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라바웨이브, 딥페이크·몸캠 유포 감지 강화 — 실시간 자동분석으로 피해 확산 차단

라바웨이브는 자사 특허 기술 ‘라바스캐너’를 통해 딥페이크·불법촬영물 유포를 실시간 탐지·차단하고 있으며, 영상통화사기·몸캠피씽·라인해킹·카톡채팅사기 등 디지털 범죄에 대한 통합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범죄 대응 전문 기업 라바웨이브가 딥페이크 및 불법 촬영물 유포에 대한 탐지 역량을 크게 강화하고, 영상통화사기·몸캠피씽·라인해킹·카톡채팅사기 등 급증하는 사이버 피해 유형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라바웨이브는 자체 개발한 핵심 엔진 기술을 통해 연평균 5,000건 이상의 불법 콘텐츠에 대한기술지원 서비스를 하고 있다.   “최근 영상통화사기와 몸캠피씽(몸캠피싱) 사례가 복합적으로 증가하면서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금전적 피해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라바웨이브는 기술적 탐지·분석 역량과 법적·심리적 피해 구제까지 연결하는 원스톱 대응을 제공해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으며,   AI 기반 시스템을 통해 앞으로 이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내부 통계에 따르면 라바스캐너 도입 이후 다수의 유포 사례를 초기에 포착해 추가 확산을 막았으며, 유사 피해 재발생률이 낮아지는 성과를 확인했다. 라바웨이브는 앞으로도 탐지 정확도 향상과 처리 속도 개선을 위해 AI 모델 고도화와 파트너십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사이버보안 업계 관계자는 “영상통화사기와 몸캠피씽은 개인정보 유출과 신원 위조, 금전 갈취가 결합된 복합 범죄”라며 “기술적 탐지 능력과 피해자 지원을 결합한 서비스가 피해 감소에 큰 역할을 한다”라고 말했다.    정현식 기자자동분석 실시간 불법촬영물 유포 실시간 탐지 파트너십 강화

2025.10.30. 1:35

썸네일

“북한, 핵공격 감행시 정권 종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26일 백악관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 위협에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미 정상은 이날 오전 11시 15분부터 백악관에서 약 80분간 회담을 진행했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이어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NCG) 창설’을 골자로 하는 ‘워싱턴 선언’(Washington Declaration)을 발표했다. 대북 확장억제를 강화해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윤 대통령은 “한미 양국은 북한의 핵공격시 즉각적인 정상 간 협의를 갖기로 했으며, 미국의 핵무기를 포함해 동맹의 모든 전력을 사용한 신속하고, 압도적이며, 결정적인 대응을 취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을 구체화하기 위해 양국은 핵협의그룹(NCG)을 창설하기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도 “미국이나 동맹, 파트너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북한이 핵공격을 감행하면 정권의 종말을 초래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그는 ‘한반도에 핵무기를 재배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하면서도 “핵잠수함을 포함한 (전략자산의) 전개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상회담에서는 경제안보 이슈도 논의됐다. 양측은 별도 채택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한미 정상 공동성명’에서 반도체·전기차·배터리 등 첨단기술 분야 파트너십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고, 양국 국가안보실(NSC) 간 ‘차세대 신흥·핵심기술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공동성명은 “한미동맹의 다가올 70년은 지금까지 중 가장 찬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들의 관심이 쏠린 인플레이션감축법(IRA)·반도체법과 관련한 진전 사항은 없었으나,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의 투자 등에 대한 특별한 지원과 배려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기대감을 키웠다. 차세대 과학자와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매년 개최할 예정이며, 첫 회의는 올 하반기에 개최한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의 원칙 있는 일본과의 외교적 결단에 감사하다. 3자 파트너십 강화에 엄청난 영향”이라며 한일관계 개선에 의미를 부여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는 무고한 인명피해를 야기하는 무력사용은 정당화될 수 없다는 공동 입장을 확인했다. 김은별 기자북한 핵공격 윤석열 대통령 파트너십 강화 한미 정상

2023.04.26. 19:3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