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달라스 한인문화센터 운영, 동포사회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달라스 한인문화센터(이사장 정창수, 이하 문화센터)가 운영기금 모금 운동을 펼치고 있어 뜻있는 한인들의 관심과 참여가 요망되고 있다. 문화센터 관리를 맡고 있는 김강 사무총장은 본지 인터뷰에서 문화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모금 운동을 펴고 있다며, 한인 동포들이 십시일반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 사무총장에 따르면 문화센터 운영에 필요한 재정 및 인건비와 유지비 등은 렌트비로 충당되고 있다. 하지만 한인단체들이 문화센터 입주자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어 시세에 맞는 적정한 렌트비를 받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 김 사무총장은 “문화센터 건물이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수리비가 만만치 않게 들어가고 있다”며 “렌트비만 받아서는 문화센터 운영이 빠듯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화센터 건립 때 많은 한인 단체 및 개인들이 십시일반 건립기금을 마련하는 데 동참했다”면서 “이제는 문화센터 운영에 대한 한인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설명했다. 문화센터 건립은 지난 2014년 11월 건물을 매입하면서 성사됐다. 안영호 당시 한인회장 등 지역사회 리더들이 주축이 됐고, 다수의 한인 단체 및 개인들이 문화센터 건물 매입에 필요한 기금모금에 동참했다. 지난 2024년 2월에는 문화센터 건립 10주년을 맞아 임시 운영위원회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문화센터의 운영이 지난 10년간 상당히 정체돼 부족한 면이 많았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김 사무총장은 “문화센터 입구 좌측 벽에는 문화센터 건립에 도움을 준 사람들의 명단이 전시돼 있다”며 “이제는 건립기금 뿐만 아니라 운영에 필요한 도네이션을 내는 분들에 대해서도 그 명단에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센터 건물 매입 직후에는 여러 한인 단체들이 바자회, 골프대회 등 다양한 기금 모금 행사들을 개최해 문화센터에 ‘발전기금’ 형식으로 기부를 하곤 했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이러한 관심은 부쩍 감소했고, 호남향우회와  북텍사스 한국여성회 등 일부 단체들만 드문드문 발전기금을 전해오고 있다. 문화센터 주소는 11500 N Stemmons Fwy, Dallas, TX 75229이며, 운영기금 모금에 관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214.770.8070으로 문의하면 된다.                     〈토니 채 기자〉한인문화센터 동포사회 달라스 한인문화센터 한인 단체들 문화센터 건물

2025.05.16. 8:06

썸네일

홍대선 한의사, 건강강좌 15일 SD 한인문화센터서

오는 3월 15일 오후 1시부터 샌디에이고 한인문화센터(7895 Convoy Ct., Eden Hall #17, San Diego)에서 한인을 위한 건강 강좌가 열린다.     강사는 홍대선 한의사로 환절기 체력 강화를 위한 약초, 자연 항생제의 다양한 사용법, 고혈압에 좋은 약재 등에 대해 설명한다. 홍 원장은 "특히 환절기 때는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며 "이번 강좌에는 한가지 약초로 건강을 다질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702)285-3743, (760)855-9839(샌디에이고 한인교회) 박세나 기자한인문화센터 건강강좌 홍대선 한의사 샌디에이고 한인문화센터 샌디에이고 한인교회

2025.03.11. 19:25

KCC 파차파캠프 특별전…18일~ 2월15일 한인문화센터

KCC 한인동포회관(관장 남경문)은 미국 최초의 한인타운으로 알려진 ‘파차파 캠프’를 기념하는 특별 전시회를 1월 18일부터 2월 15일까지 뉴저지 테너플라이에 위치한 KCC 한인문화센터(100 Grove St.) 2층 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인 이민 역사를 기념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멜론 재단의 지원을 받아 기획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샌프란시스코, 워싱턴DC, 시카고, 뉴욕 등 미국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진행되고 있다.     전시 개막일인 1월 18일 오후 5시에는 UC 리버사이드 장태한 교수의 특별 강연과 책 사인회가 예정되어 있다.     장 교수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설립한 파차파 캠프의 역사적 중요성을 연구하고 이를 알리는 데 기여한 인물로, 이번 전시의 기획자이다.   한편, KCC는 2월 8일(토)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이민법 세미나도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레이첼 유 이민법 전문 변호사가 강사로 나서 최신 이민법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며, 이후에는 심층 Q&A 세션을도 마련된다.     행사 및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KCC 한인동포회관(201-541-1200 또는 이메일 [email protected])으로 하면 된다. 서만교 기자한인문화센터 특별전 이민법 세미나 이민법 전문 최신 이민법

