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셧다운보다 ‘앱스타인 파일’이 우선”

긴 휴가를 마치고 지난 2일(화) 개원한 연방의회가 ‘제프리 엡스타인 파일’ 공개를 위한 초당적인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9월말까지 2026회계연도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면 당장 10월1일부터 연방정부 셧다운에 들어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으나, 양당 지도부는 엡스타인 파일 문제가 더 위험한 발등의 불이라고 전했다.    토머스 매시(공화,켄터키) 하원의원과 로 칸나(민주, 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연방법무부가 보관중인 엡스타인 관련 수사 자료 일체를 완전히 공개하도록 강제할 수 있는 법안을 상정했다. 상당수의 공화당 소속 의원들도 이 법안에 찬성하고 있어, 법안 통과가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두 의원은 공화당 의원의 이탈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법안 통과에 필요한 218명을 쉽게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민주당 의원 212명 전원이 찬성하고 있으며, 서명의사를 밝은 공화당 의원은 12명에 이른다. 하원 공화당 지도부는 이 법안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엡스타인 결의안을 표결에 부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원에서도 국토안보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이 법무부에 9월 2일까지 문서를 제출하고 위원회 직원들에게 브리핑하도록 요구했다. 민주당은 법무부가 협조하지 않을 경우 소송을 제기하고 이 문제를 무기한으로 의제에 올리겠다고 밝혔다. 2일에는 엡스타인과 함께 성매매 혐의로 2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기슬레인 맥스웰을 고소한 여러 피해자들이 마이크 존슨(공화, 루이지애나) 하원의장과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또한 제임스 코머(공화, 켄터키) 하원 감독위원회 위원장 등과도 면담했다. 위원회는 현재 엡스타인 관련 조사를 진행 중이며 법무부를 압박해 엡스타인 관련 문서를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백악관 월드컵 관련 행사에서 “이건 그냥 사기극으로, 엡스타인 사건 전체가 민주당의 사기극”고 말했다. 파일 공개를 압박하는 공화당 지지자들도 늘고 있는 가운데, 법무부는 엡스타인 수사자료에  아동 성착취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이유로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셧다운 파일 엡스타인 파일 연방정부 셧다운 제프리 엡스타인

2025.09.02. 12:07

썸네일

[J네트워크] 페이스북 파일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욥기 8장 7절)   페이스북을 설명하는 데 이보다 더 들어맞는 문구가 있을까. 시가총액 1100조원, 2019년 말 기준 자산총액은 159조원, 매출액은 84조원. 2004년 문을 열어 17년 만에 이룩한 성과다.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SNS) 제국이다. 세계 인구 3명 중 1명이 페이스북 산하 SNS 플랫폼을 사용한다. 월간 사용자 기준으로 페이스북은 27억 명, 왓츠앱 20억 명, 인스타그램 10억 명이다. 단순 계산으로 57억 명에 이른다.     하버드대 친구 찾기 프로그램이 페이스북의 원조라는 게 믿기 힘들 정도다.   성장 배경은 인수합병이다. 페이스북은 2012년 스타트업 수준이던 인스타그램을 1조1900억원에 샀다. 2014년에는 무료 문자·통화(VoIP) 서비스 왓츠앱을 26조원에 인수했다. 스마트폰 보급이 빠르게 늘며 페이스북 제국도 급성장했다.     동시에 수익 모델을 찾는 발걸음도 빨라졌다. 인스타그램에는 페이스북과 비슷한 광고 모델을 적용했다. 왓츠앱은 광고 도입이 무산되자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과 개인정보를 공유했다.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공익을 우선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말했으나 수금 본능을 감추진 못했다.   페이스북 제국은 최근 위기를 맞고 있다. 상품 기획 매니저로 일했던 내부고발자가 등장하면서다. 프랜시스 호건은 지난 5일 미국 상원 청문회 증인으로 나섰다. 앞서 일간 월스트리트 저널은 호건의 제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 파일이란 기사도 내놨다.   호건은 “(인스타그램은) 담배와 같다. 10대는 자기조절이 안 된다. 인스타그램을 하면 기분이 나쁘지만 이를 멈출 수 없다”고 증언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극단적인 감정과 분열을 만들어냈다”라고도 했다. 인스타그램이 청소년에게 유해할 수 있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숨겼다고 그는 증언했다.     그러자 마크 저커버그가 등판해 “(내부고발자)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발했다.   시총 1100조원 기업과 내부고발자 한 명의 싸움은 골리앗과 다윗에 비유된다. 페이스북 SNS 플랫폼 사용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했을 그 경험을 호건이 대신해 말하고 있다. 카카오·네이버 등 국내 IT 플랫폼 기업이 페이스북 파일을 통해 새겨야 하는 교훈도 적지 않다. 강기헌 / 한국 중앙일보 기자

2021.10.12. 18:5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