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뉴욕시 아시안 76%, 물가인상에 필수 생활비 줄여

뉴욕시 물가가 날이 갈수록 치솟는 가운데, 아시안 4명 중 3명은 물가 인상으로 인해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컬럼비아대와 지역 비영리단체 로빈후드 연구 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시안 뉴요커 76%는 물가 인상을 감당하기 어려워 식료품과 유틸리티 비용, 교통비 등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필수 생활비를 줄인 비율은 히스패닉이 87%로 가장 높았고, 흑인이 77%로 아시안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백인(65%)이 가장 낮았다.     뉴욕시 전체적으로는 시민의 76%가 생활 필수비를 줄였으며, 61%는 여러 항목에서 지출을 동시에 조정했다. 56%가 식료품 비용을 줄였으며 ▶53%는 저축 ▶49%는 교통비 ▶49%는 유틸리티 비용을 줄였다고 응답했다.     보로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한인밀집지역인 퀸즈에서는 77%가 물가 상승 영향으로 필수 생활비를 줄였고, ▶브롱스 81% ▶브루클린 75% ▶스태튼아일랜드 71% ▶맨해튼 69% 등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중·장년층이 물가 상승의 영향을 가장 크게 체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35~64세 뉴요커 81%와 18~34세 78%가 필수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노년층의 필수 생활비 조정 비율은 64%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여성 뉴요커 80%가 생활비를 줄인 반면,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를 조정한 남성 뉴요커는 71%였다.     또 해외출생 이민자들이 물가 상승의 타격을 더 크게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출생 이민자 80%가 필수 생활비를 줄인 반면 미국 출생 뉴요커 72%가 생활비를 조정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81%가 필수 생활비를 줄였으며, 자녀가 없는 가정의 경우 그 비율이 73%였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데이터는 물가 상승이 모든 계층의 뉴욕 시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식량과 주거, 유틸리티 및 의류 비용이 소득증가율과 물가상승률을 크게 앞지르고 있으며, 보충적 빈곤 지표(SPM·소득만 보는 '연방빈곤선(FPL)'과 달리 지역별 생활비와 세금, 의료비 및 공적 지원 등을 반영한 지표) 기준 빈곤선의 200% 이상 소득을 올리는 가구 중에서도 70%가 필수 생활비와 저축을 줄이는 등 뉴욕시의 생활비 부담 위기는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물가인상 생활비 지역별 생활비 필수 생활비 생활비 부담

2025.09.15. 19:57

가주 4인가족 생활비 연 14만불 필요

가주에서 4인 가족이 생활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14만 달러 가까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스마트에셋의 연구에 따르면 4인 가족이 주택, 육아, 교통, 의료, 세금, 보험 등의 기본 생활 비용을 충당하려면 맞벌이 가족 기준 전국 평균 연간 10만6903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 오락, 여행 등의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4인 가족 생활비가 가장 높은 주는 매사추세츠주로 맞벌이 가구인 경우 연간 15만578달러가 필요했다. 그다음으로 높은 순위는 하와이(14만7319달러), 코네티컷(13만9924달러), 뉴욕(13만9504달러)이다.     5위 캘리포니아는 13만8357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돼 전국 평균보다 29.4% 높았다. 연간 필수 지출이 가장 적은 주는 미시시피로 8만8895달러였다.     주별 비용 차이는 주로 주택비용과 세금 때문으로 거주 지역에 따라 최대 3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특히, LA나 뉴욕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생활비가 더 높을 수 있으며 자녀 수, 맞벌이 여부에 따라서도 필수 생활비가 달라진다.     다만, 국내 가계의 중간 소득은 평균 7만8171달러에 불과하다. 4인 가정 기준으로 보면 매사추세츠와 캘리포니아의 중간 소득은 각각  10만9900달러로 캘리포니아에서 필요한 소득(13만8357달러)보다 약 20% 부족하다.     이러한 생활비 부담 증가로 인해 많은 가구가 육아 서비스 이용을 포기하고 직접 양육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022년 센서스국 조사에서 61%의 부모가 자녀를 보육시설이나 홈케어 등 외부 육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육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특히, 연 소득 5만 달러 미만의 저소득 가정의 경우 67%가 육아 서비스 이용을 어려워한다고 밝혔다.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집, 유치원, 방과 후 돌봄 이용도 증가했지만, 5명 중 1명의 부모는 가족이나 친척의 도움 없이는 육아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생활비 가족 가족 생활비 필수 생활비 생활비 부담

2024.07.22. 19:3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