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국적기 차별화 경쟁 치열… 기내 서비스 비교

[한국 관광 2.0 시대] 1. 모국 관광 패키지 여행 2. 항공권 구입과 예약 전략 3. 국적기 기내 서비스 비교 4. 건강 검진·미용·의료 트렌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국적기 3사가 미주 노선을 중심으로 기내서비스 경쟁력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항공 수요 회복과 함께 장거리 노선에서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각 항공사는 고급 기내식과 좌석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품질 향상으로 차별화에 집중하고 있다.     ▶대한항공 ‘프리미엄 강화’     대한항공은 지난 6월 기내서비스를 최고급으로 업그레이드했다.     가장 주목할 변화는 기내식 부문. 최근 ‘기내 파인 다이닝’을 도입하며 전 클래스 기내식을 고급화했다. 김세경 셰프와 협업한 파인 다이닝 스타일의 기내식은 일등석과 프레스티지석뿐 아니라 이코노미석까지 고급 한식 메뉴로 다양화됐다.     한식 대표 메뉴는 비빔밥, 곤드레밥, 도토리묵밥. 일등석 승객에게는 짬뽕, 자장면, 육포, 쿠키 등 다양한 스낵을 제공한다. 항공권 예약 후 출발 24시간 전 유아식, 당뇨식, 채식 등 특별식도 신청할 수 있다. 세계 최고 소믈리에 마크 알머트가 선별한 와인과 샴페인은 새로운 미각 경험을 선사한다.     상위클래스 승객을 위한 침대형 좌석 전환,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프레떼 누빔 매트리스 도입, 슬리퍼와 편의복 제공 등 장거리 노선 승객을 위한 베딩 서비스도 개선했다. 또한 영국 럭서리 브랜드 ‘그라프(GRAFF)’와 협업한 어메니티 키트를 제공해 소장가치 있는 편의 용품을 선사한다.     엔터테인먼트는 매달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달 영화 콘텐츠는 ‘마리아’, ‘아는 형님’, ‘협상의 기술’, ‘위키드’, ‘미키17’ 등이다.     ▶아시아나 ‘웰빙 기내식’ 호평     아시아나항공도 프리미엄 기내식과 좌석 업그레이드에 나섰다. ‘웰빙 기내식’이라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선보인 ‘영양쌈밥’은 국제케이터링협회에서 머큐리상을 받는 등 품질을 인정받았다. 수비드 방식의 육류 조리와 동물복지 인증 달걀 메뉴 등도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프리미엄 클래스인 비즈니스 스위트와 스마티움 좌석은 180도 풀플랫 좌석과 지그재그 배열, 전용 콘센트와 USB 포트 등이 갖춰져 장거리 출장객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최신 영화·K팝·스포츠 등 200여 편의 콘텐츠도 터치스크린으로 즐길 수 있으며, 콘텐츠는 2개월마다 업데이트된다.    기재 면에서도 최신형 A350은 이코노미석을 동급 타 기종 대비 좌석 폭을 여유롭게 두어 18인치 3-3-3 배열로 배치해 안락함을 높였다. 유료이지만 기내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뉴욕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10월에는 LA 노선에도 투입된다.     특히 LA·뉴욕 노선에 투입된 초대형 항공기 A380은 비즈니스 스위트 12석, 비즈니스 스마티움 66석으로 구성돼 장거리 비즈니스 여행객들의 선호도가 높다.   ▶에어프레미아 '60분 채팅' 무료   합리적인 가격에 대형항공사(FSC)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장거리 노선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와이드 프리미엄 클래스’와 ‘이코노미 클래스’의 두 좌석 등급을 운영한다. 좌석 간 간격은 최대 46인치(프리미엄), 35인치(이코노미)로 여유롭다.     기내식 대표 메뉴는 떡갈비, 소고기 비빔밥, 춘천 닭갈비 등 한식과 크림파스타, 로메인 샐러드다. 디저트는 와이드 프리미엄 클래스에 홈메이드 베이커리, 이코노미 클래스에는 푸딩, 휘낭시에 등이 제공된다. 라면, 주류, 하이볼 등 유료 간식도 가능하다.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최대 13인치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3개월마다 콘텐츠를 업데이트한다. 전 좌석에 전원 어댑터가 설치돼 전자기기 사용도 편리하다.   일부 항공기에서는 기내 와이파이도 지원된다. 모든 승객에게 ‘1시간 채팅’ 서비스를 무료 제공하며 다양한 요금제로 인터넷 사용도 가능하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한국 관광 2.0 시대 서비스 차별화 기내서비스 경쟁력 프리미엄 서비스 좌석 서비스 항공 국적기 기내 서비스 대한항공 아시아나 에어프레미아

