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 아침에] 연분홍 쿨토시

언제부턴가 한국에는 미국 상품이, 미국에는 한국 물건이 흔해졌다. 그래서 요즘은 한국을 방문할 때 선물을 따로 준비하지 않는다. 한때는 귀한 물건이라며 이민 가방을 가득 채워 오가던 시절도 있었다.“뭐 필요한 거 없어?” 하고 물으면, 이제는 정말로 “그냥 와, 다 있어”라는 말이 현실이 되었다. 그렇게, 세월도 바뀌었고 세상도 달라졌다.   이민 초기에는 한국에 있는 가족이 그리워 매달 500달러 가까운 국제전화 요금을 낸 적도 있었다. 지금은 어떤가. 카카오톡, 보이스톡, 페이스타임으로 얼굴을 보며 무료로 대화할 수 있다. 시간도, 비용도, 거리도 훨씬 가까워진 세상이 되어버렸다. 코스트코에는 김치와 양념 불고기는 물론, 냉동 떡볶이와 김밥, 삼계탕, 떡국까지 다양한 한국 식품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한국 판매 1위(No.1 sales in Korea)’라는 문구가 붙은 인기 화장품들도 자주 눈에 띈다. 흐뭇한 마음으로 구경하고 있으면, 제품에 대해 묻는 외국인들도 종종 있다. 그럴 때면 나는 마치 한국 홍보대사라도 된 듯, 신나게 사용 후기를 늘어놓는다.   “이 제품 쓰면 너처럼 피부 고와지니?” 하고 묻으면, “당연하죠!” 하며 웃는다.   어릴 적 골목에서 숨바꼭질하며 외쳤던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는 ‘오징어 게임’ 드라마를 통해 넷플릭스로 전 세계에 퍼졌고, 블랙핑크의 로제가 부른 ‘아파트’ 덕분에 외국인들이 ‘아파트’를 영어 단어 ‘apartment’의 어원처럼 여길 정도가 되었다.     세상이 바뀐 만큼, 사람들의 반응과 시선도 달라졌다.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수록, 한인들에 대한 시선도 함께 달라지고 있음을 피부로 느낀다. 세상도, 시선도 변했지만 나는 여전히 이곳에서 내 삶을 살아간다. 다만 마음 한 켠에는, 예전보다 조금 더 당당한 기운이 자라고 있음을 느낀다.   어느 날, 평소 자주 가던 한인 마켓에 들렀다. 과일 코너에서 사과를 고르고 있는데, 백인 할머니 한 분이 내 주위를 맴도는 것이 느껴졌다. 눈이 마주치자, 그녀는 조심스럽게 다가와 말을 건넸다. “Excuse me…”     그녀가 가리킨 건 내 팔에 끼고 있던 연분홍색 쿨토시였다. 자외선이 강한 캘리포니아에서는 운전할 때 직사광선을 피하려고 쿨토시를 자주 착용한다. 원래는 골프용이지만, 해변이나 공원 산책할 때도 유용하다. 나는 코리아타운의 몇몇 가게를 알려주며, 실용성과 품질을 자랑스럽게 소개했다. 그러자 할머니는 안타까운 표정으로 말했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서, 프리웨이 운전은 무서워서 하지 못해요.”   긴 소매를 걷어 보인 하얀 팔 위에는, 세월의 흔적처럼 기미 꽃이 소담하게 피어 있었다. 처음 만난 사이에 대신 사 주겠다 할 수도 없고 해서 한참을 망설이다 용기를 내 조심스럽게 말을 건넸다. “이거, 제가 쓰던 거긴 한데, 괜찮으시면 이거 드릴까요?” 잠시 멈칫하던 할머니는 얼굴에 환한 미소를 띠며 되물었다.   “Are you sure?” 그리고는 “Thank you, thank you!”를 연거푸 외쳤다.   그녀는 나를 껴안고, 볼을 맞대며 고마움을 표현했다. 쓰던 걸 벗어준 것뿐인데도 과분한 인사를 받으니 민망하면서도 가슴 한 켠에 뿌듯함이 스며들었다.   쿨토시를 끼고 기뻐하실 할머니를 상상하다 보니, 문득 ‘애국’이라는 단어가 마음에 스쳤다. 애국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거나, 세계 무대에서 국위를 드높인 위대한 사람들만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 이제는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애국은 반드시 거창할 필요는 없다. 내가 사는 이곳에서 한국의 온정을 나누는 것도 애국이 아닐까 싶다. 어쩌면, 디아스포라의 삶의 현장이야말로 애국을 실천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리일지도 모른다. 오늘, 나는 코리안 아메리칸으로서 내 몫의 애국을 조용히 실천한 것 같다. 그 작은 쿨토시 하나가, 미국 할머니의 마음속에 ‘코리안의 따스함’으로 얼마나 오래 남을까. 김윤희 / 수필가이 아침에 연분홍 쿨토시 쿨토시 하나 한국 물건 한국 홍보대사

