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중앙칼럼] 전기차 지금이 구매 적기인가

지인이 카톡으로 이렇게 물어왔다. “주변에서 많이들 전기차를 추천하는데, 지금이라도 전기차를 사는 게 맞을까요?”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프로그램 종료일이 이달 말로  다가오면서 주변에서 이런 질문을 자주 받는다. 가격이 급등한 신차 구매가 부담되는 소비자들에게 7500불 크레딧 혜택은 결코 놓치기 아까운 기회이기 때문이다.   매일 장거리 통근을 해야 해 개스비 부담을 줄이고 반자율주행 기능이 절실한 입장에서 필자 역시 더 늦기 전에 전기차로 갈아타야 하나 선택의 기로에 서 있었기에 이 질문에 답을 찾아보고 싶었다.   그래서 생성형 AI 서비스인 퍼플렉시티, 챗GPT, 제미나이를 활용해 2025년형 현대 쏘나타 개솔린 모델,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 그리고 테슬라 모델3 후륜 구동(RWD) 전기차를 비교해 봤다.   각 차량의 신차 가격(MSRP), 연료·전기 비용, 정비·유지비, 자동차 보험료 등을 바탕으로 3년, 5년, 10년 기준 총 소유비용(TCO)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를 요청했다. 신차 가격은 옵션 및 세금 미포함으로 LA지역 개솔린 가격과 전기 요금을 반영했으며 한인타운에 거주하는 30대 운전자가 매일 50마일씩 주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했다. 조사 결과 신차 가격을 포함한 3년간 총 소유비용은 쏘나타가 4만4376달러로 가장 낮았고 캠리 하이브리드 4만4497달러, 테슬라 모델3는 5만3953달러 순이었다.   5년 기준에서는 하이브리드 연비 차이 탓에 캠리가 5만5595달러로 쏘나타 5만7360달러, 모델3 6만3395달러보다 저렴했다.   10년 기준에서도 캠리가 8만4790달러로 가장 우수했고 모델3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비 덕분에 8만7700달러로 쏘나타 8만8070달러를 제쳤다.   비교 모델 중 MSRP가 가장 저렴한 쏘나타는 3년/3만6000마일 오일 교환 등 무상 정비가 제공되며 보험료와 감가상각이 상대적으로 낮아 초기 비용이 부담되는 이들에게 실속 있는 선택으로 보인다.   2년/2만5000마일 오일 교환이 제공되는 캠리 하이브리드도 갤런당 50마일 연비로 연료비가 저렴하고 감가상각도 쏘나타보다 낮아 장기 운용 시에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앞의 결과는 전기차 세액공제 7500달러를 테슬라 모델3에 적용해 다시 계산하면 달라진다.   3년간 총 소유비용은 모델3가 여전히 4만6453달러로 쏘나타나 캠리보다 2000달러 전후 높지만 5년 기준으로 하면 5만5895달러로 쏘나타보다 1500달러 가까이 낮아졌다. 10년 누적 비용에서는 8만200달러로 캠리, 쏘나타보다 4500달러에서 8000달러가량 저렴해져 3개 모델 중 가장 비용 효율이 높은 차가 된다.   이달 안에 모델3를 구매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는 전기차가 가장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결정하기 전 한가지 간과해선 안 되는 조건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가 유지비와 연료비 면에서 유리하다고 알려졌지만, 높은 초기 차량 가격과 감가상각률, 상대적으로 비싼 보험료를 고려하면 총 소유비용은 가장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3의 5년 감가상각은 신차 가격의 50%에 달하는 1만9995달러로 쏘나타(45%, 1만1993달러) 캠리(38%, 1만792달러)보다 훨씬 높아 이를 반영하면 총 소유비용이 최대 1만6400여 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다.   자동차 구매는 단순히 수치로만 결정할 수 없다. 얼마나, 언제까지, 어떤 조건에서 탈지에 따라 답은 달라진다. 누군가에겐 개솔린차가, 또 다른 이에게는 전기차가 정답일 수 있다.   지난달부터 업체들이 무이자 할부에 캐시백까지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걸고 전기차 판매 경쟁을 펼치고 있다. 구매 또는 리스 프로그램이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에게 유리한 상황인 만큼 전기차 구매가 유리한 경우라면 서둘러 발품을 팔아볼 가치가 있지 않나 싶다. 박낙희 / 경제부장중앙칼럼 전기차 구매 전기차 구매 신차 구매 테슬라 모델3

