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한글 인기에 무임승차… 외국 기업의 ‘가짜 한국산’ 마케팅

한글은 때때로 그 창제 정신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일부 타인종 기업들이 한글을 마케팅 수단으로 차용해, 마치 한국 기업 제품처럼 보이게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검증된 한국 기업 제품처럼 보여도, 타인종 기업이 정확한 제조지 설명 없이 ‘한국산’으로만 표기된 제품을 수입, 한국 기업 제품처럼 포장해 유통만 하거나 실제로는 한국과 연관이 전혀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99랜치마켓, 168마켓 등 남가주에 다수 포진된 중국계 마켓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이 대표적인 예다.   판매 중인 ‘김치 소다 크래커’ 제품의 경우 중국어와 영어, 한글을 함께 사용했다. 특히 업체는 브랜드명인 ‘Li Hua Yuan’을 한글로 ‘리화위안’으로 함께 표기했다. 확인 결과, 이 제품을 판매·유통하는 업체는 ‘양젠(Yang-Zhen) 엔터프라이즈’로 본사와 공장 모두 대만에 위치한 기업으로 나타났다.   타인종 기업이 한국 제조업체와 계약, 포장에 한글을 표기한 제품을 받아 유통하는 사례는 더 빈번했다.     최근 K푸드 수출 증가세 중 큰 역할을 하는 소스류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산 ‘떡볶이 소스’, ‘불고기양념’으로 표기된 제품의 경우 유통업체는 ‘한 아시아(Han Asia)’로, 얼핏 보면 한국 기업으로 오인할 수 있다. 실제로는 모기업은 ‘와롱(Walong) 마케팅’으로 중국 현지 제품을 수입하거나 자체 브랜드 식품을 유통하는 중국계 기업이다.   한국의 대표 주류인 소주에서도 이러한 사례가 발견됐다. 과일맛 소주 가판대 한켠에는 ‘한잔’이라는 이름이 적힌 제품이 판매 중이었다. 한국산으로 표기돼 있었으나 업체명은 ‘아이코(Aiko)’로 타인종 기업으로 드러났다. 해당 기업은 우크라이나 출신 여성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가 운영하는 문어발식 주류 유통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켓을 방문한 하오 린씨는 “한국어만 보고 한국 기업 제품인 줄 알았다”며 “제품을 유심히 살펴보지 않는 한 대부분 모르고 구매할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소매업체 아마존에서 판매되는 K뷰티 제품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사례가 발견됐다.     ‘K뷰티’ 검색 시 찾아볼 수 있는 2만6000여개 리뷰, 평점 4.3점의 세럼은 제품 라벨에 ‘서울’이라고 적혀있다. 그러나 제조·판매 업체는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서울 수티컬’로, 창립자는 에이미와 크레이그 로메로로 알려졌다. 웹사이트에 따르면 화장품의 주요 성분은 한국에서 수입되지만 제품은 모두 미국에서 제조된다.     소비자 입장에서 이 같은 제품들은 기존 알던 유명 한국 기업의 제품들로 착각하기 쉽다. 이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한국 브랜드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한식세계화협회의 이종금 사무국장은 “한국 제품에 익숙한 한인들은 가려낼 수 있지만, 타인종의 경우 구분하기 어렵다”며 “특히 원산지나 제조시설 표기 없는 ‘한국산’ 제품은 품질 보증이 제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글·사진=우훈식 기자무임승차 한글 한국 제조업체 한글 표기 영어 한글

2025.10.08. 19:08

썸네일

한글, K-감성을 전하다

  ━   〈시리즈 순서〉     〈상〉 한글 표기의 매력 〈중〉 영어 속에 담긴 한글 〈하〉 한글로 위장하다     LA지역 한인들이 운영하는 커피 브랜드들이 한글을 단순히 표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한국어가 가진 정서와 의미를 영어로 옮겨 브랜드화하는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고 있다.     이들은 한국적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영어권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방식으로 시장에서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다.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 한인들에게는 자부심과 색다른 표현방식으로 다가오는 장점이 있다.     실버레이크에 자리한 카페 ‘Gonggan’은 이름 자체로 철학을 나타냈다. 단순한 ‘스페이스(space)’가 아닌, 사람과 감정이 머무는 여백을 뜻하는 단어 ‘공간’을 그대로 영어 표기로 옮겨 사용했다. 업체는 소개에서 “삶의 빈 공간을 채우는 곳”이라고 표현했다.   한국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영어 표기로 담아내면서 오히려 외국인 고객들에게 브랜드 철학을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체는 메뉴 역시 흑임자 라떼, 제주 녹차 등 한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음료를 제공하고 있다.   온도를 뜻하는 단어를 그대로 옮긴 ‘Ondo Coffee’는 세련된 음차 표기로 커피의 경험을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이름만으로 커피 한 잔이 주는 온기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Moim Coffee’는 한글 단어 ‘모임’을 발음 그대로 영어로 표기해 커뮤니티와 사람이 모이는 장소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카페는 소개글에서 커피를 만드는 이들부터 고객까지 함께하는 문화적 공간이라고 부연했다.   이처럼 단순한 번역 대신 원어 발음을 유지한 이름은 타인종 고객들에게 이색적인 매력과 한국어 단어가 가진 의미를 자연스럽게 전달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브랜드명 하나로도 공간이 지닌 정체성과 철학을 충분히 드러내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글을 영어로 옮긴 브랜드 이름은 문화 간 소통의 창구이자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도구”라며 “LA의 카페와 소규모 브랜드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한글의 깊은 의미를 알리고, 새로운 소비자들과 교감하면서 한글의 문화적 가치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전하 감성 한글 단어 한글 표기 한국어 단어

2025.10.06. 19:28

썸네일

[우리말 바루기] ‘아울렛’, ‘아웃렛’

다음 중 영어 ‘outlet’의 바른 한글 표기는 어느 것일까?   ㉠ 아울렛  ㉡ 아웃렛   아마도 ‘㉠ 아울렛’을 고른 사람이 적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너무나 많이 보아 왔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아울렛’이 ‘아웃렛’보다 발음하기 편리한 듯해 이것이 옳은 표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웃렛’을 빨리 발음하다 보면 ‘아울렛’이 되는 듯도 하기 때문이다. 딱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라’가 [할라]가 되듯이 일종의 역행적 유음화 현상이 발생한 결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정답은 ‘아울렛’이 아니라 ‘㉡아웃렛’이다. ‘outlet’의 영어 발음을 따라 그대로 ‘아웃렛’으로 표기하는 것이 국립국어원이 정한 표기원칙이다.   그렇다면 ‘아울렛’이나 ‘아웃렛’이나 표기원칙은 원칙이고 이미 ‘아울렛’이라고 써 왔는데 따지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예를 들면 기사에서 “아웃렛 가운데 ○○아울렛, △△아울렛 등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처럼 한 문장에서도 ‘아웃렛’ ‘아울렛’ 표기가 함께 나와 보는 사람이 불편하게 느끼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어쨌거나 국립국어원은 ‘아웃렛’이란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렸으며, ‘재고품이나 이월 상품을 싸게 판매하는 곳’이란 설명을 달았다.우리말 바루기 아울렛 아웃렛 아웃렛 가운데 영어 발음 한글 표기

2023.11.19. 17: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