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주택 5채 중 1채가 투자자 소유라는 새로운 데이터가 공개됐다.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인 배치데이터가 지난 24일 공개한 7월 기준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의 전체 주택 가운데 투자자 소유 비율은 19%로 나타났다고 오렌지카운티 레지스터가 보도했다. 이는 전국 평균이 20%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이다. 가주 주택의 투자자 비율은 전국 36위다. 전국 평균보다 낮지만 이번 수치는 가주의 주택 부족이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 중 하나를 드러냈다. 가주 주택 가격은 전국에서 가장 비싼 상태로 지난 6년간 50%나 올랐다. 투자자 비율은 산악 지역에서 특히 높아 시에라 카운티의 경우 전체 주택의 83%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시에라와 트리니티, 모노, 알파인, 플루머스, 모독, 칼라베라스 등 7개 카운티에서는 투자자 소유 주택 비율이 50%를 넘었다. 해안가인 벤투라 카운티는 투자자 비중이 14%에 불과했다. 반면 도시 지역의 투자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LA 카운티는 15%에 그쳤으며 오렌지.샌디에이고.샌프란시스코 카운티는 16%였다. 가주는 투자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투자자 소유 주택 수는 145만 채로 전국 2위였다. 1위는 텍사스로 166만 채였으며 플로리다는 121만 채로 3위에 올랐다. 전국적으로는 관광객이 많은 지역이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하와이는 40%, 알래스카는 35%나 됐다. 아칸소는 30%, 웨스트버지니아는 30%로 나타나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도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투자자 중 15채를 보유한 소규모 투자자가 전체의 85%였으며 610채 보유자는 5%로 나타나 소형 투자자가 전체 투자자 소유 주택의 약 90%를 차지했다. 올해 1분기 전국의 주거용 부동산 거래에서 투자자 소유 주택 비중은 26.8%로 7월보다 높았으며 지난 5년 중 가장 높았다. 배치데이터는 이런 결과가 나온 원인이 투자자 활동이 증가한 것보다는 높은 주택 가격과 2022년 이후 두 배로 오른 모기지 금리가 일반 주택 구매자를 시장에서 밀어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투자자의 역할에 대해 "실구매자가 시장에서 밀려나면서 투자자들이 특정 지역과 분야에서 필수적인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진보 성향의 독립적인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소의 오마르 오캄포 연구원은 투자자들은 규모와 상관없이 최대한의 수익을 노린다며 "투자자들은 막대한 현금을 부동산 시장에 투입해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집값을 끌어올린다"고 지적했다. '주택 시장에서 억만장자 역효과'의 공동 저자이기도 한 오캄포 연구원은 주택 부족 문제는 단순히 새 주택을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규 주택의 20%를 기관 투자자가 매입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안유회 객원기자투자자 평균치 투자자 소유 투자자 비율 소규모 투자자
2025.07.30. 17:42
LA의 쇼핑몰이 고급화 전략에 힘입어 전국 평균보다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매체 리얼딜은 18일 LA지역 쇼핑몰의 스퀘어피트당 매출이 평균 800달러 정도였다고 부동산 분석 업체인 그린스트리트의 최근 통계 자료를 인용, 보도했다. 이는 전국 평균 600달러보다 200달러(33%) 더 많은 것이다. LA의 쇼핑몰들은 입점률(occupancy rate)도 전국을 앞섰다. LA 쇼핑몰의 90%에 상점이 입점하고 있는 반면 전국 쇼핑몰의 경우엔 이보다 4%포인트 낮은 86%였다. 리얼딜은 최근 경제 여건 악화에 따라 간판 상점 역할을 하는 앵커스토어와 쇼핑몰의 유동인구가 감소했음에도 LA지역 쇼핑몰 매출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것은 고급화 전략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고급화 전략 덕에 동일 점포 매출 역시 타지역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린스트리트는 이에 대해 “LA 지역 경쟁력이 타지역보다 우수하고 럭셔리 업체들은 쇼핑몰 한 곳으로 몰리는 경향도 LA지역 쇼핑몰 매출이 타지역보다 높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다만 고급화를 지향하는 쇼핑몰들이 늘어나면서 럭셔리 브랜드를 유치하지 못하거나 고급화에 필요한 자금 조달이 힘든 일부 쇼핑몰들은 경쟁에서 낙오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린스트리트는 LA지역 쇼핑몰 30개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매겼는데, 이 중 3분의 2가량인 20곳은 우수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B- 또는 그 이하의 등급을 받은 쇼핑몰도 7곳이나 됐다. 그린스트리트의 에밀리 아프트 애널리스트는 “LA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쇼핑몰들은 10년 안에 사라지게 될 위험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시설 개보수 및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최근 이자율이 치솟으면서 대출 부담이 늘고 상업용 건물 가치도 크게 내리면서 돌파구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례로 글렌데일 아메리카나앳브랜드 운영사 측은 지난 7월 5년간 4억5000만 달러를 7.1% 이자율에 대출을 받았다, 반면 최근 이 쇼핑몰 평가 가치는 8억7000만 달러로 거의 대출 비중이 절반에 가까웠다. 또 지난달 웨스트필드 센추리 시티 역시 9억2500만 달러 재융자를 받았다. 부동산 자문회사 뉴마크는 지난 5월 이 쇼핑몰의 감정가를 19억4000만 달러라고 밝힌 바 있다. 신용 평가업체 KBRA는 13억5000만 달러로 감정하기도 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쇼핑몰 평균치 la지역 쇼핑몰 스퀘어피트당 매출 일부 쇼핑몰들
2023.09.19. 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