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후 맨해튼 링컨센터 근처에 위치한 카우프만 뮤직센터 머킨홀. 뜨거운 날씨에도 참석 여부를 미리 밝혔던 400명이 넘는 관객이 약속대로 극장을 가득 채웠다. 차세대 한인 클래식 인재들의 공연을 경험하려는 뉴욕의 클래식 애호가들로 카우프만 뮤직센터는 후끈 달아올랐다. 호른과 트롬본, 피아노가 리드미컬하게 현대 작곡가 브루스 스타크의 곡을 연주해나가자 관객들은 숨을 죽이고 집중했다. 이후 율리우스 베네딕트의 ‘라 카피네라’ 성악곡, 두 개의 플룻과 피아노가 함께한 게리 쇼커의 곡까지 이어지며 호응은 더 커졌다. 알렉산더 보로딘의 곡을 연주한 매력적인 현악 4중주에 이어 온드림 앙상블 전원 연주와 함께 ‘아, 나의 친구’(ah! mesamis) 성악곡으로 공연을 마무리하자 머킨홀에서는 뜨거운 박수가 쏟아졌다. 이날 뉴욕 무대에서 공연한 이들은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후원하는 ‘온드림 앙상블’ 장학생들이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온드림 앙상블’ 장학생 중 우수 학생을 선발해 뉴욕 무대를 선보이게 됐다. 재단과 뉴욕한국문화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공연은 양측이 협약을 맺고 낸 첫 번째 결과물이자, ‘온드림 앙상블’의 미국 데뷔 무대였다. 이번 프로젝트의 지도교수로 함께한 백혜선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NEC) 교수는 “11명의 학생이 모두 놀랄 정도로 개성있고 악기의 특성을 잘 알고 연주하는 학생들”이라며 “자기표현과 감정표현도 풍부했다”고 말했다. 이예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도 “많은 한인 분들이 생각보다 더 많이 호응해주셔서 뿌듯하다”며 뉴욕의 열광적인 분위기에 감사를 표했다. 공연에 선 학생들 역시 긴장과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공연을 찾은 한인들도 차세대 인재들의 공연을 즐길 수 있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한인 김모 씨는 “뻔한 음악이 아닌 평소에 잘 듣지 못한 음악을 연주해 줘서 더욱 감사하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인 박모 씨는 “아이들의 연주가 신비롭고 사람의 마음을 후벼 파는 듯한 느낌이 들어 감동받았다”고 밝혔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단순한 재정적 지원을 넘어, 뛰어난 역량을 지닌 장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 우수 인재가 세계적인 연주자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외 유수 예술 기관과 유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글로벌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에는 뉴욕한국문화원과 협약을 맺고 문화예술 인재들의 미국 진출을 앞으로 지원해나겠다고 뜻을 모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차 정몽구 앙상블 전원 클래식 애호가들 뉴욕 무대
2025.06.30. 20:25
애플이 아이폰에 기본 설치된 음악 앱 외에 별도의 클래식 음악 전용 앱을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500만 개 이상의 트랙과 독점 앨범 등으로 구성되었다고 하는 이 앱은 기존 애플 뮤직 이용자들이라면 추가 요금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음악 앱에서도 클래식 음악을 들을 수 있는데 왜 굳이 별도의 앱을 만드는 걸까. 모든 종류의 음악이 한자리에 섞여 있는 기존의 음악 앱에서 클래식을 들어본 애호가들이 느끼는 불만 때문이다. 교향곡 전곡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 악장별로 쪼개져 올라온다. 팝과 같은 다른 종류의 곡처럼 취급하고 있어서 그렇다. 게다가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61’처럼 긴 제목을 갖고 있고, 유명한 곡의 경우 무수하게 많은 연주자들의 버전이 존재하기에 클래식에서 특정 연주자, 특정 작곡가의 곡을 찾는 건 테일러 스위프트의 노래를 찾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클래식 애호가들은 연주자와 음반에 관한 정보를 많이 원하는데 기존 음악 앱에서는 이 욕구를 충족하기가 어렵다. 기술적인 문제도 있다. 클래식 음악은 최소 음량과 최대 음량의 차이가 커서 아주 작은 볼륨으로 섬세하게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중음악과 섞여 있으면 볼륨을 따로 크게 키워야 한다. 애플은 이런 애호가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사가 자랑하는 무손실(lossless)과 공간(spacial) 음향 기술을 모두 활용해 최적의 클래식 음악 청취 환경을 만들겠다고 한다. 애플 제품의 뛰어난 장애인 접근성에서도 볼 수 있지만, 소수 사용자의 만족도 완벽주의적으로 추구하는 애플 특유의 고집이다. 박상현 / 오터레터 발행인디지털 세상 읽기 클래식 전용 클래식 전용 클래식 음악 클래식 애호가들
2023.03.2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