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타리오가 본격적인 여름에 접어들면서 호흡기 바이러스부터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까지 다양한 질병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겨울을 감염 위험이 높은 계절로 여기지만, 데이비드 피스먼 토론토 대학 공중보건대학원 교수는 “여름철일수록 특히 더 기승을 부리는 바이러스가 여럿 있다”고 경고했다. 피스먼 교수에 따르면 여름에는 라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감염이 자주 발생하며 대개는 가벼운 증상을 유발하지만, 홍역처럼 예방접종을 거부하면서 재차 유행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도 있다고 경고한다. 온타리오 보건당국에 따르면 홍역 신규 감염은 최근 일주일간 33건으로 직전 주의 96건보다는 감소했으나, 지난해 10월 이후 누적 2,212건에 이르렀다. 피스먼 교수는 “100년 전 토론토에서는 여름철에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이 급증했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발전된 공중보건 조치 덕분에 사망자는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가 모기•진드기 확산 부추겨 토론토 종합병원의 전염병 전문의 아이작 보거치 박사는 기후변화로 모기와 진드기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거치 박사는 “라임병은 이미 캐나다 곳곳에 널리 퍼져 있다”며 “2024년에만 약 5,000건이 보고됐지만 실제 발생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임병 예방을 위해서는 숲이나 풀이 무성한 곳에서는 곤충 기피제를 사용하고, 외출 후 반드시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지 않은지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이라면 말라리아 같은 해외 풍토병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말라리아는 심각하고 치명적일 수 있으니, 출국 전 전문 여행의학 상담을 받고 필요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피스먼 교수 역시 “더운 날씨에는 모기의 활동이 활발해져 뎅기열, 황열, 치쿤구니야 같은 질병이 급속히 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식중독 위험과 항생제 내성도 우려 여름철에는 기온 상승으로 식중독 위험도 커진다. 피스먼 교수는 “캄필로박터, 시겔라, 살모넬라 같은 식중독은 기후에 민감하며, 더운 날씨에 식품 부패가 빠르게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타와 대학 연구에 따르면, 기온이 올라가면 항생제 내성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법으로 기본 위생 수칙과 실내 환기를 강조했다. 피스먼 교수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창문을 열고, 가능하면 야외 활동을 선택하며, 본인 몸이 아플 때는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바이러스 여름철 호흡기 바이러스 라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호흡기 감염
2025.07.07. 7:13
호흡기 질환이 시카고 지역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3~4월까지는 이 같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카고보건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독감 증세를 보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 18.3%가 독감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14.1%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자도 4.0%로 집계됐다. 일리노이 주 보건국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주민들의 숫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독감과 RSV는 크게 증가한 상태이며 코로나19 역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가 대유행”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지역 병원들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에 나섰다. 시카고 대학 병원에서는 직원들을 상대로 환자들이 드나드는 지역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할 것을 지시했다. 에버그린파크의 리틀 콤파니 오브 매리 병원에서는 환자 한 명당 방문자를 두 명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러시 병원의 감염병 전문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겨울철에 크게 유행하곤 한다.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늘면서 바이러스가 쉽게 퍼지기 때문”이라며 “독감이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연방질병통제센터는 RSV의 경우 75세 이상 노인이나 60세에서 74세 사이의 고위험군에 속하는 주민들은 백신 접종을 권장되고 있다. RSV는 소아 및 성인에서 감기, 기관지염, 폐렴, 세기관지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5세 미만의 소아에서 폐렴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기 분비물의 흡입 등에 의해서 전염되며, 잠복기는 4-5일이다. 시카고 주민들 중에 오랫동안 기침을 계속하는 경우 RSV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된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호흡기 시카고 호흡기 호흡기 감염 호흡기 질환
2025.01.07. 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