연휴 박스 오피스 승자는 한인 배우들에게 돌아갔다. 메모리얼 데이 연휴기간 한인 배우들이 출연한 코미디 영화 '행오버 파트 2'가 1위 한인 여감독이 만든 '쿵푸 팬더 2'가 2위를 각각 차지했다. 지난 30일 할리우드 닷컴에 따르면 한인 배우 켄 정과 제이미 정이 출연한 할리우드 영화 '행오버 파트 2'는 흥행이 예상됐던 한국계 여감독 제니퍼 여 넬슨(한국명 여인영)의 '쿵후 2'를 제치고 개봉 첫주말이었던 메모리얼 데이 연휴 동안 8650만 달러를 벌여들이며 흥행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안젤리나 졸리와 잭 블랙이 성우로 열연한 '쿵푸 팬더 2'는 5380만달러의 수입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방콕에서 총각파티를 벌이며 만취한 남자들의 소동을 다룬 토드 필립스 감독의 '행오버 2'는 전편 '행오버(2009년)'의 3배에 달하는 제작비 8000만달러를 투입했다. '행오버2'는 2008년 '섹스 앤 더 시티'가 벌어들인 7900만달러 수입을 넘어 R등급(17세 미만 관람불가) 코미디 영화로써 최고 주말 흥행 수익을 거둬들인 영화로 기록됐다. 조니 뎁과 페넬로페 크루즈 주연으로 흥행이 점쳐졌던 '캐리비안의 해적4'은 3930만달러를 버는데 그쳤다. 4위는 코미디 영화 '브라이즈메이드즈'가 1640만달러 5위는 액션 블록버스터 '토르'가 93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
2011.05.30.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