2025.07.28. 18:29

썸네일

"절실한 한미동맹, 주님께 의지합니다"

    제 17회 워싱턴 한미국가조찬기도회(고문 류응렬 목사 회장: 윤필홍 이사장: 서옥자) 가 15일 오전 7시 센터빌에 위치한 와싱톤중앙장로교회에서 개최됐다.   올해의 주제는 “주님만 의지합니다 (In God We Trust 시편 56:11)”로 윤필홍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하나님의 편에 서서 기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시기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래도 우리는 미국과 한국을 위해 그리고 세계 다른 국가들, 월드 미션, 그리고 우리 가족들, 후세대들을 위해 계속 기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한미 양국 대통령이 전달한 메세지가 낭독됐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제 17회 한미국가조찬기도회의 개최를 축하한다. 새로운 도전과제들이 산적한 오늘날, 한반도를 포함해 평화롭고 번영하는 세상을 위해 우리는 함께해야 하고 기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도 “전례 없는 도전 앞에서 자유, 인권, 법치와 같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 간의 연대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한미동맹은 이러한 국제적 연대의 모범이다. 하나님의 은총과 축복이 한미동맹의 발전과 전 세계 자유와 평화를 염원하는 모은 이들에게 닿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기조연설자로 한국에서 초대되고 서옥자 이사장의 소개로 강단에 선 김상복 목사는 “하나님이 미국이라는 친구를 한국에 선물로 줌으로써 한국에 복음이 전해져 인구의 20%가 기독교인 나라가 됐다. 또한 미국은 한국에 학교를 세워 한국인들에게 현대교육을 시켰고, 이로써 오늘의 한국은 전세계에서 교육수준이 최상위인 국가가 됐다"고 역설했다. 또한 김 목사는 "(미국은)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 한국은 독립을 선물로 받았다. 북한의 침략에서도 한국을 보호해줘 자유민주주의국가로 설 수 있게 도와줬으며, 한국 물건을 수입함으로써 한국의 경제가 일어설 수 있게 해줬다. 마지막으로 미국은 한국 이민자들을 받아줬다. 이런 특별한 우정을 허락하신 것은 바로 하나님”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워싱턴 한미국가조찬기도회에는 권세중 총영사, 챕 피터슨 상원의원, 마크 장 메릴랜드 주의원, 필 베나 교수 등이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워싱턴 한미국가조찬기도회는 워싱턴 지역에서 성도와 교회들이 함께 모여 나라와 열방, 특히 한국과 미국을 위해 기도하는 기독 단체다. 특히 한국과 미국의 지도자들이 하나님의 뜻과 그분의 말씀인 성경적 가치관을 위해, 한반도의 복음 통일을 위해, 한미 양국의 더 강한 상호 관계를 위해, 열방의 복음화를 위해 기도한다.  김정원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한미동맹 기조연설자로 한국 한국 이민자들 한국 물건

2022.10.17. 14:3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