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애틀랜타 공항서 ‘한복의 미’ 자랑

10월 21일 ‘한복의 날’을 앞두고 애틀랜타공항에서  16일 기념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 애틀랜타 한인들뿐 아니라 공항 직원, 여행객 등이 참석해 한복의 멋을 즐기고 체험했다.       한복기술진흥원 미주지회(회장 이은자)는 2년째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공항 국제선 콩코스 F에서 한복 전시회와 전통무용 무대를 개최했다. 한복기술진흥원에서 제작한 궁중 한복은 국제선에서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 탑승 게이트가 있는 곳으로 들어오면 바로 볼 수 있다. 전시회는 약 2달간 이어진다.       가채와 한복을 입고 참석한 이은자 지회장은 “한국인으로서 한복의 의미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어 영광”이라며 “특히 세계에서 가장 바쁜 애틀랜타 공항에서 전시하게 되어 뜻깊다”고 말했다.     소프라노 크리스틴 정 씨의 애국가와 미국 국가 제창을 시작으로 ‘한 컬처 아카데미’의 선비춤, 큰태평무 공연이 이어졌다. 조선시대 왕비가 춘 태평무는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브라이언 베네필 공항 최고 재무 책임자, 조 밀러 델타 부사장, 허지예 애틀랜타 총영사관 영사, 홍수정 주 하원의원, 김백규 원로회장, 래리 존슨 전 디캡 카운티 커미셔너, 박사라 둘루스 시의원 후보 등이 축사를 전했다. 이들은 한복의 역사, 아름다움, 한인 커뮤니티가 조지아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는지 등에 관해 이야기했다.     베네필 책임자는 “세계로 통하는 관문인 애틀랜타 공항에서 한복 전시를 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수정 의원은 “1991년 조지아에 처음 왔을 때 우리 문화가 이렇게 큰 관심과 인기를 받을 줄 몰랐다. 감사하다”고 전하며 ‘한복의 날’ 선포문을 이은자 지회장에 전달했다.     이 지회장에 따르면 플로리다, 토론토에서 자원봉사자들이 모여 이번 ‘한복의 날 경축행사’를 준비했으며, 손수 만든 비빔밥을 참석자들에게 제공했다. 기념 공연 이후 한글 이름표, 전통민화 색칠 등 다양한 체험 행사가 진행되어 여행객들도 발걸음을 멈추고 즐겼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한복 잭슨 애틀랜타공항 한복기술진흥원 미주지회 한복 전시회

2025.10.16. 14:52

썸네일

“한복·전통문화 널리 알릴 터”…세광 문화 재단 첫 전시회

비영리단체 세광문화재단(회장 김성규, 이하 재단)이 한복 전시회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 알리기에 나섰다.   재단은 지난 21일 풀러턴 도서관(353 W. Commonwealth Ave)에서 첫 한복 전시회를 시작했다. 재단 측은 전시 기간 중 딱지와 공기놀이 체험, 한글 서예로 이름 써주기 등의 이벤트를 열고 참가자에게 딱지와 공기를 선물했다.   김성규 회장은 “관람객들이 왕의 곤룡포를 보며 특히 관심을 보였다. 서예 이벤트도 반응이 좋았다”고 말했다.   첫 전시회는 오늘(31일) 막을 내린다. 재단 측은 3월 한 달 동안 매주 화~금요일 풀러턴의 헌트 도서관(201 S. Basque Ave)에서 규모를 더 키운 2차 전시회를 연다.   김 회장은 “첫 전시회에선 한복을 펼쳐 놓고 보여줄 수밖에 없었지만, 헌트 도서관에선 마네킹 6개를 가져다 한복을 입힐 예정이다. 한복을 입어보고 사진도 찍을 수 있도록 이벤트 규모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3년 전 세광문화재단을 설립했다. 설립 목적은 차세대 한인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이들을 미래의 커뮤니티 지도자로 양성하는 것이다.   한복을 널리 알리고 싶어 자비로 산 한복이 80벌도 넘는다는 김 회장은 “앞으로 주위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도 한복을 전시하려고 한다. 한복과 한국 역사, 문화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도 만드는 중”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에 따르면 현재 재단 회원은 14명이다.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후손인 김 회장의 부인 김(장)미라씨, 아들 브랜던 김씨도 회원이며, 은혜한인교회 부설 은혜평생교육대학 서성남 학감은 고문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처음 출발은 소박하지만, 앞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길 바란다. 전시회에 도움을 준 풀러턴시 프레드 정 시장,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전시회 관련 문의는 전화(213-507-5334) 또는 이메일([email protected])로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전통문화 한복 한복 전통문화 한복 전시회 한국 전통문화

2025.01.30. 19: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