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열린광장] 함께였다, 함께한다, 함께할 것이다

지난 10월 25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Korea Defense Veterans Association(KDVA)’ 즉, ‘주한 미군전우회’ 연례총회는 과거 한반도에서 함께 피와 땀을 흘린 전우들이 미국 땅에서 다시 모여 한미동맹의 오늘을 기리고, 다가오는 도전에 맞서 단단한 결속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날 행사에는 전 주한미군사령관인 로버트 에이브람스 장군과 한국 측에서 전 합참의장인 정승조 예비역 대장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옛 전우들의 눈빛은 단지 과거를 기념하는 데 머물지 않았으며 그 속에는 숱한 전투에서 함께 흘린 피가 남긴 책임감과 함께 만들어갈 평화에 대한 굳건한 결의가 있었다.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이 미국 내 향군 단체로부터 초청을 받아 매번 함께 행사하고, 전우의 손을 잡고 서로 격려하는 모습은, 그 자체로 한미동맹의 살아 있는 증거다.     오늘(11일)은 미국의 ‘Veterans Day’이자, 전우들이 서로를 돌아보는 특별한 날이다. 이날을 통해 우리는 전우애가 단순한 기억을 넘어, 한미 양국이 공유하는 전략적 가치로 이어지고 있음을 되새겨야 한다.   한국전쟁과 그 이후 이어진 세월 속에서 미국과 한국의 군사동맹은 늘 시험에 들었다. 하지만 이날 전우들의 만남은 과거의 전투가 남긴 상흔을 넘어, 미래를 향한 연대로 전환되는 상징이다. 이 우정이야말로 서해 · 동해의 바다와 태평양을 넘어 양국 국민과 병사들의 심장을 연결하는 등불이 된다.   행사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했다. 중국과 북한이 군사적 협력을 강화하는 현실 속에서, 한미동맹은 단순한 규모나 시설이 아니라 예약된 약속, 전우가 전우를 지키는 거룩한 약속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전우들이 있었기에 ‘지키는 힘’은 생겼고, 지금은 그 위력이 동맹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그 힘은 바로 한국과 미국 시민이 함께 누리는 자유와 평화를 지키는 든든한 기둥이다. 실제로 한미동맹은 단순히 군사적인 협력 관계가 아닌, 미래지향적이며 상호 신뢰에 기초한 전략동맹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전문가의 논평도 있다.   전국적인 향군의 날을 앞두고 지역 향군 단체들이 준비하는 전우 초청 행사에 참가할 우리 한국전 참전유공자들은 단지 과거를 기리는 대상이 아니다. 우리 6.25참전 노병들은 한미동맹의 살아있는 역사이자 현재진행형 동반자다. 우리가 이들을 향해 진심으로 감사와 존경을 표할 때, 그 감사는 과거로 멈추지 않고 미래로 이어지는 다리가 된다. 그 다리를 통해 한미 양국은 다가오는 위기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피의 연결이라는 사실을 맞들 수 있다.   전우의 손을 잡고 나누는 한마디가 얼마나 묵직한가를 오늘 다시 생각해 본다. “함께였다”는 기억이 “함께한다”는 현실이 되고, 그것이 “함께할 것이다”는 신념으로 승화될 때 비로소 동맹은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이제 우리의 미래에 대한 약속을 다지며 그리고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며 전우들께 존경의 경례를 드린다. 이재학 / 6·25참전유공자회 회장열린광장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약속 전우가 주한 미군전우회

2025.11.11. 17:36

썸네일

“감사” 한마디에 환한 미소…90세 넘은 한국전 참전용사들

웨스트LA 재향군인병원에는 세월 속에 잊혀져 가는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있다.   베터런스데이(재향군인의 날)를 하루 앞둔 지난 10일, 밝은사회운동본부(GCS·이사장 이종남) 회원 5명이 이곳을 찾았다. 가족이나 지인들의 발길이 뜸한 병원을 GCS 회원들은 17년째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   이종남 이사장은 “매년 6월25일과 베터런스데이때 두번 이곳을 방문한다”며 “점심과 함께 치약, 칫솔, 양말, 슬리퍼 등 생필품이 담긴 선물을 전하며 감사의 마음을 나눈다”고 말했다.   GCS의 재향군인병원 방문은 지난 2008년 6월 처음 시작됐다. 당시만 해도 30여 명의 한국전 참전용사가 있었지만, 지금은 그중 15명만이 병원에 남아 있다. 대부분 90세를 훌쩍 넘긴 이들은 자신의 생일조차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쇠약하지만, 한국전쟁의 기억만큼은 여전히 또렷하게 간직하고 있다.   참전용사 중 한 명인 피트먼 씨는 1953년 미 육군으로 참전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23세였다. 전쟁 당시 상황을 묻자 그는 잠시 말을 멈추더니 “처음 한국에 갔을 때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내가 참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종전이 됐다”고 말끝을 흐렸다. 그러면서 어눌한 한국어 발음으로 ‘판문점’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이날 GCS 회원들이 한국과 미국 국기가 새겨진 모자와 후드티 등을 선물하자, 참전용사들의 얼굴에는 환한 미소가 번졌다.   참전용사 아서 셸번 씨는 “한국전 참전 모자를 새로 선물 받아 너무 기쁘다”며 “매번 이렇게 찾아와 선물해줘서 항상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6월에 만나 인사를 나눴던 참전용사가 다음 방문 때 보이지 않으면 가장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그는 “참전용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손을 한 번 잡아드리고 ‘당신의 헌신에 감사합니다’라는 한마디”라며 “지금은 15명이 남아 있지만, 마지막 한 분이 남을 때까지 이 방문 행사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참전용사들에게는 여전히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다. GCS 회원들의 정기적인 방문은 그들의 닫힌 마음을 서서히 열어가고 있다.   이 이사장은 “전쟁 트라우마로 처음에는 선물도 받지 않던 분들이 있었다”며 “그럴 때는 그냥 병실에 선물을 놓고 오는데, 몇 번 반복하다 보면 결국 받아주시곤 한다”고 말했다. 송윤서 기자감사 손한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한국전 참전용사 이날 참전용사들

