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정치적 긴장 고조로 텍사스 떠나고 싶다”

 텍사스 대학 교수중 상당수가 최근 다른 주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텍사스 트리뷴이 최근 보도했다. 교수들의 탈 텍사스 이유는 캠퍼스내에서 정치적 간섭이 심화하면서 공포와 불안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미 대학교수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AAUP)가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미국 남부 지역 대학 교수 약 4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중 1,100명 이상이 텍사스 주내 대학 소속이었다. 텍사스 교수의 약 4분의 1은 지난 2년간 타주 고등교육 기관에 지원했다고 답했으며 25% 이상은 조만간 타주 구직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주를 고려하지 않는 교수 가운데서도 5분의 1 이상은 장기적으로 고등교육 분야에 남을 생각이 없다고 응답했다. 한 텍사스주내 4년제 공립대학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사기가 바닥이다. 친구들이 아무 이유 없이 계약을 잃었다. 우리는 잘못된 말을 할까 두려워한다. 스스로 검열한다. 학문적 자유는 없다”고 적었다. 교수들이 이직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텍사스의 전반적인 정치 환경이었다. 텍사스에서는 대학 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iversity·Equity·Inclusion/DEI) 프로그램을 금지하고, 대학 이사회가 종신재직권(tenure) 부여·박탈 정책을 제정하도록 요구하는 법안, 그리고 교과 과정 및 신규 채용 과정에서 교수진의 역할을 제한하는 법안이 시행됐다. 설문에서는 급여 문제와 학문적 자유 축소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AAUP 조지아주 지부장 매슈 보디(Matthew Boedy)는 “텍사스를 떠나려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정치인의 공격 없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대학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은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텍사스 교수들은 이번 조사에서 “동료나 대학원생에게 텍사스에서의 취업을 권하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이 60%를 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버지니아, 노스 캐롤라이나, 사우스 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 테네시, 켄터키, 앨라배마,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아칸소 등 남부 여러 주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디 지부장은 “설문에서도 드러나듯 텍사스의 정치 환경은 고등교육에 적대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교수들이 가능한 한 이를 감내하지 않으려 한다”고 전했다. AAUP 각 주 지부들은 이번 조사를 지난 8월 내내 실시했다. 텍사스 교수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이미 종신재직권을 확보했으며, 약 40%는 현 직장에서 16년 이상 근무 중이라고 답했다. 이번 결과는 미전역에서 대학들이 주·연방 차원의 정치적 압박에 직면한 상황에서 나왔다. 설문에 따르면 텍사스 교수 10명 중 1명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계약이 축소되거나 중단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방정부 기관은 연구 자금 지원을 제한하거나 삭감해왔는데, 지난 2월 국립보건원(NIH)의 정책 변경은 텍사스 대학들의 수억 달러 규모 연방 자금을 위협했다. 다만 이후 연방 판사가 해당 조치를 제소한 주들의 소송을 받아들여 이를 막았다. 또한 많은 텍사스 주립대 시스템이 올해 초 통과된 주상원법안 37호에 따라 교수평의회를 해산했다. 이 법안은 교과 과정, 인사 등 주요 학문적 의사결정 권한을 주지사 그렉 애벗(Greg Abbott)이 임명하는 대학 이사회에 넘겼다. 최근 몇 년간 주의회는 고등교육에서 DEI 프로그램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댄 패트릭(Dan Patrick) 부지사는 2년전 주립대 종신재직권 축소를 추진해 반발을 불러왔다. 반대 측은 이 조치가 텍사스내 인재 유출(brain drain)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펜 아메리카(PEN America)의 지난 7월 분석에 따르면, 미국 26개주 의원들이 70건 이상의 법안을 발의했으며, 이는 교육 내용 제한이나 학문적 자유를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고등교육을 ‘검열(censor)’하려는 움직임으로 분류됐다.   손혜성 기자텍사스 정치 텍사스 교수들 텍사스 대학 텍사스 트리뷴

2025.09.09. 7:07

썸네일

SAT·ACT 등 표준시험 요구 대학 증가…학습 촉진·경쟁력 강화 등 긍정 효과

미국의 대학들이 SAT 및 ACT 시험을 다시 도입하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하버드 대학과 캘텍은 지난 4월 11일  2025년부터 입학 지원서에 SAT/ACT 점수를 요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MI, 다트머스, 브라운, 예일 등에 이은 결정으로 이제 29개의 대학이 학업 능력, 사회 지식, 논리력 사고를 테스트하는 표준 학력 시험을 입학 조건에 다시 포함하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하버드대 역시 예일대와 마찬가지로  AP혹은 IB 시험이 SAT 시험을 대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 하버드대 학장은 “표준화된 시험은 배경과 인생 경험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대학과 그 이후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 경제적 범위를 넘어 인재를 식별하는데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SAT/ACT 점수를 다시 제출하도록 요구하겠다는 대학은 약 29개에 달하며 이들 대학(브라운, 다트머스, 조지타운, MIT, 예일, 하버드, 캘텍, 퍼듀,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등)이  지원자에게 발표들을 속속 하고 있다.     ▶표준학력 시험 찬성   하버드 대학의 연구팀의 데이터와 다트머스 대학 교수들의 연구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 동안 SAT 혹은 ACT 점수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들은 점수를 제출 그룹보다 학업 성적이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또, 예일 대학 입학담당자인 제레마이어 퀸랜은 표준화된 시험 점수가 학생의 학업 능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 입학 신청서의 어떤 정보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텍사스 대학 오스틴 캠퍼스의 경우, 표준화된 시험 점수는 학교가 학과에 맞는 학생들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 점수가 엔지니어링 및 비즈니스와 같은 중요한 프로그램을 완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학교 측에서는 극도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표준학력 시험 반대   표준학력시험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투자, 시간 및 노력을 필요로 하기에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의 학생들이 불리하다는 것이 가장 반대를  주장하는 하는 사람들의 대표적 이유다.  그리고 SAT/ACT 점수를 요구하는 대학 수는 아직은 적은 수이며  최소 80%인 약 1825개의 대학이 다음 입학 시즌에는 이러한 시험 점수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며 콜롬비아 대학이나 UC계열 대학들도 여기에 속한다.     ▶경쟁력 향상 위한 교육의 질   3월 9일자 이코노미스트는 탑 5%의 과학논문의 저자들이 이제는 중국의 대학 및 연구소 소속인 경우 25%로 미국을 추월하고 있다고 이야기하며 학생들의 공부시간이 3분의 1로 줄어들고 있다는 것, 그리고 새로운 창의를 위해 대학이 변해야 하는 사실을 보도했다.  탁월하게 인용되는 과학논문 비중이 2009년 미국은 40%에서 2021년 25%로 급격히 줄어든 반면, 중국은 2009년 10% 미만에서 2021년 25% 이상의 탁월한 과학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추세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학문 연구 기관으로서 미국 명문대학들이 그 역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대학은 학문을 추구하는 기관인 만큼 다양성이나 포용성을 강조하더라도 학문 연구와 발전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재도입의 긍정적 기대효과   표준화된 시험은 학생들의 학업 적성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학생들의 실제 시험 점수를 통해 자신의 학업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학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고 기대되며 또한 특정한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특정한 점수 목표와 같은 측정 가능한 목표와 명확한 기대치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 효과로 기대한다.   ▶문의: (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A1칼리지프렙표준시험 경쟁력 다트머스 대학 하버드 대학 텍사스 대학

2024.08.25. 19: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