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42일 동안 신규 환자 없어 서부 텍사스 홍역 사태 종료

 한동안 서부 텍사스에서 빈발해 주민들을 불안하게 했던 홍역 사태가 마침내 끝났다고 텍사스 트리뷴이 보도했다. 텍사스주 보건서비스국(Texas Department of State Health Services/DSHS)은 총 42일 동안 신규 확진 사례가 보고되지 않음에 따라 30년만에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발생했던 홍역 사태가 이제 공식적으로 종료됐다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DSHS 커미셔너인 제니퍼 A. 슈포드(Jennifer A. Shuford) 전문의는 성명을 통해, “우리가 이 지점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검사, 백신 접종, 질병 모니터링, 대중 교육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응 덕분”이라면서, “이번 발생 이전에는 직접 본 적이 없던 바이러스 환자들을 확인하고 치료한 수많은 보건 의료인들의 노고를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홍역 발생은 지난 1월 말 세미놀(Seminole)에서 시작돼 결국 텍사스 주내 10개 이상의 카운티와 캔자스, 뉴멕시코, 오클라호마 등 다른 3개 주, 그리고 멕시코까지 확산됐었다. 8월 18일 기준, 텍사스에서 확진된 홍역 환자는 총 762명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3분의 2 이상이 어린이였다. 총 96명이 입원치료를 받았고 세미놀 거주 어린이 2명이 사망했다. 대부분의 감염자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상태였다. DSHS는 이번 홍역 사태 대응에 1천만 달러 이상을 사용했지만, 발생이 끝났다고 해서 홍역의 위협이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홍역·볼거리·풍진(measles·mumps·rubella/MMR) 백신을 2회 접종하는 것이다. 이 백신은 홍역 감염의 97% 이상을 예방한다. 백신을 접종한 일부 사람들도 드물게 홍역에 걸릴 수 있지만, 증상은 대체로 가볍고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할 가능성도 낮다고 DSHS는 전했다.   손혜성 기자미국 텍사스 홍역 사태 홍역 환자 서부 텍사스

2025.08.20. 7:34

썸네일

홍역 확산세 심상찮다…올해 벌써 700명 넘어

홍역이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최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올해 감염자 수가 지난해 전체의 두 배를 넘은 712명이라고 밝혔다.   LA타임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텍사스에서는 541명이 확진됐고, 이 중 백신을 맞지 않은 아동 2명이 사망했다. 뉴멕시코에서도 미접종 성인 1명이 숨져 현재까지 사망자는 총 3명으로 늘었다. CDC는 확산세가 심각한 텍사스 서부 지역에 대응팀을 재배치했다.   텍사스 환자의 약 65%에 해당하는 355명은 인구 약 2만 명 규모의 시골 지역인 게인스카운티에서 발생했다. 그 외에도 뉴멕시코(58명), 캔자스(32명), 오하이오(20명), 오클라호마(12명), 인디애나(6명) 등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멕시코 내 감염 사례가 텍사스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홍역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염되며,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CDC는 면역력이 약하거나 접종 기록이 불확실한 경우 추가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정윤재 기자미국 홍역 홍역 환자 홍역 확산 텍사스 환자