2025.01.15. 20:05

“MD 한인사회 위한 한인문화센터 필요”

    오는 11월8일 메릴랜드 하워드 카운티 이그제큐티브 선거에 출마하는 알렌 키틀먼(Allan Kittleman,63,공화 사진) 후보가 한인 문화센터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인사회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다.   키틀먼 후보는 지난 23일 메릴랜드 엘리콧시티 소재 ‘꿀돼지’에서 열린 ‘한인 후원의 밤’ 행사에서 이그제큐티브에 당선되면 한인 커뮤니티를 위해 어떻게 봉사하겠냐는 질문에 대해 “아시안을 위한 문화센터 건립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데, 한인을 위한 문화센터가 따로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고 밝혔다.   전임 이그제큐티브로 선거에 재출마 하는 키틀먼 후보는 중도적 성향을 가진 공화당 의원으로 2014년 하워드카운티 이그제큐티브로 당선돼 2018년까지 주민들을 위해 봉사해왔다.   당선 이후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하워드 카운티 한인 커뮤니티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협조해 한인사회에 매우 친숙한 인물이다.   키틀먼 후보는 “나는 하워드 카운티에서 평생을 산 토박이이고 아이들 4명이 모두 이 곳에서 공립학교를 다녔다. 미국에서 제일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준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이어서 그는 “하워드 카운티는 몇가지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먼저, 학교들이 정치적으로 변하고 있다. 학생들은 누구나 집에서 가장 가까운 학교를 다닐 수 있어야 하는데, 학교들이 인종별 학생수를 관리하기 위해 학군을 재구획하고 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피력했다.   키틀먼 후보는 “또한 내가 군수를 지냈던 시절 매우 안전했던 카운티가 위험해지고 있다. 지난해 살인율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차량도난 사건도 2배로 늘었다. 치안에 구멍이 뚫리는 이유는 경찰서장이 자주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년간 경찰서장이 3번이나 바뀌었다. 경찰서장이 자주 바뀌면 치안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기록적인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케빈 볼 현 이그지큐티브는 세금을 계속해서 인상했고, 이는 높은 물가를 조장하고 있다. 내가 당선되면 세금을 인하하고 향후 4년간 7000만불을 주민들에게 돌려줄 생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1998-2004년 카운티 의원을 역임한 키틀먼 후보는 지난 2004년 부친이 사망하자 주상원의원직을 승계받았다. 부친 밥 키틀먼은 결혼 평등 법안 개정, 메릴랜드 주에서 사형 폐지 법안 통과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백인으로서는 처음으로 NAACP에 가입해 첫 백인 회장을 역임하는 등 인종차별 철폐 및 소수계 권리를 위해 평생을 바쳐왔다.   그런 아버지의 정치이념을 이어받은 알렌 키틀먼 후보는 정치자금의 투명성을 위해 개인 후원금 250달러 이상을 받고 있지 않으며 어떠한 특별 이해관계자로부터도 정치자금을 수수하고 있지 않다. 그는 이날 “내게 이해관계자가 있는 이들은 여러분뿐”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를 주최한 백성옥 전 메릴랜드 한인회장은 “하워드 카운티에 한인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데 선거참여율이 4%로 저조해 행사를 주최하게 됐다”면서 “많은 한인들께서 이번 선거에 부디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석우 전 한인회 수석부회장은 “한인 인구가 8%나 되는 하워드카운티에서 한인들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셈”이라며 “반드시 투표해서 키틀먼 후보를 당선시키자”고 말했다.   한편,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키틀먼 후보는 이후 메릴랜드 로스쿨에서 JD학위를 취득했고, 2004년에서 2014년까지 메릴랜드 주 상원의원으로 역임한 바 있다. 김정원 기자 [email protected]한인문화센터 한인사회 하워드카운티 이그제큐티브 메릴랜드 하워드 한인 문화센터

2022.10.24. 14:5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