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기자의 눈] ‘소속’의 이름으로 싸우는 사람들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요 부문 수상이 가장 유력하다고 얘기되는 영화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One Battle After Another)’를 보았다. 평소부터 좋아하던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이 연출한 데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숀 펜, 베니시오 델 토로 같은 최고의 연기파 배우들이 나온다고 해서 망설임 없이 골랐다.   영화는 무척 훌륭했다. 3시간에 가까운 상영 시간 동안 지루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정말 잘 만든 영화는 이런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2시간 50분 중에서 단 한 장면이라도 뺀다면 영화 전체가 무너질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 정도로 아주 잘 짜여진, 완벽에 가까운 영화였다.   장면마다 다층적인 의미가 숨어 있어서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는 영화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메시지에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봐도, 짜릿하게 즐거운 영화였다.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최고 수준의 각본과 연출은 연기자들을 통해 완성됐다. 주연 배우들은 최근 온라인에서 많이 쓰는 말처럼 영화 내내 ‘연기 차력쇼’를 펼쳤다. 특히 연방요원 록조 역의 숀 펜의 연기는 그의 긴 커리어를 비춰봐도 최고의 퍼포먼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특출났다.   영화는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테러리스트 그룹과 이를 잡으려는 연방요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두 단체가 대립하는 과정에서 치정이 얽히고 서로 좇으면서 숨 가쁘게 달려가는 이야기다. 16년에 걸친 이 과정은 현재 양극화된 미국 사회를 정확히 보여준다. 주인공 밥 퍼거슨을 연기한 디카프리오는 이 영화가 극단주의로 치닫고 있는 현 사회를 보여주는 거울과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영화에서는 연방 청사를 폭탄으로 파괴하는 급진 그룹과 비밀스러운 백인 우월주의 그룹이 두 축으로 등장하며 대규모 이민 단속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사건 중 하나다. 그 어느 때보다 갈려 버린 미국 사회를 이보다 정확하게 보여주는 영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각본을 쓴 앤더슨 감독은 20년 이상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는데 공개하는 시점은 이보다 더 적절할 수 없었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나에게 맴도는 한 가지 키워드는 ‘소속감’이었다. 영화에 나오는 모든 등장인물들은 사실상은 단 하나를 위해 싸우고 있다. 바로 소속감이다. 그것이 테러리스트 그룹이든, 백인 우월주의 그룹이든, 서류미비자들을 숨겨주는 이민자 단체든, 수녀회로 위장한 대마초 농장이든, 혹은 그저 댄스 파티에 가는 고등학생들 친구 집단이든, 등장인물은 모두 ‘자신이 속한 곳’을 위해서 노력한다.   감독은 최근 인터뷰에서 끝없이 대립하여 양 극단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적인 인간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나에게는 그것이 삶의 고단함에서 오는 외로움과 그 외로움을 느꼈을 때 자신이 기댈 수 있는 곳, ‘소속’을 원하는 마음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소속을 갖게 됐을 때 그것을 지켜내기 위해 싸운다.     결국 영화는 서로 다른 진영에 선 사람들조차도 모두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싸우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메시지는 나에게 절절하게 다가왔다. 8개월 된 딸을 키우고 있는 나는 딸을 위해서 무모한 싸움에 나서는 밥 퍼거슨의 캐릭터에 더 몰입했을지도 모른다. 혼란한 시대 상황 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가족과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서 영화 제목처럼 끝없는 싸움에 나서고 있다. 이 영화는 그렇게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전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헌사다. 조원희 / 논설실 기자기자의 눈 소속 이름 테러리스트 그룹 영화 제목 영화 전체

2025.10.14. 20:27

썸네일

"테러리스트 설명 비디오에 무슬림 등장"

LA 지역 치안기관들이 인종편견적 내용이 담긴 경관 교육용 비디오를 사용해왔다고 비영리 저널리즘 단체 ‘노크(Knock) LA’가 2일 보도했다.     노크LA는 캘리포니아주 평화 경찰 기준 및 훈련위원회(POST)가 LA경찰국(LAPD)과 LA셰리프국(LASD) 등 LA 지역 치안 기관에 제공한 교육 비디오에 인종편견적 메시지와 여러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당 비디오들은 11년 전부터 유튜브 채널과 웹사이트에 업로드되기 시작해 오랜 기간 경관들의 교육용 자료로 사용돼 왔다고 전했다.     노크LA에 따르면 POST가 제작한 ‘급진화 대응(Radicalization Countermeasures)’이란 제목의 영상은 테러리스트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면서 무슬림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영상의 한 부분에서 한 남성이 짧은 드레스를 입은 백인 여성에게 “무슬림 여성들은 이런 식으로 옷을 입지 않는다”고 소리를 질렀고, “나는 무슬림 여성이 아니다”고 대답하는 여성의 뺨을 때리고 강제로 집에 가두는 폭력적인 모습이 비쳤다.     이후 등장하는 한 공공라디오 진행자는 “대부분의 테러리스트 그룹은 중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 영상은 중동의 역사를 설명하는 장면으로 이어지고, 은퇴한 경관이 나와 “이 분쟁은 해외에서 싸우는 미군만의 전쟁이 아니다. 당신은 지역 사회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일의 최전선에 있다”고 말한다.     이에 대해 노크LA는 “실제로 9·11 테러사건 이후 상당수의 테러는 무슬림이 아닌 백인 영주권자 혹은 시민권자들에 의해 발생했다”며 중동 사람들에 대한 편견적 의미를 내포한 해당 영상을 지적했다.     그뿐만 아니라 POST가 제작한 일부 영상들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알고 있었는가? 성인용 마리화나(Did You Know? Adult-Use Cannabis)’란 제목의 영상에서는 구토한 것으로 보이는 남성이 잔디밭에 앉아있고, 남성의 어머니가 출동한 경관에게 아들의 가방에서 마리화나를 발견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노크LA는 응급실 간호사의 말을 인용해 ‘마리화나 구토증(Cannabinoidhyperemesis syndrome·CHS)’은 극히 드문 일로, 일회성 대마초 사용으로 나타나기 힘들다고 전했다.     또 다른 영상에서는 19개월 딸을 인질로 삼은 아빠와 벌어진 총격전에서 LAPD 경관이 쏜 총격에 아버지와 딸 둘 다 숨진 사건을 공개하면서 “아이를 죽인 것이 우리 경관의 총알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일어난 일의 결과를 바꾸지는 않는다. 아버지는 여전히 그 총격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고 노크LA는 전했다.     한편, 노크LA는 POST에 요청한 비디오들이 부분적으로 편집돼 있었다며 비디오 전체를 요구했지만, POST는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제공되는 공익이 공개함으로써 제공되는 공익보다 분명히 더 크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고 전했다.   또한 POST 제작 영상들에 등장하는 경관들에 대해 LAPD는 “모든 비디오 영상은 POST 책임이다”라고 일축했으며, LASD는 제때 답변을 거부했다고 노크LA는 밝혔다.   장수아 기자테러리스트 비디오 무슬림 여성들 테러리스트 그룹 교육 비디오

2023.01.03. 21: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