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주 의회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 등 이민당국 요원이 학교에 나타날 경우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에게 바로 알리는 법안이 통과됐다. 법안은 개빈 뉴섬 지사가 10월 12일까지 서명하면 바로 발효된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2일 캘리포니아 상원 사샤 페레즈(민주, 25지구) 의원이 발의한 ‘교육현장 안전통보 법안(SB 98)’이 통과됐다. 이 법안은 불법체류자 등을 단속하는 연방 기관 요원이 공립학교에 나타나면, 해당 학교는 곧바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에게 관련 사실을 알리는 내용을 담았다. 법안이 시행되면 K-12 공립학교, 커뮤니티 칼리지, 칼스테이트 계열, UC 계열은 교내 이민기관 요원의 단속활동 알림 시스템 등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한다. 법안은 뉴섬 지사 서명 시 곧바로 발효되고 2031년까지 유효하다. 이번 법안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불법체류자 단속에 대응하려는 조처다. 주 의회와 정부 차원에서 이민자 학생과 가족, 교직원 보호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법안을 발의한 페레즈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가을학기가 시작돼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오는 시기에 이 법안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면서 “단속 요원들이 학교에서 나타나 사람들을 잡아간 뒤 추방하고 있다. 법안이 시행되면 이민자 학생과 가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캘리포니아주 의회는 이민기관 요원이 법원의 영장 없이는 학교나 병원 비공개 구역(nonpublic areas)에 출입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SB 48)도 심의하고 있다. 이 법안 통과 시 단속 요원은 영장을 제출해야 학교와 병원 비공개 지역까지 출입할 수 있다. AP 통신은 해당 법안 심의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 지지자 측에서는 법안을 반대하고 있다. 리알토 주민 호라티오 곤잘레즈는 abc7 인터뷰에서 “ICE가 학교 주변에 나타났다는 내용을 학부모에게 알리는 행위 자체가 법 집행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학생 52만여 명의 교육을 책임진 LA통합교육구(LAUSD)도 2025~2026학년도 개학을 맞아 이민가정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알베르토 카르발로 교육감은 지난달 11일 캐런 배스 LA시장과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안전통행구역 확대, 학생보호 전담대응팀 구성 등을 발표했다.〈본지 8월 13일자 A-3면〉 특히 LAUSD 측은 국토안보부(DHS) 등에 학교 주변 불법체류자 단속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밖에 LAUSD 측은 법원 영장이 있을 때만 단속 요원의 학교 시설 출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학부모 학교 ice 학교 공립학교 커뮤니티 학생 학부모
2025.09.03. 20:36
대학 캠퍼스에 다시 활력이 돌고 있다. 다음주 개강을 앞둔 USC에서는 21일(오늘)까지 ‘무브인(move in· 기숙사 입주)’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학기 친팔레스타인 시위라는 폭풍이 한차례 휘몰아친 뒤, 캠퍼스가 활기를 되찾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은 저마다 새 학기, 첫 학교 생활에 대한 설렘을 갖고 학교를 찾았다. 20일 오전 9시 30분, USC 기숙사가 모여있는 USC 빌리지 앞이다. 수십 대의 차량이 빌리지 앞에 늘어섰다. 행렬 맨 앞에는 기숙사 입주 안내 부스가 있다. 학생들이 부스에서 자신의 기숙사를 확인하고 나면 학부모들이 곧장 차에서 짐을 내려 카트에 싣기 바쁘다. 카트를 보면 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매트리스 토퍼, 전신 거울, 간이 옷장 등 각자 취향이 담긴 다양한 짐이 실려있다. 안내 부스에서 분주한 건 학생과 학부모만이 아니다. 교직원 역시 바빴다. 줄리아 에스피노자 USC 시설 관리 매니저는 “약 2400명의 학생이 4일의 무브인 기간 동안 기숙사에 입주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직원들과 학생 봉사자들이 최선을 다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이 통제를 잘 따라줘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피노자는 이날 학생 봉사자들을 숨은 공신으로 꼽았다. 그들은 입주하는 학생, 학부모, 교직원보다 분주했다. 기숙사 안내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를 대신해 짐이 실린 카트를 기숙사로 옮기는 일까지 담당한다. 기온을 보니 90도에 육박하고 있다. 봉사자들은 지칠 법도 하지만, 묵묵히 맡은 바에 최선을 다했다. 올해 3학년이 되는 브랜다 알바레즈는 이날 부스에서 학생들의 기숙사 위치 안내를 맡았다. 1학년 때부터 매해 무브인 봉사자로 활동해왔다. 