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막을 내린 포뮬러 원(F1)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는 F1 대회 중 가장 비싼 티켓값을 자랑한다. 올해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일권 티켓 최고가는 약 3만 달러(2만8088달러)에 달한다. 일반 F1 대회 입장권(최저 469.68달러)과 비교하면 무려 60배 차이다. 수만 달러에 달하는 고가 티켓이 안내하는 자리는 F1 대회의 심장부인 ‘패독(Paddock) 클럽’이다. 10개 팀의 차고(거라지)와 VIP 호스피탈리티 시설이 위치한 이곳은 팀 관계자들과 VIP 관람객만 입장할 수 있다. 본지는 이번 대회 주관사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측의 초청으로 지난 20일 한인 언론 최초로 패독 클럽을 방문했다. 라스베이거스 패독 클럽은 총 3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4층 건물로, 단일 F1 패독 시설로는 최대 규모다. 최대 50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패독 클럽 입장권 소지자는 경기 관람은 물론 건물 내 최고급 식음료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모두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이번 대회에서도 트래비스 스캇, 밴 애플렉, 나오미 캠벨, 비욘세·제이지 부부, 신시아 에리보 등 할리우드 스타들이 이곳에서 F1을 즐겼다. 패독 클럽 1층에는 F1에 출전하는 10개 팀의 거라지가 일렬로 자리하고 있다. 입장객들은 차량 정비, 타이어 교체 준비, 전략 회의 등 F1 레이스가 만들어지는 현장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아울러 드라이버·감독과의 만남, 피트 레인 및 서킷 투어 등 일반 관중에게는 제공되지 않는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1층 한쪽에는 프리미엄 라운지 ‘고든 램지 앳 F1 거라지’가 있다. 세계적인 셰프 고든 램지가 직접 운영하는 라운지로, 이번 대회 최고가 티켓이 적용된다. 대회 기간 램지가 직접 상주하며, 서킷 1번 코너를 가장 가까이서 볼 수 있다. 비프 웰링턴 등 시그니처 메뉴와 최고급 주류가 제공된다. 패독 클럽은 방문객의 오감을 모두 만족시키는 스포츠 호스피탈리티의 ‘초호화 끝판왕’으로 불린다. 입구에서는 F1 공식 파트너사인 모에샹동(Moet & Chandon)의 고급 샴페인이 제공된다. 그랑프리 기간 내내 입구에서 샴페인 바를 운영한다. 팰런 포터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우승 드라이버가 포디움 세리머니에서 사용하는 샴페인이 바로 모에샹동”이라며 “패독 클럽 입장객 누구나 동일한 샴페인을 즐길 수 있다”고 했다. 입구 한쪽에는 패독 클럽 전용 유니폼 스토어도 있다. ‘Paddock Club’ 로고가 새겨진 의류와 디즈니-F1 협업 제품이 진열돼 있다. 협업 의류 디자인 총괄은 한인 디자이너 바비 김 디즈니 소비재 부문 크리에이티브 상무다. 그는 “디즈니와 F1의 공통점을 최대한 살리고자 했다”며 “각각 미디어와 스포츠 업계를 선도하는 브랜드로서 끊임없이 진보하는 이미지를 디자인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2층에는 고급 호텔을 연상시키는 라운지가 자리한다. 라스베이거스 윈(Wynn) 호텔이 운영하는 ‘윈 그리드 클럽’이다. 포터 매니저는 “올해 개보수를 거쳐 패독 클럽 내 가장 고급스러운 라운지로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순백 톤 인테리어 속에서 전용 서버가 상주하는 풀 서비스 다이닝이 제공되며, 360도 전망을 갖춰 여러 방향의 코스를 동시에 조망할 수 있다. 루프탑 4층은 패독 클럽에서 가장 역동적인 공간이다. 포터 매니저는 “루프탑은 F1 경기와 라스베이거스 고유의 분위기를 모두 담아낸 공간”이라며 “하이네켄 생맥주 바, 스시 오마카세 바 등이 마련돼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F1 차량 시뮬레이터도 있어 레이스 전부터 충분한 몰입감을 즐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라스베이거스 패독 클럽의 공식 명칭은 ‘그랑프리 플라자’다. 2017년 만달레이 베이 총격 사건의 범인 스티븐 패독 과 철자가 같다는 이유에서 ‘그랑프리 플라자’라는 명칭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다만, 다른 F1 대회에서는 대부분 ‘패독 클럽’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라스베이거스 패독 클럽은 영구 건축물로 설계됐다. 벤자민 라비 그랑프리 플라자 총괄 매니저는 “대회 기간이 아닐 때는 F1 카트·시뮬레이터 체험, 박물관, 공식 스토어를 운영한다”며 “F1 문화를 연중 소개하고 지역사회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고 밝혔다. ━ ☞패독 클럽은 비(非) 레이스 기간에는 일반에 무료로 개방된다. F1 카트 체험, F1 시뮬레이터, F1 박물관, 공식 스토어 등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이중 일부는 유료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과 1마일 이내인 코발 레인(4400 Koval Ln) 길에 있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grandprixplaz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사진 = 김경준 기자포뮬러 원 F1 F1 그랑프리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라스베이거스 패독 클럽 고든 램지 최고가 F1 막스 베르스타펜 랜도 노리스 조지 러셀 미주중앙일보 김경준 기자
