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사용한 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한글 자음 'ㄹㅍㅌ'이 새겨진 상품을 판매하는 카페 로프트(왼쪽)와 자음 'ㅁㄷ' 업소 로고에 사용한 모두 카페. 김상진 기자
오는 9일은 한글의 창제 정신을 기리는 한글날이다. 한글은 단순한 문자 체계를 넘어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되새기는 날이기도 하다.
한글은 이제 한국을 넘어 세계 각지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LA에서도 K팝과 K뷰티 등 한류 문화의 확산과 맞물려 한글이 주류 사회 속에 스며드는 모습이 뚜렷하다. 한글의 독특한 디자인과 상징성을 브랜드 전략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상품 로고나 패키지에 한글을 접목해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고, 한국 문화와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단순한 장식 효과를 넘어, 소비자들에게 한글을 한국적 정체성의 상징으로 각인시키고 있다.
‘K컬처’ 열풍과 맞물려 한글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LA 한인 업소들도 느는 추세다.
한인타운 6가의 커피숍 ‘카페 로프트(Cafe Loft)’는 브랜드 로고와 상품에 한글 자음 ‘ㄹㅍㅌ’을 과감히 적용했다. 단순한 자음 배열이지만 특유의 조형미와 간결함으로 감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했다. 타인종 고객에게는 신선한 시각적 경험을, 한인 고객에게는 문화적 자부심을 심어주는 ‘브랜드 감성’ 효과다.
카페 로프트의 세미 최 대표는 “매주 토요일 카페에서 열리는 한국어 언어 교환 모임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한글 디자인 자체가 고객의 흥미를 끌고, 동시에 한인타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브랜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렌지카운티 풀러턴의 ‘나성술컴퍼니(NASUNG SOOL Co.)’는 한글을 브랜드 중심에 세운 대표적인 사례다. 나성은 LA의 한자 표기지만 한글로 사용하면 또 다른 감성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판매 주류인 ‘소주’와 ‘막걸리’를 라벨에 한글 그대로 표기했다. 로고 또한 영어 ‘NASUNG’과 자음 ‘ㄴㅅ’을 함께 사용한다. 한국 전통주 브랜드라는 정체성을 직관적으로 드러내고, 전통을 계승한다는 브랜드 철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전략이다.
하이랜드파크의 ‘모두(Modu)’ 카페 역시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브랜드명으로 삼았다. 로고는 자음 ‘ㅁㄷ’으로 단순화해 시각적 인상을 강화했다. 짧고 발음하기 쉬운 이름은 외국인 고객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모두의 균형과 디테일을 담는다”는 카페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모두 카페의 장윤지 매니저는 "글자가 알파벳 'OC'와 비슷하다며 의미를 물어보는 손님이 많다. 손님과 '스몰토크'가 되는 것 그 자체로도 마케팅 효과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곳을 방문한 고객 앤젤라(33)씨는 "타인종 가게는 맛은 좋아도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운 적이 많았다"라며 "'모두'는 기억하기도 쉽고 로고로써도 귀엽다"고 말했다.
상품 가치와 신뢰감 전달이 과제
특히 한글을 브랜딩에 활용한 업소들은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도 쉽게 발음할 수 있는 명칭을 택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글 특유의 부드러운 리듬감과 함축적 의미가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브랜드 경쟁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글은 이제 단순한 문자를 넘어 K브랜드의 가치와 신뢰를 표현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글 마케팅의 성공 요인으로 “문화적 정체성 강조, 시각적 차별성, 감성적 연대감, 글로벌 현지화 전략의 병행”을 꼽는다.
한글의 독창적 디자인은 제품과 공간에 트렌디한 감성을 불어넣고, 한인 소비자에게는 친밀감을, 타인종 고객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서적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된다.
창제 당시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쓰도록 만든 문자’라는 정신에서 출발한 한글은 오늘날 LA 현장에서 그 정신을 확장하며 세계 소비자와 소통하는 새로운 문화 언어로 기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