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이 아침에] K는 이제 품질보증서다

‘K-pop’이라는 용어는 1999년 10월 9일자 미국 빌보드(The Billboard) 기사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한국 특파원이었던 조현진 기자가 “S. Korea To Allow Some Japanese Live Acts”라는 기사 말미에서 한국 대중음악을 설명하며 사용한 표현이었다.   그로부터 25년, ‘K’라는 글자를 앞세운 수많은 제품과 문화가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K-뷰티, K-푸드, K-드라마, K-무비 등 한국인이 만든 것들이 세계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드라마 한 편이 해외에서 열풍을 일으키고, 한국 음식점 앞에는 긴 줄이 서며, 한국 화장품은 백화점에서 고급 매대를 차지한다. 이제 K-문화는 한때의 유행이 아니라 세계 문화의 한 축이다.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K-pop Demand Hunter’가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랐다. 마치 월드컵 경기에서 1위를 한 것처럼 짜릿했다.   나는 미국의 한 주류 기업에서 10년째 근무하고 있다. 처음에는 높은 문턱과 백인들만의 문화 속에서 이방인처럼 지냈다. 그래서 소수계인 남미 출신 동료들과 어울리며 시간을 보냈다. 그러다 코로나 이후 회사가 긴축정책을 실시하며 직원의 40%를 감원했고, 우리 부서에서는 나만 살아남았다. 이후 의류시장이 회복되며 새 직원을 채용했는데 그중에는 한인도 제법 들어왔다.   예전에는 회사에서 아시아인, 특히 한인은 조용하고 무난한 직원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K-pop과 K-드라마의 세계적 인기, 글로벌 스타들의 활약이 ‘한국’이라는 이름 자체를 긍정적인 브랜드로 만들었다. 한인이라는 이유만으로 호감을 얻는 경우가 늘었고, 신속하고 성실한 업무에서 더 높이 평가받게 되었다.   대부분의 신규 한인 직원들은 영어권 2세였다. 부모에게서 ‘빨리빨리’ 성향까지 물려받아 업무 속도와 추진력이 대단하다. 나는 1세대 이민자라 영어는 부족하지만, 그들에게 없는 끈기와 참을성, 그리고 현장에서 쌓은 경험으로 또 다른 가치를 보여주려 한다.   K-문화가 세계의 주목을 받는 지금,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은 더 이상 약점이 아니다. 오히려 강력한 경쟁력이자 나를 설명하는 브랜드가 됐다. 과거에는 스스로를 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한국’이라는 두 글자가 나를 대신 설명해 준다. 이 변화가 나의 회사뿐 아니라 미국의 다른 기업들로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결국, ‘K’는 더 이상 한국을 나타내는 접두사가 아니라, 세계가 인정하는 품질보증서다. 이선경 / 테크 디자이너·수필가이 아침에 품질보증서 세계 문화 한국 대중음악 한국 화장품

2025.08.25. 18:21

썸네일

“한국 대중음악의 위상 실감”