2025.11.24. 21:17
일반적인 자동차 차고를 떠올린다면 오산이다. 포뮬러 원(F1)팀의 ‘거라지(garage)’는 움직이는 연구실이다. ‘2025 F1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가 열린 지난 20일, VIP들과 F1팀 관계자들이 모이는 패독(Paddock) 클럽 1층. 피트 레인과 맞닿은 이 공간은 경기 중 3~4초 이내로 타이어를 교체하는 피트 스톱 현장이자, 팀의 모든 기술과 전략이 집약된 곳이다.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인은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다. 출입은 철저히 통제되고, 사진·영상 촬영도 금지되는 구역이다. 본지는 한인 언론 단독으로 이번 대회에 나서는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팀의 거라지를 취재했다. 차고 중앙, 지난해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우승자인 조지 러셀과 올해 19세 나이로 F1에 데뷔한 신예 키미 안토넬리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었다. 두 차량은 모두 엔진과 차체를 제외한 섀시 대부분이 분해된 상태였다. 첫 연습 직후 정밀한 주행 리뷰를 위해 F1의 엔지니어들은 섀시를 분해한다. 팀 가이드는 “주행 리뷰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라고 설명했다. 엔지니어 4명이 차체의 모든 면을 면밀히 점검하는 사이, 다른 3명은 안토넬리의 주행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되감아가며 분석하고 있었다. 화면을 느리게 돌리기도 하고, 차체 데이터를 대조하며 디테일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는 모습에서 프로들의 치밀함이 엿보인다. 가이드는 “2시간 레이스 후 리뷰에만 6시간을 쓴다”며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해 다음 전략을 세운다”고 말했다. 거라지는 여러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그중 출입이 허용된 창고로 향했다. 내부에는 숫자와 코드가 적힌 은색 철제 상자가 층층이 쌓여 있었다. 각종 예비 부품과 온갖 공구들도 눈에 띈다. 경기 중 차량 손상이 발생하면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프런트 윙 4개도 준비돼 있었다. 창고 한켠에는 검은색 대형 가방이 수십 개 놓여 있다. 손을 대자 따뜻함이 느껴진다. 이는 타이어를 예열하는 ‘타이어 워머 백’이다. F1 타이어는 화씨 212도에서 최대 접지력을 낸다. 국제자동차연맹(FIA) 규정상 주행 2시간 전부터 워머 백에서 최대 화씨 158도까지 예열이 허용된다. 메르세데스는 매 경기 FIA 규정에 따라 타이어 160개(40세트)를 준비한다. 타이어와 워머로 이뤄진 1개 세트 비용은 약 5000달러에 달한다. 한 대회를 치르는데 타이어만 8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 셈이다. F1 공식 타이어 공급사는 피렐리다. 모든 팀이 동일한 타이어를 지급받는다. 가이드는 “타이어는 같아도 교체 전략은 팀마다 다르다”며 “타이어 종류마다 수명이 달라 교체 타이밍이 생명”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빠른 속도를 내게 하는 소프트 타이어 평균 수명은 18바퀴”라고 설명했다. 이 모든 장비는 매 시즌 전 세계 그랑프리 개최지로 선정되는 24개 도시로 이동한다. 가이드 설명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는 F1 차량 3대(2대, 예비 1대)를 포함해 약 100톤 규모의 물량을 매 경기마다 운송한다. 60%는 해상, 40%는 항공으로 이동한다. DHL이 F1 공식 물류 파트너로 F1 팀들의 운송을 책임진다. 단, 유럽 내에서 열리는 그랑프리는 전부 지상 운송으로 이뤄진다. 현재 10개 팀 모두 유럽에 본부, 기술센터 등 주요 시설이 있기 때문이다. 페라리(이탈리아)를 제외한 팀들이 영국에 거점을 두고 있다. F1팀은 모든 운송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드물지만 지연이나 분실 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 경우 현지 부품업체와 협력 제조사를 통해 기계적으로 호환되는 대체 부품을 확보한다. 완전히 동일한 부품이 아니더라도 FIA 규정과 성능 기준을 충족하면 임시 사용도 가능하다. F1은 기술이 달리는 스포츠로 불린다. 메르세데스팀 거라지는 이러한 사실을 강렬하게 보여줬다. 단순한 정비 공간이 아니다. 승부의 시작점이자, 팀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과학과 기술이 모두 집약돼 있는 프로들의 연구소다. 글·사진 = 김경준 기자포뮬러 원 F1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F1 그랑프리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개러지 투어 F1 개러지 조지 러셀 키미 안토넬리 토토 울프 미주중앙일보 김경준 기자 라스베이거스 패독 클럽
2025.11.2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