2025.07.08. 22:27

썸네일

프리미엄 이코노미 명칭 변경…에어프레미아 내달부터 적용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가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의 명칭을 ‘와이드 프리미엄’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새 명칭은 오는 7월 1일부터 항공권 예매 사이트, 공항 카운터, 기내, 탑승권 등 고객 접점 전반에 걸쳐 공식 적용된다.   에어프레미아는 “더 넓고 쾌적한 프리미엄 이코노미라는 자사 서비스의 차별성과 강점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브랜드명을 ‘와이드 프리미엄’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와이드 프리미엄 클래스는 ▶42~46인치 좌석 공간 ▶13인치 HD 터치스크린과 엔터테인먼트 옵션 ▶전용 체크인 카운터와 우선 탑승 ▶무료 식사 및 음료(와인 2종 포함) ▶32kg 무료 위탁수하물 ▶어메니티 키트 제공(장거리 노선) 등 강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클래스는 기존 이코노미보다 업그레이드된 독립된 좌석 구성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이 대상이다. 출범 초기에는 ‘프레미아42’라는 자체 브랜드명을 사용했으며 이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프리미엄 이코노미’로 운영해왔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이번 명칭 변경은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의 본질적 가치를 명확히 전달하고 고객이 서비스 선택 시 기준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합리적인 가격에 진정한 프리미엄 경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프리미엄 이코노미 프리미엄 이코노미 프리미엄 서비스 와이드 프리미엄

2025.06.23. 19:46

썸네일

코리니, 불가리코리아와 업무협약

뉴욕 부동산 플랫폼 코리니(Koriny · 대표 문태영)가 하이엔드 주얼리&워치 브랜드인 불가리코리아와 뉴욕 부동산 컨설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VIP 고객층 요구 충족과 자산 가치 증대라는 공동 목표 하에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상호 고객을 위한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 강화 ▶프리미엄 서비스 확대 ▶프로모션 및 이벤트 고객 참여 확대 등 다양한 프로모션 및 서비스 운영 관리 방안을 구상하고, 고객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코리니는 “하이 주얼리와 뉴욕 부동산은 공통적으로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높은 자산 가치’의 상품으로 전 세계 어디서나 통용되고 증여와 상속이 가능하다”며 “장기간 보유 시 오히려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고액 자산가 즉, 흔히 말하는 ‘수퍼리치’ 사이에서는 일찍이 투자 가치가 있는 상품으로 자리잡았다”고 설명했다.   문태영 코리니 대표는 “올해 뉴욕 맨해튼 임대료는 40% 급등했고 지금도 연속 상승 중이다. 뉴욕은 전 세계에서 가장 탄탄한 임대 수요를 가지고 있으며, 안정성과 수익성을 겸비하고 있어 한국 자산가들도 투자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시장”이라며 “불가리코리아와의 협업을 통해 고객 자산 가치 증대와 프리미엄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코리니는 한국인을 위한 최초의 뉴욕 부동산 플랫폼으로 뉴욕 맨해튼 월드트레이드센터(World Trade Center) 본사 및 서울 여의도에 지사를 둔 프롭테크 (PropTech · 부동산에 IT기술을 접목한 온라인 서비스) 기업이다. 코리니는 비대면으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부동산 분야별로 전문화된 컨설팅 서비스, 시장분석, 매물 추천, 구입 및 매각 등 올인원 프리미엄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코리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s://www.koriny.com/)를 통해 확인 가능.   한편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로 잘 알려진 ‘불가리(Bulgari)’는 고급 보석 및 시계·악세서리·향수·호텔 사업 등을 전개하는 하이 브랜드 회사로 시대를 초월하는 과감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고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불가리코리아 업무협약 프리미엄 서비스 뉴욕 부동산 이번 업무협약

2022.09.06. 20:4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