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글의 창제 정신을 기리는 한글날이다. 한글은 단순한 문자 체계를 넘어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되새기는 날이기도 하다. 한글은 이제 한국을 넘어 세계 각지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LA에서도 K팝과 K뷰티 등 한류 문화의 확산과 맞물려 한글이 주류 사회 속에 스며드는 모습이 뚜렷하다. 한글의 독특한 디자인과 상징성을 브랜드 전략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상품 로고나 패키지에 한글을 접목해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고, 한국 문화와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단순한 장식 효과를 넘어, 소비자들에게 한글을 한국적 정체성의 상징으로 각인시키고 있다. ‘K컬처’ 열풍과 맞물려 한글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LA 한인 업소들도 느는 추세다. 한인타운 6가의 커피숍 ‘카페 로프트(Cafe Loft)’는 브랜드 로고와 상품에 한글 자음 ‘ㄹㅍㅌ’을 과감히 적용했다. 단순한 자음 배열이지만 특유의 조형미와 간결함으로 감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했다. 타인종 고객에게는 신선한 시각적 경험을, 한인 고객에게는 문화적 자부심을 심어주는 ‘브랜드 감성’ 효과다. 카페 로프트의 세미 최 대표는 “매주 토요일 카페에서 열리는 한국어 언어 교환 모임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한글 디자인 자체가 고객의 흥미를 끌고, 동시에 한인타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브랜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렌지카운티 풀러턴의 ‘나성술컴퍼니(NASUNG SOOL Co.)’는 한글을 브랜드 중심에 세운 대표적인 사례다. 나성은 LA의 한자 표기지만 한글로 사용하면 또 다른 감성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판매 주류인 ‘소주’와 ‘막걸리’를 라벨에 한글 그대로 표기했다. 로고 또한 영어 ‘NASUNG’과 자음 ‘ㄴㅅ’을 함께 사용한다. 한국 전통주 브랜드라는 정체성을 직관적으로 드러내고, 전통을 계승한다는 브랜드 철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전략이다. 하이랜드파크의 ‘모두(Modu)’ 카페 역시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브랜드명으로 삼았다. 로고는 자음 ‘ㅁㄷ’으로 단순화해 시각적 인상을 강화했다. 짧고 발음하기 쉬운 이름은 외국인 고객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모두의 균형과 디테일을 담는다”는 카페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모두 카페의 장윤지 매니저는 "글자가 알파벳 'OC'와 비슷하다며 의미를 물어보는 손님이 많다. 손님과 '스몰토크'가 되는 것 그 자체로도 마케팅 효과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곳을 방문한 고객 앤젤라(33)씨는 "타인종 가게는 맛은 좋아도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운 적이 많았다"라며 "'모두'는 기억하기도 쉽고 로고로써도 귀엽다"고 말했다. K-감성을 전하다 - 영어 속에 담긴 한글 LA지역 한인들이 운영하는 커피 브랜드들이 한글을 단순히 표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한국어가 가진 정서와 의미를 영어로 옮겨 브랜드화하는 새로운 전략도 선보이고 있다. 이들은 한국적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영어권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방식으로 시장에서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다.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 한인들에게는 자부심과 색다른 표현방식으로 다가오는 장점이 있다. 실버레이크에 자리한 카페 ‘Gonggan’은 이름 자체로 철학을 나타냈다. 단순한 ‘스페이스(space)’가 아닌, 사람과 감정이 머무는 여백을 뜻하는 단어 ‘공간’을 그대로 영어 표기로 옮겨 사용했다. 업체는 소개에서 “삶의 빈 공간을 채우는 곳”이라고 표현했다.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영어 표기로 담아내면서 오히려 외국인 고객들에게 브랜드 철학을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체는 메뉴 역시 흑임자 라떼, 제주 녹차 등 한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음료를 제공하고 있다. 온도를 뜻하는 단어를 그대로 옮긴 ‘Ondo Coffee’는 세련된 음차 표기로 커피의 경험을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이름만으로 커피 한 잔이 주는 온기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Moim Coffee’는 한글 단어 ‘모임’을 발음 그대로 영어로 표기해 커뮤니티와 사람이 모이는 장소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카페는 소개글에서 커피를 만드는 이들부터 고객까지 함께하는 문화적 공간이라고 부연했다. 