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허드슨 하우스 등 텍사스주내 총 10곳 포함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온라인 식당 예약 서비스업체 ‘오픈테이블’(OpenTable)이 매년 선정하는 ‘2024 미국내 100대 톱 레스토랑’(Top 100 Restaurants in America for 2024)에 텍사스 주내 레스토랑 10곳이 포함됐다.   오픈테이블은 매년 미전역에서 최고의 다이닝 경험을 제공하는 식당들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는데, 올해의 톱 100 식당들은 1,400만건 이상의 검증된 다이너 리뷰 중에서 평점, 예약 수요, 별 다섯 개 리뷰 비율 및 기타 요인을 기준으로 선정됐다. 선정된 텍사스 주내 10곳의 식당들은 다음과 같다.(알파벳 순/괄호안은 주소와 전화번호) ▲Aba(1011 S. Congress Ave., Austin, TX 78704/737-273-0199) ▲Hudson House(4448 Lovers Ln., Dallas, TX 75225/214-583-2255) ▲J Carver's(509 Rio Grande St., Austin, TX 78701/512-782-0650) ▲Jeffrey's Restaurant & Bar(1204 W. Lynn St., Austin, TX 78703/512-477-5584) ▲Red Ash Italia(303 Colorado St., Suite 200, Austin, TX 78701/512-379-2906) ▲Sammie's Italian(807 W. 6th St., Austin, TX 78703/512-474-2054) ▲Signature(16401 La Cantera Pkwy., San Antonio, TX 78256/210-247-0176) ▲Steak 48(4444 Westheimer Rd., Houston, TX 77027/713-322-7448) ▲Uchi(801 S. Lamar Blvd., Austin, TX 78704/512-916-4808) ▲Uchiko(4200 N. Lamar Blvd., Suite 140, Austin, TX 78756/512-916-4808)   손혜성 기자허드슨 하우스 허드슨 하우스 온라인 식당 sammies italian

2024.12.02. 7:52

썸네일

포트리 허드슨 매너, 런치 뷔페 시작

뉴저지주 포트리의 허드슨 매너가 런치 뷔페를 새롭게 선보인다.     허드슨 매너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29달러 99센트, 주말에는 34달러 99센트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럭셔리한 한식 퓨전 메뉴를 제공한다.     허드슨 매너는 “뷔페는 1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메뉴가 준비돼 있으며, 후식까지 모두 포함돼 있어 손님들에게 큰 만족을 줄 것”이라며 “넉넉한 주차공간도 완비돼 있어 가족과 친지 모임이나 손님 접대에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허드슨 매너는 옛 ‘풍림’ 식당 자리, 포트리 우리은행 건물 2층에 위치해 있다.   허드슨 매너 런치 뷔페는 예약필수로, 예약 없이 방문할 때는 입장을 못하거나 대기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약 및 문의는 전화(201-851-5000)로 할 수 있다. 글·사진=박종원 기자허드슨 포트 허드슨 매너 런치 뷔페 뷔페 시작

2024.07.25. 18:08

썸네일

허드슨 야드 ‘베슬’ 연내 재개장

맨해튼 허드슨 야드의 랜드마크 베슬이 연내 재개장한다. 추락방지용 강철 망을 설치하고, 관람객 보호가 어려운 옥상층 등 일부 구역은 계속해서 폐쇄할 예정이다.   뉴욕포스트는 최근 허드슨 야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허드슨 야드는 이미 일부 층에 대해 강철 망을 설치했다. 강철 와이어를 격자 형태로 꼰 것으로 절단이 어렵고, 악천후에도 잘 견딘다는 설명이다.   2019년 3월 개장한 베슬은 벌집 모양의 건축물로 80개의 층계참·2500개의 계단으로 이뤄졌다. 개장 후 1년이 안 된 2020년 2월 이곳에서 첫 자살 사건이 발생했고, 이후 3명이 더 목숨을 끊었다. 외부 난간이 성인의 허리 높이에 그쳐 추락하기 쉬운 구조라는 지적이 잇달았다.   난간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허드슨 야드 측은 난간을 유지하는 대신 추락 방지용 망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정확한 개장 날짜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회사 측에선 “올해 후반에 방문객을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지상 1~2층은 완전히 개방되며 3층부터는 망이 설치된 지점만 방문할 수 있다. 망 설치가 어려운 옥상 층은 아예 접근할 수 없다.   입장료와 규칙 등은 미정이다. 폐쇄 전에는 입장료가 10달러였으며 미성년자는 보호자와 동반할 경우에만 입장이 가능했다. 이하은 기자허드슨 재개장 허드슨 야드 연내 재개장 맨해튼 허드슨