2025.04.14. 20:20

2023년 이후 첫 홍역 환자 발생

    최근 멕시코를 여행한 푸에블로 거주 성인 1명이 홍역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콜로라도에서 홍역 환자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23년 이후 처음이라고 덴버 포스트 등 지역 언론들이 보도했다. 콜로라도 주보건환경국(Colorado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CDPHE)에 따르면,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이 확진자는 현재 홍역이 유행하고 있는 멕시코 지역을 방문했으며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상태였다. CDPHE는 3월 17일부터 21일 사이에 푸에블로시 남부에 있는 사우스웨스트 델리 & 카페 또는 3월 22일 오후 3시30분에서 6시 사이에 푸에블로시 서부 소재 서던 콜로라도 클리닉을 방문한 사람들은 홍역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노출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은 21일 동안 증상이 나타나는 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공공장소 방문을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으로 고열, 기침, 콧물, 충혈된 눈, 입안의 작은 흰 반점,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합병증으로 폐렴과 뇌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홍역에 노출된 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즉시 의사, 응급진료 센터 또는 병원 응급실에 연락해야 한다. 올해 미국의 홍역 확진자는 이미 2024년 전체 확진자수를 초과했으며 최소 5개주에서 발병 사례가 보고됐다. 2월에는 텍사스에서 어린이가 홍역으로 사망했는데, 이는 2003년 이후 첫 소아 사망 사례다. 미국에서 홍역으로 인한 성인 사망이 보고된 것은 2015년이 마지막이다. 텍사스의 홍역 유행 사례는 최근까지 400건으로 증가했으며 뉴멕시코, 캔자스, 오하이오, 오클라호마주에서도 3건 이상의 확진 사례가 보고됨으로써 공식적인 유행(outbreak)으로 분류됐다. 2월 이후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2명이 홍역 관련 원인으로 사망했다. 최근의 홍역 유행 사례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미국내 각 지역에서 바이러스가 확산될 것이라는 보건 전문가들의 우려를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확산이 1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주 멕시코에서 발생한 홍역 사례가 텍사스의 유행과 관련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은혜 기자홍역 환자 홍역 환자 홍역 확진자 현재 홍역

2025.04.09. 10:38

썸네일

LA카운티서 홍역 환자 발생...보건당국 경고

  LA카운티에서 홍역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홍역 환자는 2주 전 LA카운티를 방문한 여행객으로 3월 30일부터 4월 1일까지 LA카운티 곳곳을 다닌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에 따르면 홍역에 걸린 이 여행객은 지난달 30일 쉐라톤 게이트웨이 호텔 체육관, 식당 데니스(5535 W. Century Blvd), 유니버셜 스튜디오, 제니스 스플렌디드 아이스크림(445 N. Beverly Drive, Beverly Hills), 쉐라톤 게이트웨이 호텔 등을 방문했다. 이튿날인 31일에는 쉐라톤 게이트웨이 호텔 체육관, 잭 인 더 박스(1127 W. Manchester Blvd), 샌타모니카 피어, 멕시칸 식당 엘 토리토(13715 Fiji Way, Marina del Rey) 등을 방문했고 4월 1일에는 쉐라톤 게이트웨이 호텔과 데니스를 다시 방문했다.  당국은 같은 날짜와 시간에 동일한 장소에 있었다면 노출일로부터 21일 이내에 홍역에 걸릴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홍역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홍역 바이러스는 7~21일 동안 잠복 기간을 거치고 발진 4일 전부터 4일 후까지 다른 사람에게 호흡기의 분비물 등과 공기 감염으로 전염될 수 있다.  처음에는 발열, 기침, 충혈, 눈물,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며 어린이와 취약한 성인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카운티 보건당국 보건당국 경고 홍역 환자 la카운티 곳곳

2024.04.14. 13:33

썸네일

전국 홍역 주의보…올해 총 41건 사례 확인

전국적으로 홍역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하는 가운데, 미국이 2000년부터 이어져 온 ‘홍역 퇴치 국가’로서의 지위를 잃을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3일까지 뉴욕·뉴저지를 포함해 전국 15개주에서 총 41건의 홍역 사례가 확인됐다.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사례가 58건인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작년보다 더 많은 홍역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뉴욕시 보건국은 “올해 첫 두 달 동안 2명의 홍역 환자가 발생했다”며 “예방 접종이 시급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CDC는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이들은 바이러스 노출 후 21일 동안 격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홍역은 전염력이 강력해 인구 중 최소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유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CDC는 MMR(홍역·볼거리·풍진)의 1차 예방접종은 생후 12~15개월 사이, 2차 예방 접종은 6세까지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주의보 전국 전국 홍역 홍역 바이러스 홍역 환자

2024.03.08. 17: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