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정치적 긴장 고조로 텍사스 떠나고 싶다”

Dallas

2025.09.09 07:0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상당수 대학 교수들, DEI 금지·학내 영향력 축소 이유
UT오스틴 캠퍼스. 기사와 직접 연관 없음.

UT오스틴 캠퍼스. 기사와 직접 연관 없음.

 텍사스 대학 교수중 상당수가 최근 다른 주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텍사스 트리뷴이 최근 보도했다.
교수들의 탈 텍사스 이유는 캠퍼스내에서 정치적 간섭이 심화하면서 공포와 불안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미 대학교수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AAUP)가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미국 남부 지역 대학 교수 약 4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중 1,100명 이상이 텍사스 주내 대학 소속이었다. 텍사스 교수의 약 4분의 1은 지난 2년간 타주 고등교육 기관에 지원했다고 답했으며 25% 이상은 조만간 타주 구직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주를 고려하지 않는 교수 가운데서도 5분의 1 이상은 장기적으로 고등교육 분야에 남을 생각이 없다고 응답했다.
한 텍사스주내 4년제 공립대학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사기가 바닥이다. 친구들이 아무 이유 없이 계약을 잃었다. 우리는 잘못된 말을 할까 두려워한다. 스스로 검열한다. 학문적 자유는 없다”고 적었다.
교수들이 이직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텍사스의 전반적인 정치 환경이었다. 텍사스에서는 대학 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iversity·Equity·Inclusion/DEI) 프로그램을 금지하고, 대학 이사회가 종신재직권(tenure) 부여·박탈 정책을 제정하도록 요구하는 법안, 그리고 교과 과정 및 신규 채용 과정에서 교수진의 역할을 제한하는 법안이 시행됐다. 설문에서는 급여 문제와 학문적 자유 축소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AAUP 조지아주 지부장 매슈 보디(Matthew Boedy)는 “텍사스를 떠나려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정치인의 공격 없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대학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은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텍사스 교수들은 이번 조사에서 “동료나 대학원생에게 텍사스에서의 취업을 권하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이 60%를 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버지니아, 노스 캐롤라이나, 사우스 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 테네시, 켄터키, 앨라배마,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아칸소 등 남부 여러 주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디 지부장은 “설문에서도 드러나듯 텍사스의 정치 환경은 고등교육에 적대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교수들이 가능한 한 이를 감내하지 않으려 한다”고 전했다.
AAUP 각 주 지부들은 이번 조사를 지난 8월 내내 실시했다. 텍사스 교수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이미 종신재직권을 확보했으며, 약 40%는 현 직장에서 16년 이상 근무 중이라고 답했다.
이번 결과는 미전역에서 대학들이 주·연방 차원의 정치적 압박에 직면한 상황에서 나왔다. 설문에 따르면 텍사스 교수 10명 중 1명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계약이 축소되거나 중단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방정부 기관은 연구 자금 지원을 제한하거나 삭감해왔는데, 지난 2월 국립보건원(NIH)의 정책 변경은 텍사스 대학들의 수억 달러 규모 연방 자금을 위협했다. 다만 이후 연방 판사가 해당 조치를 제소한 주들의 소송을 받아들여 이를 막았다.
또한 많은 텍사스 주립대 시스템이 올해 초 통과된 주상원법안 37호에 따라 교수평의회를 해산했다. 이 법안은 교과 과정, 인사 등 주요 학문적 의사결정 권한을 주지사 그렉 애벗(Greg Abbott)이 임명하는 대학 이사회에 넘겼다.
최근 몇 년간 주의회는 고등교육에서 DEI 프로그램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댄 패트릭(Dan Patrick) 부지사는 2년전 주립대 종신재직권 축소를 추진해 반발을 불러왔다. 반대 측은 이 조치가 텍사스내 인재 유출(brain drain)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펜 아메리카(PEN America)의 지난 7월 분석에 따르면, 미국 26개주 의원들이 70건 이상의 법안을 발의했으며, 이는 교육 내용 제한이나 학문적 자유를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고등교육을 ‘검열(censor)’하려는 움직임으로 분류됐다.
 
손혜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