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동남부 한인인구 20만명, 조지아 7만6000명...5년새 10% 증가

동남부 11%·조지아 10% 증가 조지아 10명 중 6명 한국 출생   조지아주 한인 인구가 지난 5년 새 약 10% 늘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한국 출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센서스국이 12일 공개한 2018~2023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 5년 추정치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한인 인구는 199만8698명(혼혈 포함)으로, 5년 전 2014~2018 ACS 5년 추정치 발표 당시 한인 인구(혼혈 포함, 184만2251명)보다 8.5% 증가했다.   전국 한인 인구 대비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사는 한국 출생자는 51.4%로 집계됐으며, 이는 5년 전 조사에서 집계된 57.1%보다 낮아진 수치다.   조지아주 한인 인구는 7만6116명으로 파악됐다. 이 중 한국 출생자는 4만3600명으로, 전체 한인의 57.3%, 10명 중 6명에 가까운 한인들이 한국 태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 같은 조사에 의하면 조지아 한인 인구는 6만9230명, 이중 한국 출생자는 4만3260명이었다. 조지아 한인 인구 추정치는 5년 새 9.9% 증가했다.   조지아 전체 한인 인구의 약 62.5%가 한국 출생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5년 새 비율이 눈에 띄게 낮아졌다. 따라서 조지아의 한인 인구가 늘어난 이유는 한국에서 유입된 인구보다 타주 유입이 많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조지아를 포함, 앨라배마,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등 동남부 6개 주에 사는 한인(혼혈 포함)은 20만883명으로 5년새 11.2% 증가했다.   플로리다 4만3472명, 노스캐롤라이나 3만5097명, 사우스캐롤라이나 1만1010명, 테네시 1만7338명, 앨라배마 1만7850명의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 한국 태생 한인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인 기업 진출이 많은 앨라배마로, 58%에 가까운 비율(1만334명)이 한국 출생자로 파악됐다. 한국 태생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한인 인구가 가장 적은 사우스캐롤라이나(4316명, 39.2%)다.   동남부 6개 주 모두 5년 새 한인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사우스캐롤라이나로, 2018년 8800명에서 2023년 1만1010명으로 25% 넘게 늘었다. 증가율이 가장 낮은 곳은 플로리다로, 2018년 4만2755명에서 인구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윤지아 기자한인인구 조지아 조지아 한인인구 조지아주 한인 한국 출생자

2024.12.12. 14:06

한인인구, 퀸즈 줄고 브루클린·버겐카운티 늘었다

뉴욕 일원 한인 밀집지역으로 꼽히는 뉴욕시 퀸즈 한인인구가 지난 10년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한인 인구는 늘어난 가운데, 지역별로 살펴보면 퀸즈·브롱스 등의 인구는 줄어든 반면 맨해튼·브루클린, 뉴저지주 버겐·허드슨카운티 인구가 급격히 늘어 한인 밀집지역의 추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모습이었다.   센서스국이 21일자로 발표한 '2020년 인구통계와 인구·주택분석(DHC)' 세부데이터 업데이트에 따르면 퀸즈 한인 인구(혼혈포함)는 6만1237명으로, 10년 전 조사 당시(6만6124명)보다 7.4% 줄었다. 스태튼아일랜드 한인 인구는 2812명, 브롱스 한인 인구는 2630명으로 역시 각각 17.2%, 15.2% 감소했다.   플러싱·베이사이드 등 전통적인 한인 밀집지역이 위치한 퀸즈 인구는 줄었지만, 뉴욕 일원 전체 한인인구는 늘었다. 뉴욕주 한인 인구는 16만603명으로 10년 전 대비 4.6% 늘었고, 뉴욕시(10만5204명) 역시 2.3% 증가했다.     뉴욕시에서 한인 인구가 특히 급증한 곳은 브루클린으로, 총 1만3898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0년 전 브루클린 한인 인구(8201명)에 비해 69.5%나 늘어난 셈이다. 맨해튼 한인 인구는 2만4594명으로 지난 10년간 11.8% 늘었다.     최근 유입된 한인 이민자들이 전통적인 한인 밀집지역보다는 맨해튼·브루클린에서 자리잡은 경우가 많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도심에 직장이 있는 한인들의 경우 접근성이 높은 브루클린 거주를 선호하는 편이다.   뉴저지주에선 한인 인구가 10만9965명으로 집계돼 2010년 대비 9.6% 증가했다. 이 중 버겐카운티(6만6119명), 허드슨카운티(6120명) 등은 한인 인구가 각각 13.5%, 18.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자녀교육과 도심 접근성을 모두 잡기 위해 이들 지역으로 몰린 한인들이 많아진 탓으로 풀이된다.   한편 뉴욕주에선 한인 남성은 7만1742명(44.7%), 여성은 8만8861명(55.3%)으로 여성 비율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뉴저지주 역시 한인 남성은 5만1679명(47.0%), 여성은 5만8286명(53.0%)으로 여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인인구 브루클린 한인인구 퀸즈 브루클린 한인 브루클린 뉴저지주