이처럼 단순한 번역 대신 원어 발음을 유지한 이름은 타인종 고객들에게 이색적인 매력과 한국어 단어가 가진 의미를 자연스럽게 전달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브랜드명 하나로도 공간이 지닌 정체성과 철학을 충분히 드러내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글을 영어로 옮긴 브랜드 이름은 문화 간 소통의 창구이자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도구”라며 “LA의 카페와 소규모 브랜드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한글의 깊은 의미를 알리고, 새로운 소비자들과 교감하면서 한글의 문화적 가치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상품 가치와 신뢰감 전달이 과제 특히 한글을 브랜딩에 활용한 업소들은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쉽게 발음할 수 있는 명칭을 택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글 특유의 부드러운 리듬감과 함축적 의미가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브랜드 경쟁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글은 이제 단순한 문자를 넘어 K브랜드의 가치와 신뢰를 표현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글 마케팅의 성공 요인으로 “문화적 정체성 강조, 시각적 차별성, 감성적 연대감, 글로벌 현지화 전략의 병행”을 꼽는다. 한글의 독창적 디자인은 제품과 공간에 트렌디한 감성을 불어넣고, 한인 소비자에게는 친밀감을, 타인종 고객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서적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된다. 창제 당시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쓰도록 만든 문자’라는 정신에서 출발한 한글은 오늘날 LA 현장에서 그 정신을 확장하며 세계 소비자와 소통하는 새로운 문화 언어로 기능하고 있다. 우훈식 기자브랜드 한글 한글 자음 브랜드 로고 브랜드 전략
2025.10.05. 18:57
JMT는 ‘존맛탱(엄청 맛있는 것)’의 한글 자음을 알파벳 약자로 표현한 신조어다. 좀 더 자세히 풀이하면 존은 ‘존X’에서 따왔다. 탱은 아이템(item)의 끝 자인 ‘템’을 강조한 귀여운 발음이다. 실례를 보면 “일본에서 먹은 빵인데 레알 JMT” “해운대 맛집 인도요리 JMT” 이런 식이다. 먹방·맛집을 좋아하는 밀레니얼 사이에서 최고 유행이다. SNS 플랫폼 인스타그램에는 #JMT 해시태그가 붙은 게시물이 460만 개나 올라와 있다. JMT에는 밀레니얼 세대의 신조어 성향이 고스란히 담겼다. 깨알처럼 작은 휴대폰 자판으로 빠르게 소통해야 하는 특성상 원래의 단어를 축약해서 자음·모음 또는 알파벳 약자만으로 의미 전달하기는 기본. 한자와 한글을 혼용하거나, 소소한 물건들을 왕창 사면서 스트레스를 푼다는 뜻의 ‘시발비용’처럼 비속어를 적당히 섞어 쓰는 점도 젊은 세대의 신조어 법칙이다. 일상에 불쑥 끼어든 외계인처럼 뜻도 모양도 낯선 이들 신조어를 바라보는 여론은 두 가지다. 모국어의 아름다움과 문법 체계를 망가뜨리고 세대 간의 단절감을 부른다는 우려. 발랄한 창조력과 풍부한 어휘력을 가진 그들만의 언어놀이로 인정하고 함께 즐기려는 공감대. 정답은 없다. 단지 사족을 붙인다면, 유행은 잠시 머물다 흘러간다. 20~30년 전이라고 비속어 섞인 한글 파괴형 유행어가 없었을까. JMT도 올 연말이면 다른 신조어에 자리를 내주고 기억 속에서 사라질 것이다. 알아듣지 못할 말들만 한다고 지적질하기보다, 그들이 요즘 열광하는 게 뭔지 관심을 가져보는 게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중년의 현명한 대처가 아닐까. 서정민 / 중앙SUNDAY 문화선임기자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신조어 성향 한글 자음 이들 신조어
2022.09.26. 18:48
JMT는 ‘존맛탱(엄청 맛있는 것)’의 한글 자음을 알파벳 약자로 표현한 신조어다. 좀 더 자세히 풀이하면 존은 ‘존X’에서 따왔다. 탱은 아이템(item)의 끝 자인 ‘템’을 강조한 귀여운 발음이다. 실례를 보면 “일본에서 먹은 빵인데 레알 JMT” “해운대 맛집 인도요리 JMT” 이런 식이다. 먹방·맛집을 좋아하는 밀레니얼 사이에서 최고 유행이다. SNS 플랫폼 인스타그램에는 #JMT 해시태그가 붙은 게시물이 엄청나게 올라와 있다. JMT에는 밀레니얼 세대의 신조어 성향이 고스란히 담겼다. 깨알처럼 작은 휴대폰 자판으로 빠르게 소통해야 하는 특성상 원래의 단어를 축약해서 자음·모음 또는 알파벳 약자만으로 의미 전달하기는 기본. 한자와 한글을 혼용하거나, 소소한 물건들을 왕창 사면서 스트레스를 푼다는 뜻의 ‘시발비용’처럼 비속어를 적당히 섞어 쓰는 점도 젊은 세대의 신조어 법칙이다. 일상에 불쑥 끼어든 외계인처럼 뜻도 모양도 낯선 이들 신조어를 바라보는 여론은 두 가지다. 모국어의 아름다움과 문법 체계를 망가뜨리고 세대 간의 단절감을 부른다는 우려. 발랄한 창조력과 풍부한 어휘력을 가진 그들만의 언어놀이로 인정하고 함께 즐기려는 공감대. 정답은 없다. 단지 사족을 붙인다면, 유행은 잠시 머물다 흘러간다. 20~30년 전이라고 비속어 섞인 한글 파괴형 유행어가 없었을까. JMT도 올 연말이면 다른 신조어에 자리를 내주고 기억 속에서 사라질 것이다. 알아듣지 못할 말들만 한다고 지적질하기보다, 그들이 요즘 열광하는 게 뭔지 관심을 가져보는 게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중년의 현명한 대처가 아닐까. 서정민 / 중앙SUNDAY 선임기자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신조어 성향 한글 자음 이들 신조어
2022.08.21.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