2025.09.02. 20:22

썸네일

테슬라 모델 3·Y 노 다운 이벤트…60~72개월 할부 이자율 2.49%

테슬라가 테슬라 모델3과  모델Y 구매 시 다운페이먼트를 하지 않아도 되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테슬라는 모델 3과 Y에 대한 ‘다운페이먼트 0달러($0 due at signature)’ 프로모션을 론칭한다고 지난 13일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다운페이먼트 없이 연 이자율 2.49%만 내면 모델 3과 Y 구매할 수 있다. 모델 3의 경우는 최장 60개월, 모델 Y는 72개월이다. 연 이자율 2.49%가 적용된 모델 3의 경우, 60개월의 월 납부금이 463달러이며 72개월인 모델 Y는 468달러다.     다만, 차량 구매가의 20%를 다운페이먼트하면 연 이자율이 1.99%로 내려간다. ‘다운페이먼트 0달러’ 혜택은 지난 12일 이후 신규 주문에만 적용된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테슬라 이벤트 테슬라 모델3 할부 이자율 다운 이벤트

2024.09.16. 19:49

테슬라 일부 모델3 보조금 못 받는다

이른바 ‘K-배터리’를 탑재한 테슬라의 일부 모델이 정부의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는 현지 언론보도가 나왔다.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은 지난 14일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을 탑재한 테슬라 일부 모델이 정부가 지급하는 최대 7500달러 상당의 세액공제(보조금)를 받지 못한다고 보도했다.   반면 일본 파나소닉의 배터리를 장착한 테슬라 모델은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돼 보조금을 받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일렉트렉은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갈수록 엄격해지는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 규정에 적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행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규정상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에서 조립되고, 중국산 광물과 부품을 사용하지 않은 전기차에만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일렉트렉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3의 경우 같은 차종이라도 배터리 공급업체별로 세액공제 여부가 구분된다.   테슬라 홈페이지에는 항속형(롱레인지) 모델에는 ‘세액공제 적용 후 가격’ 공지가 별도로 뜨지만, 기본형 모델에는 이런 공지가 따로 없다. 소비자들이 알 수 있게 세액공제 대상 차량과 비적격 차량을 구분해 놓은 것이다.   테슬라는 모델3 항속형 모델에 파나소닉 배터리를, 모델3 기본형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테슬라에 납품하는 배터리를 북미에서 조립하고 있으며 IRA 광물 규정도 충족하고 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는 중국 상하이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IRA 세액공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일렉트렉은 “배터리 소재와 부품 조달에 대한 요구 사항이 늘면서 일부 차량의 자격이 혼란스럽고 테슬라의 경우 트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테슬라는 지난 12일 모델3 롱레인지 후륜구동(RWD) 모델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모델3의 4개 모델 중 두 번째로 가격이 낮은 모델로 2017년 처음 선보였다가 2년 후에 판매가 중단된 이후 5년 만에 다시 출시되는 것이다.   가격은 보조금 지원 전 기준으로 4만2490달러에 판매된다. 이는 사륜구동의 롱레인지 모델3보다 5000달러 저렴하고 기본 모델3보다는 3500달러 비싸다.   한 번 충전하면 주행할 수 있는 거리 363마일은 기본 모델3보다 100마일이 더 길다. 최고 속도는 시속 125마일에 시속 60마일까지 속도를 올리는 데에는 4.9초가 걸린다고 테슬라는 설명했다. 두 번째로 가격이 낮은 모델이 출시되면서 판매 둔화를 겪는 테슬라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LG 중국 테슬라 모델3 기본형 모델 항속형 모델

2024.07.15. 23:42

썸네일

테슬라 모델3가 캠리보다 싸졌다…세액공제에 친환경 리베이트

전기차 테슬라 모델3가 잇단 가격 인하와 세액공제 수혜로 개스차인 도요타 캠리보다 저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6일 바이든 행정부는 배터리 공급망을 변경한 테슬라 모델 3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7500달러 세액공제 혜택 자격을 취득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만240달러부터 시작되는 모델3 가격이 7500달러 연방세액공제와 최대 7500달러의 가주정부 친환경차 리베이트가 적용될 경우 2만5240달러로 떨어져 2만6320달러부터 시작하는 도요타 캠리보다 저렴해졌다.   이전에는 지난 4월 발표된 IRA의 강화된 배터리 원산지 규정으로 모델3 후륜 기본형과 사륜 장거리형 2개 모델만이 각각 3750달러 세액공제에 그쳤었다. 하지만 지난주 테슬라가 웹사이트를 통해 모델3 전 트림이 7500달러 크레딧을 받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5일 새로 공개된 세액공제 수혜 차량은 복스왜건 8개, 테슬라와 포드 각 6개, 셰볼레 5개, 지프, 링컨, 리비안 각 2개, 크라이슬러, BMW, 캐딜락 각 1개 등 총 34개다. 이 가운데 7500달러 공제는 24개에 달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세액공제 리베이트 테슬라 모델3 친환경 리베이트 IRA Auto News EV PHEV

2023.06.06. 21:2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