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혼잡통행료 시행 6개월, CRZ〈혼잡완화구역〉 진입차 1000만대 줄었다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행된지 반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뉴욕시에는 어떤 변화들이 생겼을까.     5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차량 수와 교통 지연, 사고율 등이 뚜렷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중교통 이용률은 오히려 증가해, 혼잡 완화와 재정 확보라는 정책 목표가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6개월 동안 혼잡완화구역(CRZ)으로 진입한 차량은 전년 대비 11%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일평균 약 6만7000대, 총 1000만 대 이상 감소한 것이다.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의 목적이 말 그대로 '혼잡 완화'인 만큼, 교통 체증 완화에도 교통 지연 시간도 크게 줄었다. 시행 이후 6개월 동안 CRZ 내 교통 지연 시간은 이전보다 25% 감소했다. 뉴욕 대도시권 전체에서는 교통 지연 시간이 지난해보다 9% 줄어들었다.     특히 홀랜드터널 출퇴근 시간 지연은 프로그램 시행 이후 65% 줄었고, 링컨 터널을 지나는 MTA 고속버스 속도는 지난해보다 약 24% 빨라졌다.   차량 수가 줄면서 교통사고와 부상자 수도 감소했다. CRZ 내 교통사고 건수는 전년 대비 14% 감소했고,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자 수 역시 15% 줄었다.   교통혼잡료 시행의 또 다른 핵심 목표인 대중교통 활성화와 MTA 재정 확보도 가시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철 이용객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으며, ▶버스 승객 12%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승객 8% ▶메트로노스 승객은 6% 늘어났다.     교통혼잡료 시행으로 버스 운행 속도도 빨라져 CRZ 내 평균 버스 속도는 3.2% 증가했으며, 일부 노선은 최대 25%까지 빨라졌다.     소음 및 공해가 개선되는 효과도 있었다. 지난 1월 이후 311에 접수된 경적 소리 및 차량 소음 민원은 지난해 대비 45% 감소했다.     재정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MTA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 말까지 총 5억 달러 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해당 재원은 향후 노후화된 대중교통 시설 개선, 차량 교체, 장애인 접근성 강화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호컬 주지사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6개월 만에 교통량이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이 증가했으며, 뉴요커들의 삶의 질은 개선됐다"며 "이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려는 연방 정부의 시도에 맞서 앞으로도 계속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혼잡완화구역 혼잡통행료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프로그램 시행

2025.07.06. 18:02

썸네일

LA 혼잡통행료안 운전자들 거센 반발

“우리 돈으로 지은 프리웨이를 사용하기 위해 돈을 내라고 한다.” (Dylan Nguyen)   “왜 ‘프리웨이(freeways)’라고 이름을 지었나.” (Lee'Nah)     “교통체증으로 (차 안에) 앉아 있는 걸 돈 내라고 하는 미칫 짓.” (michlasssss)   “유료 도로가 나를 목적지에 일찍 도착하게 만든다면 돈을 내겠다.” (Micaela)   LA카운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LA메트로)이 교통체증이 심한 주요 프리웨이에 혼잡통행료(Congestion pricing)를 부과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카운티 정부가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는 대중교통 시스템도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차량 소유주를 대상으로 또 다른 세금을 부과하는 조치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지난 1일 본지 영어 영상뉴스 전문 틱톡 '캐치업_뉴스(katchup_news)'에도 프리웨이 혼잡통행료 부과에 반대하는 한인 2세 및 아시안 독자들의 댓글이 200개 이상 달릴 만큼 이번 카운티 정부의 조치에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호세(Jose)라는 독자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또 다른 세금!”이라고 지적했으며, 에리카(Erika)라는 구독자는 “LA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이런 일들이 LA를 떠나고 싶게 만든다”는 댓글을 남겼다.   LA타임스도 8일 자에 프리웨이 혼잡통행료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는 가뜩이나 각종 사고와 사건으로 대중교통 이용에 불안해하는 주민들에게 반감을 사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에 따르면 지난해 LA메트로에서 발생한 1급 사건(살인, 강간, 가중 폭행 및 강도)은 1500건에 달한다. 또한 기물 파손이나 스토킹, 폭행이 해당하는 2급 사건은 1700건 이상 발생했다. 또 작년에 LA메트로 시스템 이용 중 21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6명은 폭력 범죄로 인한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LA메트로 측은 올여름 발표될 혼잡통행료 부과 관련 연구 보고서를 검토한 뒤, 이르면 내년 초 이사회 표결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본지 5월 31일자 A-2면〉   LA메트로가 검토 중인 혼잡통행료 부과 구간은 ▶10번 샌타모니카~LA다운타운 ▶110번·10번·101번 다운타운 진입로 ▶5번과 170번 샌퍼낸도 밸리~웨스트LA 3군데로 알려진다.     현재 남가주 지역 프리웨이는 대부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10번, 110번, 405번, 91번 등 일부 구간은 유료 도로인 익스프레스 레인으로 전환돼 돈을 내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혼잡통행료 정책은 런던, 스톡홀름, 싱가포르 등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혼잡통행료 운전자 프리웨이 혼잡통행료 혼잡통행료 부과 la메트로 시스템

2023.06.08. 21:45

[영상] LA 도심 프리웨이 유료화하나…여름께 혼잡통행료 부과 연구

  관련기사 LA 도심 프리웨이 유료화하나…여름께 혼잡통행료 부과 연구영상 혼잡통행료 프리웨이 혼잡통행료 부과 la 도심

2023.06.01. 14:52

썸네일

[사설] ‘혼잡통행료’ 효과 의심스럽다

LA카운티교통국이 교통량이 많은 프리웨이 이용 운전자들에게 혼잡통행료(congestion pricing)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 LA카운티교통국은 이미 관련 연구를 의뢰한 상태로 올여름 연구 보고서 공개 후 내년 초에는 교통국 이사회 표결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혼잡통행료 부과 검토 대상은 다운타운 지역을 지나는 상습 정체 구간들이다. 교통국에 따르면 타운타운과 샌타모니카를 연결하는 10번 프리웨이 16마일 구간, 다운타운을 통과하는 110번과 101번, 그리고 샌퍼낸도밸리 지역과 다운타운을 연결하는 5번과 170번 등이 포함된다.     프리웨이들은 한인타운과도 인접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혼잡통행료가 시행될 경우 많은 한인 운전자들에게 부담이 될 것이 뻔하다.       LA카운티교통국 측은 혼잡통행료 부과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교통혼잡 해소와 공해문제 해결, 그리고 교통국 재원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런던과 스톡홀룸, 싱카포르 등에서도 이미 실시해 효과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LA지역은 대중교통망이 충분하지 않아 무리한 계획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LA지역의 지하철과 경전철 노선이 확대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버스 노선도 매우 제한적이다. 아무리 프리웨이 교통혼잡이 심해도 차를 몰고 가는 것이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빠르다.     이런 상황에서 혼잡통행료를 부과하겠다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과세로 밖에 볼 수 없다. LA를 포함해 가주 운전자들은 이미 타주 운전자들에 비해 많은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 공해 방지 등의 명목으로 부과되는 개솔린세만 해도  갤런당 1달러에 육박한다.     샌프란시스코 등에서도 혼잡통행료 부과를 추진하다 거센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고 한다. 당장 지역 경제계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나온다. 밀어붙이기식 시행 보다는 여론 수렴과 대중교통망 확장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사설 혼잡통행료 혼잡통행료 부과 프리웨이 교통혼잡 다운타운 지역

2023.05.31. 20: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