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에서 한인 셰프 두 명과 한인 운영 업체 두 곳이 주요 부문을 수상했다. 지난 16일 시카고의 리릭 오페라에서 열린 올해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시상식에서 뉴욕 정식당의 임정식 셰프가 올해 최고의 셰프로 선정됐다. 정식당은 서울에 본점을 두고 있는 파인 다이닝 한식당이다. 2012년 뉴욕에 진출한 이후 지난해 한식당 최초로 미슐랭 3스타를 획득하며 주목받았다. 한인이 최고의 셰프로 선정된 것은 2013년 데이비드 장 셰프의 공동 수상 이후 사상 두번째다. 이규림 셰프와 진 콜드웰 셰프가 운영하는 오리건 포틀랜드의 진주 파티세리는 최고의 베이커리 부문에서 상을 받았다. 두 한인 셰프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쇼콜라티에와 페이스트리 셰프로 이름을 날리다 2019년 포틀랜드에 매장을 열었다. 지난해에도 최고의 베이커리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뉴욕의 파인 다이닝 한식당 아토믹스는 최고의 서비스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박정현·박정은 부부가 운영하는 아토믹스는 고급스럽고 정제된 서비스와 한식의 섬세한 맛을 조화시킨 운영 방식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슐랭 2스타에도 선정된 바 있다. 지역별 부문에서는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의 기프트 호스를 이끄는 김하늘 셰프가 북동부 최고의 셰프로 선정됐다. 충북 아산 출신의 김 셰프는 지난해에도 최고의 신인 셰프 후보에 오르기도 하는 등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다. 지난 4월 발표된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렸던 수잔 배 셰프와 크리스 정 셰프는 수상이 불발됐다. 워싱턴DC의 베이커리 ‘문 래빗’을 운영하는 배 셰프는 최고의 페이스트리 셰프 최종 후보에, 시카고에서 ‘맥스웰스 트레이딩’을 운영하는 정 셰프는 일리노이를 포함한 오대호 지역 최고 셰프 최종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는 국내 외식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상으로, 올해 35주년을 맞았다. 시상은 식당, 셰프 외에도 바, 음료 프로그램, 페이스트리, 베이커리, 외식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진다. 조원희 기자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발표 아카데미 외식업계 한인 셰프 페이스트리 셰프 콜드웰 셰프
2025.06.18. 0:55
뉴욕시 최고의 레스토랑 중 하나인 '더 모던(The Modern)'의 한인 여성 김시아 페이스트리 셰프가 뛰어난 요리 솜씨와 창조적인 디자인, 한국 음식에 뿌리를 둔 깊은 맛으로 요식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맨해튼 '더 모던' 레스토랑은 최고 수준의 미국 요리와 프랑스 요리로 미슐랭 투 스타 음식점의 맛과 함께 고객들이 식사를 하면서 창밖으로 보이는 뛰어난 경관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김 셰프는 맨해튼 요리학교 CIA에서 페이스트리를 전공할 때부터 이미 뛰어난 디자인의 마카롱을 만들어 완판은 물론 장학금을 받는 등 일찌감치 재능을 드러냈다. 이후 김 셰프는 '더 모던' 페이스트리 팀에 합류하면서 ▶메인 디저트 ▶각종 아이스크림 ▶커피 아이스크림을 이용한 티라미수 디저트(2023 미슐랭 가이드 베스트3 디저트 선정) 등을 선보여 고객들은 물론 전문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특히 김 셰프는 지난해 구글과 티쉬 등 유명 기업들이 참가한 행사에서 케이크를 만들었는데 버터 크림만을 사용한 새하얗고 심플하고 단순한 디자인의 케이크를 선보여 갈채를 받았다. 김 셰프는 "플라워 케이크를 만들면서 다양한 꽃잎들을 짰던 경험을 되살려 여러 장의 잎사귀들을 하나하나 짜서 얼렸다"며 "그리고 그것을 떼어 케이크 위에 조립해 월계관 모양의 디자인을 완성했는데 고객의 큰 만족을 끌어낸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 김 셰프는 이러한 독창적인 스타일의 페이스트리를 만들면서 한국 음식의 조리법에서 영감을 얻고 응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모던 다이닝 룸의 프리 디저트(찹쌀 원료) ▶흑임자 미소 아이스크림 등이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요식업계 한인 셰프 뉴욕 페이스트리 셰프 한인 여성