2023.09.20. 19:48

썸네일

한인인구 VA 7만5천명, MD 4만8천명

          미국에 거주하는 공식 한인 인구수가 5년 새(2017~2021년) 3% 늘면서 전체적으로 한인 인구 증가세가 둔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인구에서 비혼혈 한인 인구의 비중은 커졌다. 또한 버지니아와 메릴랜드에 거주하는 한인 수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센서스국이 7일 공개한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2017~2021 5년치 통계에 따르면 미국 내 비혼혈 한인 인구는 146만9854명이다. 이는 1년 전인 2020년의 147만7325명에서 0.5% 감소한 규모다. 5년 전인 2017년의 147만7282명에서는 42명이 추가된 것이다. 반면 혼혈 인구를 포함하면 전체 한인 인구는 194만5880명으로, 지난해 같은 통계에서 집계된 192만6508명보다 1만9327명(1%)이 늘었다. 또 2017년의 188만7914명에서 5만7966명(3%)이 증가했다. 이와함께 통계에 따르면 버지니아 한인 인구는 총 7만4569명으로 전년 대비 469명이 감소했다. 페어팩스 카운티의 총 한인 수는 4만2297명으로 버지니아에서 한인이 가장 많은 곳으로 파악됐다. 버지니아에서 한인 인구가 제일 많은 도시는 센터빌로, 총 1만375명이 거주하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는 애난데일 (1836명), 챈틸리 (1478명), 페어팩스 시티 (993명)에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메릴랜드주의 한인인구는 총 4만7867명으로 집계됐고, 버지니아와 동일한 숫자인 469명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메릴랜드의 한인 밀집 지역으로는 엘리콧시티(7283명)로, 볼티모어 (4087명), 콜롬비아 (2130명)가 뒤따랐다. 그러나 이같은 한인 인구 수치는 실제와 다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방 센서스국의 인구통계는 방문조사, 온라인 조사 응답으로 이뤄지며, 주미대사관은 버지니아, 메릴랜드, 워싱턴 DC의 총 한인인구를 약 20만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편 이번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 중위 가구 소득은 6만9021달러로 파악됐다. 이는 2012~2016년도의 6만2460달러에서 10.5% 증가한 것이다. 빈곤율도 2012~2016년도의 15.1%에서 12.6%로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18세 미만 빈곤율이 21.2%에서 17%로 가장 크게 떨어졌다. 특히 전국적으로 18세 미만의 손자와 거주하는 조부모 가운데 손자의 생계를 책임지는 조부모의 비율이 2012~2016년 36.5%에서 2017~2021년 32.7%로 감소했다. 박세용 기자 [email protected]천명 한인인구 메릴랜드주의 한인인구 버지니아 한인 한인 인구

