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달라스 아시안 윈드, 국제 클라리넷 협회 페스티벌 초청 연주

 달라스 아시안 윈드(지휘자 이정무)가 지난 7월9일에서 13일까지 옴니 포트워스 호텔에서 개최된 세계 관악 컨포런스 중 최대 규모인 ‘2025국제 클라리넷 페스티벌’에 목요일 저녁 메인 연주회에 초청돼 8명의 세계적인 유명 클라리넷 연주자들과 협연을 펼쳤다.   ‘클라리넷페스트’(ClarinetFest)로 불리는 이 행사는 지난 1974년 덴버에서 처음 열린 뒤 매년 미주와 세계 도시 중 한 도시를 선정해 열린다. 텍사스에서는 러벅과 오스틴을 이어 세 번째로 포트워스에서 올해 열리게 되었다. 이 행사는 매년 2천명이 넘는 클라리넷 연주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주회와 세계 클라리넷 연주자들이 함께하는 교류의 장이다. 메인 연주회는 목요일과 금요일 저녁에 펼쳐지는데, 목요일은 지역을 대표하는 관악합주단이, 금요일은 페스티벌 오케스트라가 올해 선정된 세계 유명 연주자들과 함께 아름다운 연주를 만들었다. 올해 컨퍼런스에 지역을 대표하는 관악단으로 선정된 달라스 아시안 윈드는 한인 음악가인 이정무 지휘자가 2018년 55명의 음악 전공자들과 함께 창단하여 매년 4회 이상의 정기 연주회와 노스파크 몰(North Park Mall)구정 행사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통해 지역에 아시안의 우수성과 문화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작년에는 포트워스에 위치한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TCU)에서 개최된 세계 트롬본 협회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연주를 한 뒤 올해 또 국제 컨퍼런스에 초청이 되어 더욱 뜻깊은 기회가 되었다. 이정무 지휘자는 “이번 연주를 통해 이 단체를 창단하고 지역에 많은 관악단들이 있지만 좋은 평판과 연주 실력을 인정받아 국제 컨퍼런스에서 아시안 나라가 아닌 보수지역인 텍사스에서 아시안이란 이름을 내걸고 멋진 연주를 펼칠 수 있었다는 게 너무 가슴이 벅차다”며 “한국인으로 그리고 아시안 음악가로 뿌듯하고 뜻깊은 연주회였다”고 전했다. 이번에 함께 협연을 한 연주자들은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이태리, 그리고 미국 출신으로 현재 유명 대학 교수들과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솔로 연주자들로 이뤄졌다. 특히 마지막 피날레를 장식한 이태리 출신 코라도 기프레디(Corrado Giuffredi) 연주자는 클라리넷을 벗어나 관악기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솔로 연주자로, 이날 참석한 1000여 명의 관객들에게 찬사를 받기에 충분했다. 이번 연주를 통해 달라스 아시안 윈드가 한 단계 도약하고 세계 클라리넷 커뮤니티에 이름을 알릴 수 있는 큰 기회가 되었다는 평을 받았다. 이정무 지휘자는 “달라스 아시안 윈드는 2025-26년 시즌 음악회가 모두 준비되었고 많은 한인 분들에게 아름다운 음악을 통해 힘든 이민 생활에 조금이라도 활력소가 되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며 “많은 한인들이 음악회에 참석하여 그 기회를 누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달라스 아시안 윈드에 관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www.dawinds.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토니 채 기자클라리넷 페스티벌 클라리넷 연주자들 달라스 아시안 2025국제 클라리넷