MBC라디오 프로그램 ‘배철수의 음악캠프’가 방송 35주년을 맞아 세계적인 야외 록 페스티벌 ‘롤라팔루자 2025 시카고’ 현장에서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     이번 특집 방송은 MBC 라디오와 영상 제작팀이 함께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페스티벌 현장 분위기를 담은 특집 다큐멘터리와 유튜브 콘텐츠로도 제작될 예정이다.   시카고를 찾은 배철수 DJ는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며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들이 이제는 가능해졌다.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인터뷰 하고, 한국 대중음악의 위상을 알릴 수 있어 뜻 깊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특집 방송은 한국 시간 기준으로 8월 1일부터 6일까지 총 6일간 오후 6시부터 8시사이 방송되며, 생방송 대신 녹음 방송 형식으로 송출된다.     제작진은 페스티벌에 참여한 K-POP 아티스트들과 현지 인기 아티스트들, 롤라팔루자 운영 책임자 등과 인터뷰를 진행하며 글로벌 음악 문화의 교류 현장을 담아냈다.   남태정 라디오국장은 “K-POP의 위상이 눈에 띄게 성장했음을 현장에서 실감했다”며 “트와이스, 보이넥스트도어, 웨이브 투 어스 등 한국 아티스트들이 세계적인 무대에서 당당히 공연하는 모습은 자랑스러운 순간이었다”고 전했다.     특히 메인 스테이지인 T-Mobile과 Bud Light 무대에서 K-POP 팀들이 헤드라이너로 선 것은 상징적인 장면이었다고 전했다.   이번 특집은 방송뿐 아니라 MBC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돼 8월 말 또는 9월 초 방영될 예정이다. 유튜브에는 다큐멘터리에 담지 못한 추가 인터뷰와 무대 뒷이야기 등이 업로드될 계획이다.   한편, 배철수 DJ는 40년 전 시카고에서 공연을 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40년 만에 다시 찾은 시카고는 여전히 매력적인 도시였다. 높은 빌딩과 독특한 건축물들이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서 살아가는 교민들이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바란다”며 인사를 전했다.     Luke Shin대중음악 한국 한국 대중음악 한국 아티스트들 특집 방송

2025.08.05. 13:03

썸네일

코첼라, 올해도 거센 K팝 열풍…르세라핌·에이티즈 등 대거 참가

세계적인 음악 축제 코첼라에서 K팝 가수들이 공연을 선보여 화제다.     지난 12일 코첼라 밸리에서 개최돼 오는 21일까지 열리는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이하 코첼라)에는 K팝 가수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거 참석했다. 지난해 한국 여성 아이돌 그룹 블랙핑크가 아시안 아티스트 최초 헤드라인 무대를 꾸민 가운데 올해도 여러 기록이 세워졌다.     올해 코첼라 무대에 오른 K팝 아티스트로는 여성 아이돌 그룹 르세라핌, 남성 아이돌 그룹 에이티즈, 밴드 더 로즈, DJ 겸 프로듀서인 페기 구 등이다.     에이티즈가 지난 12일 가장 먼저 공연을 펼치면서 코첼라 무대에 선 최초의 한국 남성 아이돌 그룹이 됐다. 에이티즈는 50분간 이어진 무대에서 ‘미친 폼’, ‘세이 마이 네임’ 등 대표곡을 선보였다. LA타임스는 이들의 무대를 두고 “노래, 랩, 춤 등 모든 것을 쏟아부으며 폭발적인 무대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르세라핌은 한국 가수 중 데뷔 이후 최단 기간에 코첼라 무대에 오르는 기록을 썼다. 지난 13일 무대에 올라 ‘안티프래자일(ANTIFRAGILE)’, ‘언포기븐(UNFORGIVEN)’ 등 10곡의 노래를 40분에 걸쳐 들려줬다. LA타임스는 르세라핌의 공연을 두고 “젊은 여성들이 직면하는 완벽함에 대한 압박에 대해 솔직하고 거침없이 이야기하고 젊은 팬들의 공감을 산다”며 “무대 세트장이 르세라핌을 만나기 위한 팬들로 꽉 찼다”고 전했다.     더 로즈와 페기 구 무대의 반응도 뜨거웠다. LA 타임스는 더 로즈에 대해 “그들의 음악은 록밴드 U2나 1975처럼 풍부하고 섬세하다”고 평했다. 이어서 페기 구에 대해서는 “한국 대중음악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 언더그라운드 클럽 음악에서 자신만의 성공을 거뒀다”고 밝혔다.   한편, 르세라핌은 이번 코첼라에서 공연후 라이브 실력 논란이 불거졌다. 온라인에서 생중계된 무대를 본 네티즌들은 “정말 부끄럽다”, “그들의 보컬은 끔찍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르세라핌의 전체적인 퍼포먼스는 멋있었다”, “대단한 에너지를 전달했다” 등 르세라핌을 옹호하는 의견도 나왔다.   김경준 기자열풍 참가 아이돌 그룹 한국 대중음악 여성 아이돌

2024.04.16. 21: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