2022.12.08. 14:16

썸네일

버지니아 공식 한인인구 9만4275명

    미국 내 한인 인구가 1년만에 3만 5000여 명이 증가하며 200만 명에 다가섰다. 또한 한인 4명 중 1명은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센서스국이 14일 공개한 ‘2021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에 따르면 한인인구는 총 196만 2184명(혼혈포함)으로, 전년도의 192만 6508명에서 1.85% 증가했다.   버지니아주에는 한인이 9만 4275명이 거주하고 있어 전체 인구의 0.86%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버지니아 아시안 인구는 52만 119명으로 전체의 6.22%를 차지하고 있다. 소득 수준의 경우 버지니아 한인의 중위 가구 소득은 9만 4961달러로, 전국 한인 대비 1만 1607달러 많았다.   혼혈을 제외한 한인 인구는 144만 5315명으로 전체 한인 인구의 77.7%를 차지했다. 한인 혼혈의 경우 2개 인종은 전체 인구의 19.1%를 차지했으며, 3개 인종이 섞인 혼혈인도 2.8%였다.   중간 연령은 한인은 43세, 혼혈인을 포함했을 경우 36.6세로 2년 전 발표된 2019년도 조사보다 높아졌다. 당시에는 각각 41.1세와 36.1세였다. 연령층도 높아지고 있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6.7%(혼혈 포함 12.9%)로, 2019년도의 15.4%(12.2%)보다 각각 1.3%포인트, 0.7%포인트 늘었다.   이번 통계는 팬데믹이 한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그대로 드러냈다. 재택 근무자의 경우 무려 416% 급증했다. 통계를 보면 전체 한인 인구의 25.4%가 집에서 일하고 있었다. 반면 여전히 회사에 출퇴근하는 경우는 58.3%였다. 2019년 통계에서는 73.9%가 출퇴근했으며 재택근무 비율은 5.9%에 그쳤다.   실업자도 늘었다. 2019년 한인 실업률은 3.7%였으나 2021년에는 2배 가까운 6.3%로 조사됐다. 반면 소득도 늘었다. 한인 중위 가구 소득(Median Household Income)은 8만 3354달러로 2019년도의 7만 8287달러에서 6.4% 증가했다.   한편, 지난 3월 공개된 센서스 자료에 따르면 버지니아 한인 인구는 7만 5038명, 메릴랜드 주 4만8468명, 워싱턴 DC 4327명 이었다. 김정원 기자 [email protected]버지니아 한인인구 버지니아 한인 버지니아 공식 한인 인구

2022.09.15. 14:57

썸네일

한인들도 ‘빈익빈 부익부’ 심화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미 전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전문직 종사자가 많아지면서 전체 한인들의 평균 소득은 늘었지만, 동시에 실업률과 빈곤율도 높아져 계층별 격차는 심해진 것으로 보인다.   15일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2021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에 따르면, 전국 한인(혼혈 포함)들의 가구 중간소득은 8만3354달러로 추산됐다. 팬데믹 이전이었던 2019년 ACS 조사에서 집계된 전국 한인 가구 중간소득(7만8287달러)보다 5067달러 늘었다. 특히 직장·자영업 등 일정한 수입이 있는 한인들의 가구 중간소득은 12만7386달러에 달했는데, 2019년(11만9384달러) 대비 8000달러 이상 늘어난 것이다.     가구 중간소득만 보면 한인들의 살림살이가 크게 나아졌을 것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저소득층 지원을 받는 이들의 비중도 늘었다. 현금보조(Cash Assistance)를 받는 비중은 같은 기간 1.8%에서 4.4%, 저소득층 생계비지원 프로그램(SSI) 수령 비중은 4.4%에서 4.5%, 푸드스탬프(SNAP) 수령자 비중은 6.3%에서 8.7%로 각각 늘었다. 학부 이상 졸업생(60%), 전문직 종사자(15%) 한인들이 늘면서 전체 소득은 증가했지만, 동시에 어려운 이들의 생활은 더 악화한 셈이다. 이에 따라 2019년 10.4% 수준이던 빈곤율은 10.6%로 높아졌다. 센서스국은 이날 별도 조사에서도 “2020년과 2021년 사이 소득 불평등(지니계수)이 1.2% 커졌다”며 “2011년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뉴욕주에서도 같은 기간 한인 가구 중간소득은 8만5430달러에서 8만3760달러로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지만, 빈곤율은 11.1%에서 14.5%로 3%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뉴저지주 한인 가구 중간소득은 10만2474달러에서 11만3175달러로 늘어난 반면 실업률은 3.7%에서 7.7%로 치솟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고물가와 높은 세율을 피해 한인들이 뉴욕주를 떠난 현상도 포착됐다. 2019년 14만3926명 수준으로 집계된 뉴욕주 한인 인구는 2021년 14만1745명으로 줄었다. 반면 뉴저지주 한인 인구는 10만8646명에서 11만3736명으로 늘었다. 전국 한인 인구는 2019년(190만8053명) 대비 소폭 늘어난 196만2184명으로, 2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김은별 기자뉴욕 뉴저지 한인 인구 센서스 조사 한인인구 통계 소득 한인소득 중간소득 빈익빈부익부

2022.09.14. 19:3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