2025.11.10. 20:21

썸네일

“미국 선교사-참전용사 숭고한 희생 기억할 것”

    버지니아 지역 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이 주일인 지난 15일 대거 와싱톤중앙장로교회(담임목사 류응렬)를 방문해 한인 커뮤니티와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류응렬 목사는 “올해는 와싱톤중앙장로교회가 1973년 창립 이후 5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면서 “많은 미국인 선교사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억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제리 코넬리 연방하원의원(민주, VA 11지구)은 “연방의회 내에서 코리아 코커스 의장으로 한미동맹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던 점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말했다.    코넬리 의원은 “나의 동료였던 찰스 랭글(charles rangel)전 연방하원의원이 18세에 징집돼 한국전쟁에 참전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서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매우 가난했던 한국이 미국 동맹의 주요 일원이자 전세계에 기여하는 국가가 됐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류응렬 목사는 “최근 한국의 전라도를 방문해 1892년 파송된 윌리엄 전킨(William Junkin) 선교사가 남긴 유산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면서 “일제 식민지 시절과 한국전쟁 시절 많은 선교사들과 군인들의 희생에 다시한번 고마움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전킨 선교사는 버지니아 출신으로 미국 남장로교에서 파송한 일곱 명의 선교사 중 한명으로, 1892년 한국으로 파송돼 5개의 교회와 6개 학교, 병원을 설립했다. 그는 또한 평양신학교에서 강의하며 길선주 목사 등 한국 최초 목회자들을 양성했다. 전킨 선교사는 안타깝게도 1908년 43세를 일기로 한국에서 숨을 거뒀다.  류 목사는 전킨 선교사의 후손을 찾으려 노력한 바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코넬리 의원을 비롯해 주상원의원 데이빗 마스덴(제37지구), 제니퍼 보이스코(제33지구), 주하원의원 비비안 와츠(제39지구), 댄 헬머(제10지구), 케리 델러니 (제67지구), 캐시 트랜(제42지구), 수하스 서브라매니암(87지구), 미쉘 로페즈 말도나도(제50지구)를 비롯, 케시 스미스 페어팩스 카운티 수퍼바이저(설리 디스트릭), 카렌 키스-마마라 페어팩스 카운티 교육위원(광역), 스텔라 파커스키 페어팩스 카운티 교육위원(설리 디스트릭), 스티브 데스카노 페어팩스 카운티 검사장, 문일룡 페어팩스 카운티 교육위원 후보(광역), 세마 디시트 페어팩스 카운티 교육위원 후보(설리 디스트릭),크리스 팔콘 페어팩스 카운티 순회법원 서기 후보, 트라비스 넴브하드 주하원의원 후보(제22지구), 케넌 쉬른바산 주하원의원 후보(제26지구), 전경숙 아태계연합 회장 등이 참여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참전용사 페어팩스 카운티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주하원의원 후보

2023.10.19. 13:32

썸네일

언더우드 대학교, 한국인 참전용사들에게 감사 오찬

스와니에 캠퍼스를 둔 언더우드 대학교(총장 윤석준)가 28일 한국전쟁에 참전한 한국인 용사들을 오찬에 초청해 감사를 전했다.     이날 윤석준 총장을 비롯한 언더우드대학 관계자들과 6.25 참전유공자회 애틀랜타지회(회장 심만수) 회원, 장경섭 재향군인회 미 남부지회 회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윤 총장은 "최근 언더우드 대학에 한국어학부를 준비하면서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존경과 감사를 표하고 싶었다"며 이날 행사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서 윤 총장은 심만수 회장에게 감사장을 전달했다. 윤지아 기자참전용사 한국인 한국인 참전용사들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한국인 용사들

2023.07.31. 13:54

썸네일

김영임 작가 '평화 한국전쟁 사진전'

혜월 김영임(사진) 사진작가의 ‘평화 한국전쟁 사진전’이 오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맨해튼 본스타 트레이닝센터 뉴욕캠퍼스(213 이스트 117스트리트)에서 열린다.     사진전에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의 한국전쟁 72주년 메시지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에세이, 지역사회 인사들의 사회활동 사진 100여점 등이 전시된다. 김 작가는 “이 전시회는 대한민국의 자유 민주평화통일을 염원하는 ‘평화 프로젝트’”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사진전 오프닝은 오는 28일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초청된 손님만 참석할 수 있다. 일반인은 오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오후 1~5시에 관람할 수 있다. 전시회는 뉴욕한인회, 주뉴욕대한민국총영사관, 터키총영사관, 유엔 무관단과 본스타트레이닝센터 뉴욕캠퍼스에서 후원한다.   김 작가는 미국·한국·일본 등지에서 개인전 44회와 단체전을 다수 개최했으며, 시각예술 분야 스타파운데이션상을 수상했다. 한국전쟁 60주년 사진집 ‘평화통일의 길목에서’와 ‘뉴욕 속의 한인사회’, ‘평화 아름다운 미국’ 등의 사진집을 발간했다. 문의 본스타트레이닝센터 뉴욕캠퍼스: 646- 896-1497. 김은별 기자한국전쟁 김영임 한국전쟁 사진전 평화 한국전쟁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2022.06.24. 19:5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