2024.04.15. 19:53

[글마당] 카타딘 선녀가 되어 -허드슨 산악회 여성 회원들에게

수많은 소음들이   지루한 시간들이   감미로운 감각들을 무디게 하는   산 아래 세상의   하중은 얼마나 무거웠던가     얼마나 자주 어둠 속에서   형체 없는 많은 두려움 속에서   몸부림은 안타까움을 토해 냈고   열병은 심장의 고동을 배가시켰든가     그래서 지금   꺼져 가는 모닥불처럼   남은 생각의 미광과 더불어   희미한 많은 회상과 더불어   산 아래의 그림이 되살아난다     그때, 우렁찬 폭포의 굉음이   격정처럼   깊고 어둑한 숲,   높은 고바위,   그 위 하늘을 향한 고산의 꼭짓점을   사로잡는다     마침내는 선녀탕의 찬물 속에서   육신의 숨결과 혈액의 운동을 정지시키고,   가벼워지는 저 행복스런 기분을   육신은 잠이 들고   영혼이 살아나는   선녀의 고요한 눈으로   조화와 환희의 자연을 바라본다.   ※카타딘: Katahdin Mountain in the Maine State 고용하 / 시인·뉴저지글마당 허드슨 산악회 허드슨 산악회 katahdin mountain 숨결과 혈액

2023.08.18. 21:35

매디슨스퀘어가든, 허드슨 야드로 이전하나

맨해튼 펜스테이션 일대를 재개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매디슨스퀘어가든(MSG)을 이전하는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지난주 펜스테이션 일대의 미드 맨해튼 지역에 10개의 초고층 건물을 세워 여기서 나오는 재산세로 펜스테이션 재개발 비용을 충당한다는 계획을 승인했다.     앞으로 펜스테이션은 재개발을 통해 ▶지하에 머물던 공간이 쉽게 외부와 연결되고 ▶시설 안에 자연광이 들어오도록 하고 ▶이용자들의 동선을 편리하게 조정하고 ▶트랙을 늘리고 조정하는 등 다양한 공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매디슨스퀘어가든은 설계 진행 여부에 따라 좌석수가 줄어드는 등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매디슨스퀘어가든은 서쪽 강변에 있는 허드슨 야드로 경기장을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이러한 계획은 이미 올해 초에 허드슨 야드를 개발한 부동산개발회사와 물밑 협의가 되서 계획안(렌더링)까지 나왔지만, 호컬 주지사가 사업자들의 이해가 프로젝트에 개입하는 것을 꺼려해 진행이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매디슨스퀘어가든은 펜스테이션 재개발로 인한 시설 축소 등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 위해 최근 허드슨 야드 측과 적극적인 협상을 진행해 아랫층에는 카지노, 윗층에는 경기장을 지어 이전하는 계획을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관계자들에 따르면 펜스테이션 인근에 세워질 고층빌딩에 들어설 아파트 또는 상가의 임대료는 1스퀘어피트 당 100달러로 현재의 매디슨스퀘어가든과 펜스테이션 임대료보다 40% 정도 높게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종원 기자매디슨스퀘어가 허드슨 허드슨 야드 펜스테이션 재개발 최근 허드슨