그는 “좋은 분위기 속에서 질서정연하게 무브인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선배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후배들을 돕고 있다”고 밝혔다. 빌리지 곳곳이 사람들로 북적였다. 빌리지 내 위치한 대형 소매 판매 업체 타깃에는 필요한 물품을 사기 위한 학생들로 북적였다. 한 학생은 베개와 베개 커버 등을 들고 계산을 기다리고 있었다. 집에서 베개를 놓고 온 게 분명하다. 입주 절차가 끝나면 작별의 시간이다. 빌리지 중앙 분수대 앞에서는 입주를 끝낸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헤어지기 전 마지막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는 이들도 보인다. 하와이에서 온 앤서니 이 학생은 “새 학기가 기대되고 못 봤던 친구들을 다시 볼 생각에 설렌다”며 “이번 학기에는 더 많은 사람을 만나고 독립적인 생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친인 피터 이씨도 “아들이 학교생활을 즐겁게 잘하고 좋은 사람들을 많이 사귀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은 설렘과 기대만 있지는 않았다. 치안에 대한 우려도 공존한다. 지난 4월 USC에서 대규모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벌어진 바 있다. 이에 학교 경비가 강화된 모습도 눈에 띈다. 이날도 빌리지가 아닌 USC 캠퍼스는 학교 신분증을 소지해야만 들어갈 수 있었다. 학교 경비 인력뿐만 아니라 LA경찰국 경관들도 캠퍼스 곳곳을 순찰하는 모습이 보였다. USC에 재학 중인 한 한인 학생은 “친팔레스타인 시위로 인해 한때 기숙사와 학교의 문이 모두 폐쇄돼 불편했다”며 “시위가 언제 다시 일어날지 모르니 걱정된다”고 밝혔다. USC 2학년 자녀를 둔 김기덕 씨는 “학교 안전 시스템이 잘 되어있고 경찰들도 순찰을 자주 한다고 하지만 시위의 여파로 안전이 우려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전했다. 김경준· 최준호 기자USC 무브인데이 르포 새학기 기지개 학생 학부모 기숙사 입주 학생 봉사자들
2024.08.20. 22:04
남가주 풀러턴한국학교(교장 신춘상)는 지난 9일 설날을 맞이해 500여 명의 학생, 학부모, 교사가 모여 한국 전통 음식을 즐기고 명절놀이 문화를 경험하는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서 학생들은 한복을 차려입고 준비한 떡을 먹은 후 세배하는 법을 배웠다. 또 청룡 연하장 만들기, 태극기 타투 붙이기, 떡국 만들기, 제기 만들기 등 한국 고유 전통 놀이 등을 즐기며 설날을 온몸으로 체험했다. [남가주풀러턴한국학교 제공]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문화체험 게시판 설날 문화체험 이날 행사 학생 학부모
2024.02.20. 20:15
한미가정상담소(이사장 수전 최)가 오는 28일(수) 오전 10시부터 스탠턴의 사무실(12362 Beach Blvd, #1)에서 ‘청소년 봉사상에 관하여’란 주제의 세미나를 개최한다. 유동숙(사진) 한미가정상담소장이 강사를 맡는다. 유 소장은 “다수의 학생, 학부모가 관심을 갖고 있지만 혼동도 많이 하는 청소년 봉사상 중 대통령상과 연방의회상 프로그램에 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미가정상담소는 청소년 봉사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좌석이 한정돼 있어 예약은 선착순 마감된다. 문의는 전화(714-873-5688, 714-892-9910) 또는 이메일([email protected])로 하면 된다.청소년 봉사상 청소년 봉사상 연방의회상 프로그램 학생 학부모
2022.12.15. 16:30
35년 역사의 남가주 풀러턴 한국학교는 지난 29일 700여명의 학생, 학부모, 외빈과 함께 바자를 개최했다. 학생들은 현장에서 직접 만든 음식을 즐겼고, 60여명의 1학년 학생들은 골든벨 퀴즈 대회도 열었으며, 4~5학년생들의 단체 줄넘기 경기도 치러졌다. 풀러턴 한국학교의 신춘상 교장은 "이번 바자를 통해 얻은 수익금으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하기 위한 프로젝터를 구입할 수 있게됐다"고 관심에 감사했다. [풀러턴 한국학교 제공]한국학교 게시판 한국학교 바자 학생 학부모 신춘상 교장
2022.11.02. 18:15
한인 고교생, 학부모 20여 명이 부에나파크 1지구 시의원 선거에 출마한 조이스 안 후보의 캠페인을 돕는다. 안 후보는 지난 10일 부에나파크의 더 소스 몰에서 자원봉사자들과 만나 가가호호 방문, 전화 걸기, 홍보물 배포 등을 비롯한 본격적인 캠페인에 시동을 걸었다. 봉사자들은 안 후보가 다니는 감사한인교회 교인, 지인 등이며 이들 중 일부는 써니 박 OC 4지구 수퍼바이저 후보도 돕고 있다. 안 후보는 “내 캠페인이 한인 청소년에게 커뮤니티 봉사 활동에 대한 동기와 용기를 심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자녀와 함께 참석한 학부모 김선아씨는 “선거 자원 봉사는 우리 아이들이 이 땅에서 사는 인생의 목적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2019년부터 2년 동안 OC한미시민권자협회 회장을 지냈다. 그는 청소년 단체 C2C 유스그룹 창립 이사이기도 하다. C2C 유스그룹의 40여 명 회원은 성시영 이사의 지도로 매년 커뮤니티 봉사에 참여하고 있다. 안 후보 캠페인 자원봉사 문의는 전화(949-922-9870)로 하면 된다. 후보 관련 정보는 웹사이트(joyceahn.com)에서 찾아볼 수 있다.학부모 조이스 학생 학부모 조이스 안씨 학부모 김선아씨
2022.09.13.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