2025.07.18. 8:06

썸네일

클라리넷·색소폰 선율 선사…글로벌심포닉밴드 정기연주회

은퇴한 한인들이 주축을 이룬 글로벌 심포닉 밴드(단장 장학범, 지휘 나민주 목사)가 오는 5일(토) 오후 5시 애너하임의 임마누엘 한인장로교회(2045 W. Ball Rd)에서 제4회 정기 연주회를 연다.   남녀 단원 18명으로 구성된 글로벌 심포닉 밴드는 이번 공연에서 클라리넷과 색소폰 연주를 선사한다.   먼저 시작될 클라리넷 공연에선 평화의 기도, 은혜, 유 레이즈 미 업, 내가 너를 도와주리라, 마이 웨이, 에어 앤드 타란텔라, 산타루치아, 하이든의 세레나데, 에른스트 슈미트의 미뉴에토 등을 감상하게 된다. 나민주 지휘자는 클라리넷 독주를 선보인다.   휴식 시간 후 시작될 색소폰 연주 순서에선 주기도문, 나의 등 뒤에서, 생명의 양식, 문 리버, 돌아오라 소렌토로, 올드 블랙 조, 트라이 투 리멤버, 테네시 왈츠, 18세 순이, 별빛 같은 나의 사랑아, 딜라일라 등 한인들의 귀에 익은 성가곡, 가곡, 가요, 팝송을 감상할 수 있다.   피아노 반주는 조애영씨가 맡는다.   장학범 단장은 “음악 전공자는 없지만, 단원 대다수가 서울대 음대 기악과에서 클라리넷을 전공한 나 지휘자에게 10년 가까이 연주를 배웠기 때문에 아마추어로서는 어느 정도 경지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가을 정취가 물씬 풍기는 무료 공연을 많은 한인이 즐기기 바란다”고 말했다.   나 지휘자는 동아일보 콩쿠르에서 입상했으며, 고려교향악단을 비롯한 한국의 여러 교향악단, 벨플라워시티 심포니 등 미국의 여러 오케스트라에서 수석 연주자로 활동했다.   글로벌 심포닉 밴드는 7년 전 창단 이후 코로나19팬데믹 시기를 빼고 매년 정기 연주회를 갖고 있다. 장 단장은 “우리 밴드는 음악을 통해 복음을 전하자는 취지로 출발했다. 단원들은 월 1, 2회 거주 지역별로 교회, 양로원을 찾아가 공연하며 봉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연 관련 문의는 전화(323-684-5767, 562-208-2416)로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클라리넷 색소폰 클라리넷 공연 클라리넷 독주 색소폰 연주

2024.10.02. 20:00

썸네일

클라리넷 연주자의 관악기 강연

성공회 가든그로브 교회(담임 신부 토머스 이)가 비영리법인 ‘야스마7(YASMA7, 대표 손영아)’과 함께 마련하는 수요 무료 음악 감상회가 내일(24일) 정오 교회(13091 Galway St) 내에서 열린다.   눈 튠스(Noon Tunes)란 이름의 음악 감상회 주제는 ‘관악기 이야기’다. 클라리넷 연주자 정재연(미국명 클레어 정·사진)씨가 초청 강사로 나와 금관악기, 목관악기에 관해 설명하고 클라리넷의 기원과 발전, 클라리넷의 소리와 종류 등에 관해 설명할 예정이다.   정씨는 예원학교와 서울예고를 나와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에 영재 입학, 조기 졸업했다. 미국에 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USC 음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금호 영재 콩쿠르, 금호 영아티스트 콩쿠르, 한국 클라리넷 협회 콩쿠르 1위, 국제클라리넷협회 오케스트라 대회에서 2위에 오르는 등 다수의 콩쿠르 입상 경력이 있으며 베이커스필드, 샌루이스오비스포, 모데스토, 투산 심포니에서 클라리넷 주자로 활약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문의는 전화(213-537-7796) 또는 이메일([email protected])로 하면 된다.클라리넷 연주자 클라리넷 연주자 국제클라리넷협회 오케스트라 한국 클라리넷

2024.07.22. 20:00

썸네일

클라리넷·색소폰 선율로 가을맞이

남가주의 클라리넷, 색소폰 연주자들로 구성된 글로벌 심포닉 밴드(단장 나민주 목사)가 내달 1일(일) 오후 4시30분 가디나의 성서장로교회(1655 W. Marine Ave)에서 제3회 정기 연주회를 개최한다.   32명의 단원이 출연하는 이번 연주회의 1부는 클라리넷 합주, 2부는 클라리넷, 알토 및 테너 색소폰 합주로 각각 진행된다. 나민주 단장은 미카엘 베르그송의 ‘정경과 아리아’ 독주를 선보인다.   나 단장은 서울대학교 음대 기악과에서 클라리넷을 전공했다. 동아일보 콩쿠르에서 입상한 뒤, 고려교향악단 등 한국의 여러 교향악단에서 수석 연주자로 활동했으며 미국에 온 후엔 퍼시픽 크리스천 칼리지에서 교회 음악을 공부했다. 벨플라워시티 심포니 등 여러 오케스트라에서 수석 연주자로 활동했다. 현재 성서장로교회 원로 목사다.   나 단장은 “함께 출연하는 단원들도 나름 음악에 조예와 실력을 갖춘 연주자들로 수년 동안 클라리넷과 섹스폰을 연주한 경력을 갖고 있어 모처럼 정상의 관악기 연주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다. 가을의 문턱을 아름다운 관악기의 선율과 화음으로 맞이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는 전화(714-234-4177, 323-684-5767)로 하면 된다.클라리넷 가을맞이 클라리넷 색소폰 클라리넷 합주 클라리넷 알토

2023.09.25. 7: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