2022.07.25. 17:51

[아트 앤 테크놀로지] 허드슨 야드의 셰드 전시장

허드슨야드는 재비츠센터 옆에 새로 생긴 대형 상업 및 주거 지역이다. 2020년 팬데믹이 올 예상을 못 하고 대규모 쇼핑센터와 기업의 사무실이 입주하였다. 2012년 착공을 시작하여 2024년 모든 구조물이 들어서도록 기획되었다. 블룸버그가 입주한 건물에 셰드(The Shed)라는 이름의 미디어 아트센터가 있다. 2019년 4월 문을 열고 디지털 아트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도심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대형 스크린이나 조명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체험관이 생겨나고 있다. 런던의 바비칸센터라든지 뉴욕시의 링컨센터 같은 곳들이 복합문화센터로 탄생한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였다. 허드슨야드는 가장 최신 사업 지역이며 복잡하기로 손꼽히는 맨해튼에 생겨난 것으로 특이하다. 도시의 과밀화를 우려하여 반대가 많았지만 경제적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정치가들과 사업가들은 열심히 추진하였다. 언제나 그러하듯이 시민들과 공공의 이익을 위한 퍼블릭 공간도 빠짐없이 포함되었다.     베슬(Vessel)이라고 불리는 빗살무늬토기 모양의 대형 구조물은 팬데믹 동안 투신자살 등 역기능이 순기능보다 많아서 당분간 폐쇄되었다. 지금은 사람들이 올라갈 수 없는 공공조각 같은 기념물로 남아있다.     셰드는 이에 비해 극장처럼 평범하다. 30스트리트의 전면이 유리로 된 로비로 들어가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입구가 나온다. ‘드리프트: 부서질 듯한 미래 (Drift: Fragile Future)’라는 제목의 전시가 12월 중순까지 진행되었다. ‘들어 올리다’ 말뜻 그대로 거대한 콘크리트 기둥 5개가 가벼운 종이 상자처럼 공중에 떠서 움직인다. 아노니(ANOHNI)라는 작곡가의 음악을 배경으로 마치 현대 무용가의 추상적인 움직임처럼 모였다 흩어지기를 반복하면서 회색 기둥이 춤을 춘다.   네덜란드 출신의 로네케 고딘과 랄프 나우타 두 작가가 64명의 미술작가, 기술자, 엔지니어 등을 모아서 만든 회사가 스튜디오 드리프트이다. 부서질 듯한 미래는 공연 중심의 기둥을 보기 전에 준비된 일련의 조그마한 전시장을 지나면서 느껴진다. 우리가 쓰는 많은 기계 부품이나 학용품 등이 손톱처럼 작은 큐브의 물질로 표현된다.     쓰레기가 쌓이듯이 수백만 개의 생필품들이 이러한 큐브의 형태로 전환되고 같은 물질들이 모인다면 곧 컨테이너 트럭만큼 거대한 기둥이 될 것이다. 그러한 육면체 기둥이 사람들이 없이 텅 빈 거리의 빌딩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비디오 작품에서 디스토피아의 엄습을 느낀다. 찬란한 가을 햇살 속에서 거리는 고요하고 아름답다. 이런 단상처럼 스쳐 가는 이미지를 경험하고 거대한 전시장에 서면 숭고함이랄까 경건함이 든다.   서커스나 마당극 공연장에서처럼 바닥 여기저기 관객들이 앉으면 공중에 매달린 콘크리트 기둥이 우리를 향해 내려온다. 원을 그리기도 하고 높이를 달리하면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전체 공연은 45분에 달하는 상당히 긴 작품이었다.     25달러의 입장료를 낸 사람들에게 충분한 감상의 기간을 제공하는 셈이다. 캐나다 출신의 태양의 서커스를 보는 느낌이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의상과 무대 배경 속에서 최고의 기량을 보이는 서커스 단원의 곡예 대신에 다소 단조로우면서 천천히 움직이는 우주선을 바라보는 느낌으로 회색의 밋밋한 기둥이 들어 올리고 내리고 하는 모습을 본다. 가끔 뿜어져 나오는 연기 효과와 조명이 그나마 댄스 클럽의 여흥을 떠올리게 하지만 기계음을 순화시켜 놓은 것 같은 배경 음악은 그와는 거리가 멀다.     디지털 아트의 한 축은 요즘 유행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대체 불가한 토큰(NFT)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한 축은 스튜디오 드리프트처럼 미디어 아트와 기계공학을 바탕으로 한 체험 위주의 설치미술을 만드는 것이다. 20세기 중반 현대 미술이 개념 미술을 중심으로 공간을 이용한 설치 미술의 가능성을 소개했다면 21세기 중엽은 설치 미술을 장르를 넘나들면서 오감을 이용하여 경험하도록 해준다. 테크놀로지가 미술의 창작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이런 디지털 아트 전시장은 앞으로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미술 작품의 수집, 보관, 활용을 목적으로 생긴 기존의 미술관들도 앞다투어 이런 ‘체험관’을 설치하고자 노력한다. 사회 다른 분야에 적용된 테크놀로지가 그러했듯이 자본의 집중화는 가속화되어 이런 대형 설치 작품은 엄청난 자본과 협동이 있어야 실행 가능하다. 혼자 활동하고 생각하는 미술 작가의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변경희 / 뉴욕주립대 교수·미술사 전공아트 앤 테크놀로지 허드슨 전시장 미술작가 기술자 미디어 아트센터 콘크리트 기둥

2021.12.31. 16: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