2024.05.03. 22:29
프랑스 요리의 예술성에 한국적 감성을 담은 한인 페이스트리(pastry) 셰프들이 주목받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5일 ‘페이스트리의 예술을 재정의하는 한인 셰프들’이라는 제목의 기획 기사를 보도했다. 이 매체는 디저트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것은 프랑스에서 받은 요리 교육과 한국적 배경이 반영돼 있다며 샌프란시스코, 뉴욕 등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인 한인 셰프들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가 꼽은 한인 셰프들은 김나래(파리), 에리카 에이브(샌프란시스코), 이은지(뉴욕), 기보미(런던), 손연화(서울) 등이다. 먼저 이은지 셰프는 뉴욕의 한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인 ‘정식’을 거쳐 베이커리 부티크 ‘리제(Lysee)’에서 일하고 있다. 이 셰프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10대 시절 TV를 통해 ‘파티셰’를 알게 됐다”며 “그때부터 세계 최고의 파티셰가 되기 위해 부모님을 설득해 10년 계획을 세워 프랑스 유학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 셰프는 프랑스 국제 제과 학교인 INBP에서 제빵을 배우고, 에콜 페랑디에서 제과를 공부했다. 에리카 에이브 셰프의 경우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유명 레스토랑인 베누(Benu)에서 첫 아시아계 페이스트리 셰프로 활동 중이다. 어린 시절 서울에서 가족과 함께 페이스트리를 즐겼던 기억이 요리로 이어지고 있다. 에이브는 “어린 시절 서울에서 교회 예배가 끝나면 어머니, 오빠와 함께 근처 파리바게트에 가서 빵을 고르는 일은 일종의 의식 같은 행위였다”며 “페이스트리를 좋아하게 된 건 그때 기억이 바탕이 됐다”고 말했다. 런던에서 ‘솔잎(Sollip)’을 운영하는 파티셰 기보미 셰프도 있다. 솔잎은 지난해 미슐랭 가이드에서 별 1개를 받기도 했다. 르 코르동 블뢰 런던 캠퍼스에서 제과를 배운 뒤 한국의 맛을 접목한 메뉴로 주목을 받고 있다. 기 셰프는 “프랑스 음식을 기반으로 음식을 만들지만 나는 한국인”이라며 “어린 시절 엄마에게 배운 요리와 한식의 기억은 내 마음속에 남아있고 이는 자연스레 솔잎 메뉴에 녹아있다”고 전했다. 김나래 셰프는 파리의 파크 하얏트 호텔에서 페이스트리 셰프로 일하고 있다. 김 셰프는 최근 한국 당진의 배와 유기농인 증류주를 만들 때 사용하는 윌리엄스 배를 결합한 디저트 등을 선보였다. 김 셰프는 “한국적인 감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아도 그 정서가 자연스럽게 요리에 묻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손연화 셰프는 뉴욕 정식당에서 몸담고 있다가 최근 서울에서 ‘파티세리 아모니’를 오픈했다. 이 식당은 유럽식 페이스트리에 한국적 식재료를 접목해 디저트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손 셰프는 “아모니는 프랑스 억양의 ‘하모니’의 발음기호 철자를 변형한 것”이라며 “한국적인 식재료와 유럽, 미국의 디저트가 조화를 이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NYT 한인 셰프들 페이스트리 셰프 한인 페이스트리
2023.05.05.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